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슈렉 포에버>의 주인공들을 LA에서 만나다
2010-06-10
글 : 황수진 (LA 통신원)

영국 TV 시리즈처럼 우아하게 끝낼 수 있다니

슈렉 목소리 역의 마이크 마이어스

- <슈렉> 시리즈를 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 고정수익이 있다는 것이 좋았는데. (웃음) <슈렉> 시리즈는 애니메이션도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젠장, 이건 그냥 만화일 뿐’이라고 하면서도 마음이 끌리지 않는가. 그리고 이렇게 우아하게 마지막 장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도 마음에 든다. (질질 끌지 않고) 영국 텔레비전 시리즈처럼 우아하게 끝을 낼 수 있다니! (웃음)

- 목소리 연기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다면. = 나는 뉴욕에 사는데, 녹음실로 가면서 살인현장을 두번이나 봤다. 길거리에서 죽어 있는 시체랑, 칼이랑, 피로 가득한 현장을 지나 녹음실로 들어와 동화의 세계에 적응하는 것이 어색했다고 해야 하나? 녹음실에서 두 블록 떨어진 곳에서 연달아 살인사건이 일어났으니 말이다.

- 슈렉과 자신이 어떤 면을 공유하는 것 같은가. = 나는 캐나다 출신이고, 부모님은 스코틀랜드 출신이다.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쉽게 화를 내면서도 정이 많다. 이를테면, (걸걸한 목소리를 윽박지르며) “당장 거기서 손을 떼지 못해!” 하다가도 (갑자기 씩 웃으며 누그러진 목소리로) “이리 와. 자, 한잔 들이켜자고” 하는 식이다. 그 모습이 슈렉이 속한 오거의 문화랑 비슷한 것 같다. 뭐랄까, 오거는 동화 세계의 ‘일하는 사람들’(working people)이랄까. 또 하나는 캐나다인이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미국인 사이에 그냥 잘 섞여 있는 것 같지만, 나 스스로는 언제나 그 미묘한 차이를 의식하면서 살아왔던 것 같다. 어렸을 적에 캐나다 텔레비전 시리즈를 보고 학교 친구들에게 신이 나서 이야기하면 “캐나다 TV, 난 그런 것 몰라” 혹은 “그런 것은 관심 없어”라는 표정의 친구들의 반응에 풀이 죽었던 기억도 나고.

- 당신이 생각하는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는 어떤 것인가. = 안토니오와 그 이야기를 잠시 나누었는데, 우리 둘 다 “happy”라는 단어보다는 “joy”라는 말을 훨씬 더 좋아한다. happy에는 왠지 그래야 한다고 강요하는 뉘앙스가 있다. 결과로서의 행복함이 아니라 스스로가 행복해지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더 마음에 든다. 나한테 일어나는 행복이 아니라, 내 안에서 행복이 만들어지는 것이니까.

- <슈렉> 시리즈는 10년간 이어져왔다. 감회가 있다면. =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니 기분이 묘하다. 사실 좀 슬픈 것 같다. 이제 47살이 되는데, 되돌아보면 그때는 언제 이 일들을 다 할 수 있을까 했는데, 그동안 참 많은 일을 해온 것 같다. 엘리아 카잔의 <라이프>라는 자서전을 보면 장마다 너무나 불행하다고 생각하고, 힘든 일들만 첩첩이 쌓이다가 마지막에 기적이 일어나면서 장이 마무리되고 새로운 장으로 들어서는 식이라 인상적으로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인생이 그런 것 같다.

1편부터 공주라기보단 전사였지

피오나 공주 목소리 역의 카메론 디아즈

- 피오나 공주로서도 마지막인데, 감회가 남다를 것 같다. = 지난 10년을 돌이켜보면, 슈렉과 나는 비슷한 삶의 궤적을 걸었던 것 같다. 그러고보면, 나 역시 내가 가진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기도 했던 것 같다. 그러다가 불현듯, 도대체 어디를 향해서 달려가고 있는 것이지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 4편을 통해 공주에서 아내로, 엄마로, 이번에는 전사로 인생의 다양한 단계들을 거쳐왔는데, 어떤 피오나가 가장 마음에 드나. = 그 여러 모습의 피오나는 실은 다 똑같은 피오나이다. 내게 피오나는 1편부터 공주라기보다는 언제나 전사의 모습이었다. 언제나 슈렉을 이끌어갈 수 있었던 것도 그녀 스스로가 사실은 내면이 강한 인물이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대체 어딜 봐서 내가 공주의 모습인가. (웃음) 내 안의 14살 난 소년은 나도 어쩌질 못한다.

- 안 그래도 다들 당신이 에너지가 넘쳐난다고들 이야기한다. 에너지를 유지하는 비결이 무엇인가. = 그래도 3주 전에는 이런 모습이 아니었다. 그때는 진짜 지쳐 있었으니까. <나잇 & 데잇>으로 톰 크루즈와 6개월간 거의 매일 12시간 이상의 강행군 촬영을 하고, 바로 다음 작품으로 들어갔으니까. 진짜로 힘들었다. 아, 다시는 이렇게 앞뒤로 영화를 찍지 않고 싶다. 그렇지만! 잠을 제대로 자니까 이렇게 다시 내 원래 모습으로 돌아왔다. 잠이 최고다. 앞으로는 여러 작품을 연달아 하는 것보다 1년간 한 영화만을 제대로 집중해서 해보고 싶다.

