[스페셜1]
[충무로 영화제의 배우들] 빼어난 육체의 딜레마
2009-08-25
글 : 문석
‘씨네 레트로3’ 섹션의 마릴린 먼로

희대의 섹스 심벌, 침대에서 ‘입고’ 잔다는 샤넬 넘버5, 조 디마지오 등과의 세번의 결혼과 존 F. 케네디를 포함한 숱한 남성과의 염문, 38인치의 가슴 등등. 마릴린 먼로를 기억하는데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키워드는 섹스다. 수많은 관객이 먼로의 연기력에 회의적 태도를 취하는 이유 또한 그녀의 섹스 어필이 너무도 강력했기 때문이다. 굴곡이 깊고 높은 그녀의 육체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영화에서 아무 생각없이 몸뚱이만을 들이대는 여성 역할을 맡았다는 점도 영향을 끼쳤다.

<7년만의 외출>
<쇼처럼 즐거운 인생은 없다>

그러나 돌이켜보건대 먼로는 연기파는 아니었을지언정 그리 나쁘지 않은 연기력의 소유자였다. 이번 충무로영화제의 ‘씨네 레트로3’는 저평가된 먼로의 연기를 바라볼 좋은 기회다. 널리 알려졌다시피 노마 진 베이커라는 본명을 가진 그녀는 모델로 연예계에 들어왔다. 할리우드 제작자들의 눈에 띈 뒤 마릴린 먼로라는 이름을 얻은 그녀는 <아스팔트 정글>(1950)과 <이브의 모든 것>(1950)에서 인상적인 조연으로 등장해 실력을 인정받았다. 데뷔 전 찍었던 누드 사진으로 잠시 좌절을 겪지만 ‘생계가 어려워 어쩔 수 없었다’는 눈물어린 호소로 상황을 정면돌파한 뒤 본격적인 연기활동에 들어간다.

<나이아가라>(1953)는 그녀의 실질적인 출세작이다. 이 영화에서 남편을 죽이려고 하는 팜므파탈 연기를 펼쳐 좋은 평가를 받았던 먼로는 <신사는 금발을 좋아해>(1953)를 통해 확고한 스타의 자리에 오른다. 그러나 똑똑한 검은 머리 여성 제인 러셀과 대비해 ‘예쁘고 섹시하지만 멍청한 금발 여성’이라는 그녀의 이미지를 만들어낸 것 또한 이 영화였다. 물론 남자들은 ‘여자는 다이아몬드를 좋아한다’는 그녀를 위해서라면 강도짓이라도 할 각오가 됐지만. <백만장자와 결혼하는 법>(1953)은 <신사는 금발을 좋아해>에서의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간 영화다. 그녀는 베티 그레이블, 로렌 바콜과 함께 돈 많은 남자를 붙들지 못해 안달인 여성으로 등장한다.

비슷한 이미지의 역할이 반복되면서 먼로의 기세도 꺾이는 듯 보였다. 뮤지컬 <쇼처럼 즐거운 인생은 없다>(1954)가 흥행과 비평 면에서 실패하면서 먼로의 연기력에 대한 평단의 반응도 바닥에 떨어진다.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먼로를 구해낸 건 <7년만의 외출>(1955)이었다. 뉴욕 지하철 배기구 위에서 치마가 뒤집어지는 그 유명한 장면 때문에 조 디마지오와 이혼했지만, 먼로는 이 영화의 대성공으로 다시금 영화계 여신의 자리에 돌아왔다.

똑같은 이미지로 소비되는 것에 염증을 느낀 먼로는 말론 브랜도를 배출한 연기학교 ‘액터스 스튜디오’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메소드 연기 수업을 받는다. 극작가 아서 밀러와 사귄 것도 그즈음이었다. <버스 정류장>(1956) 등에서 연기력으로 승부하려는 투지를 불태웠던 먼로는 마침내 연기인생 후반기의 최고작 <뜨거운 것이 좋아>(1959)를 만난다. 먼로는 이 영화로 골든글로브상을 거머쥐기까지 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여기서 그녀가 맡았던 역할은 섹시하지만 머릿속은 텅 빈 여자 가수였다.

당시 최고권력자 케네디 대통령의 마음까지 사로잡았던 그녀였지만, 불행히도 연기자로서 인정받겠다는 마지막 소망만큼은 이루지 못했다. 그리고 먼로의 간절한 소망을 가로막은 건 어쩌면 그녀의 빼어난 육체였는지도 모른다.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