- <슈렉>을 하면서 어떤 점이 즐거웠나. = 다른 것도 많지만, 내 영화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즐겁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이런 좋은 작품을 하게 되면,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서로 나누고,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직접 듣고, 영화를 정말로 즐길 수 있는 기쁨을 준다. <슈렉>이 내게 그랬다.

- 어떻게 하면 피오나처럼 진정한 사랑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은가. = 진정한 사랑에 대한 잘못된 인식 중 하나가 그런 사랑이 18살 즈음에 나타날 것이라고 믿는 데 있다. 진정한 사랑이 20살에, 30살에, 40살에, 혹은 60살이 되어야 나타날 수도 있지 않은가. 게다가 그렇게 만난 사랑과 남은 여생을 계속 함께해야 한다는 생각도 문제다. 그런 사랑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은 쪽이 훨씬 많다는 것이지.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만약 한 사람과 앞으로 남은 여생을 늘 함께해야 하는 것에 대해서 자신이 없다면, 그런 약속은 (단호히) 하지 말아야 한다. 5년, 10년, 혹은 20년 이렇게 쪼개어서 인생의 시기별로 충실한 사랑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 않을까라는 게 내 생각이다.

- 30대 여성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 자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마음껏 표현하면서 살았으면 좋겠다. 자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것들의 가치를 최대한 누리면서 살아야 하지 않을까. 왜냐하면 10년 뒤에는 옷을 입더라도 지금만큼 예쁘지 않을 테니까. 현재 가진 것을 최대한 누리면서, 또 가진 것의 최고를 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동화나라 이야기에 머물지 않아

장화 신은 고양이 목소리 역의 안토니오 반데라스

- 이번 작품에서 꽤 몸무게를 늘려야 했는데, 어땠나. (웃음) = (웃음) 그러게 말이다. 로버트 드 니로 말고는 나만큼 영화를 위해 찌운 배우가 없다.

- 장화 신은 고양이의 연기를 하면서 특히 염두에 둔 점이 있다면. = 내가 해석한 장화 신은 고양이는 짓궂은 캐릭터이다. 달콤한 목소리로 “당신을 사랑해…. 아, 그렇지만 당신도 사랑해”라고 속삭이는 바람둥이이기도 하고. 처음에 어떤 목소리로 연기를 할까 고민할 때, (가느다란 목소리를 내며) 이런 식으로 말한다면 너무 뻔하지 않나, (슈렉 속의 목소리로 돌아가서) 뭔가 대비되는 맛을 주고 싶었다. 그 조그마한 몸에 뭔가 우아하면서도, 무게가 있는 그런 목소리가 나온다면 훨씬 재미있을 것 같았으니까. (다시 본래의 목소리로 돌아와) 그래서 장화 신은 고양이가 거울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되면 스스로 깜짝 놀랄 것 같은….

- 목소리 연기를 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다면. = 브로드웨이에서 한창 <나인>을 공연하다가 장화 신은 고양이 역을 하러 녹음실에 오면 바로바로 적응이 안될 때가 있곤 했다. 녹음하고 다시 공연장 가면 또 헷갈리고. 아, 그리고 나는 <슈렉>의 미국 버전 말고 스페인어 버전, 이탈리아 버전에 다 참여했는데, 각 버전에 따라 악센트 등의 변화를 주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웠다.

- 마지막 <슈렉>이다. 어땠나. = <슈렉> 시리즈는 팝컬처를 비틀면서 독특하게 다가왔는데, 이번 작품은 단순히 동화 나라의 이야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스파게티 웨스턴과 같은 에픽적 성격을 띠고 있다. 신선했다.

- 극중 캐릭터처럼 그렁그렁한 큰 눈으로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스타일인가. = 하하. 노력 중이다.

- 애니메이션 작품에 참여하면서 얻게 되는 것이 있다면. = 애니메이터들은 ‘뛰어난 것’을 향해 달려가는 사람들이다. 작가에서부터, 애니메이터들에 이르기까지 이런 팀워크의 한 부분이 되는 것에 매력이 있다.

- 스핀오프로 제작되는 <장화 신은 고양이>에 샐마 헤이엑과 함께 출연하기로 되어 있는데 스튜디오에 샐마 헤이엑을 추천했다고 들었다. = <데스페라도>를 찍으면서 샐마와 알게 되었다. 샐마는 코미디 연기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흔치 않은 여배우이다. 서로 쥐어뜯고 으르렁거리면서도 결국에는 함께하게 되는 클래식한 관계를 보여줄 계획이다.

- 장화 신은 고양이를 연기하게 되면서 가장 좋았던 기억은. = 칸영화제 레드카펫을 밟을 수 있었던 것. 체코슬로바키아에서부터 한국까지 다양한 나라의 영화들이 선보이는 곳에 같이 설 수 있었던 기억이 좋았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