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송강호] 긴장과 이완으로 무장해제
2013-08-12
글 : 이화정
사진 : 최성열
송강호

“나에게 봉준호는 영화적 동지이자 존경하는 감독이고, 사적으로는 친한 후배다.” 봉준호 감독에 대한 송강호의 가슴 뭉클한 정의다. <살인의 추억>(2003), <괴물>(2006)에 이어 <설국열차>에 탑승한 그는 빙하기만큼이나 길었던 4년의 프리 프로덕션 기간을 쭉 지켜본 파트너다. “<살인의 추억> 때부터 그랬는데, 봉준호 감독과 나는 말을 그렇게 많이 안 한다. 왜 내가 여기 나와야 하고, 왜 나는 다른 배우들처럼 영어가 아닌 한국어를 써야 하고, 이런 데 대해서 서로 말이 없다. 물어보기도 귀찮고, 봉준호도 ‘뭐 그런 걸 물어봐, 알아서 하지’ 이런 시스템으로 서로 일해왔다. 봉준호는 내가 어떻게 하나 볼 뿐이고, 나는 또 그렇게 내 마음대로 해도 되니까. (웃음)” <설국열차>에 따라붙는 거창한 수식보다 그는 봉준호 감독과의 세 번째 작업에 의미를 더 부여한다.

<설국열차>에서 송강호는 키플레이어다. 바로 영원을 달리는 기차, 설국열차의 설계자이도 하고 또 그 기차 안의 헤게모니에 정면으로 맞서는 핵심 역할이다. 남궁민수가 등장하는 순간부터, 그의 발걸음에는 늘 의문이 함께한다. 그가 언제 어떻게 기차를 설계했는지, 왜 이곳에서 오랫동안 수감자로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어떤 확연한 단서도 제공되지 않는다. 꼬리칸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엔진칸으로 진격하려는 커티스(크리스 에반스)와는 어찌보면 대척점에 있는 인물이다. 표면적으로 그는 마약 대용품인 크로놀을 탐하는 의욕 없는 인간이자, 지켜야 할 건 (<괴물>에서 끝내 지키지 못했던) 딸(고아성)뿐인 미스터리한 인물이기도 하다. “남궁민수는 열차 안에서 이상론을 펼치는 유일한 인물이다. 개인적으로는 철학적인 세계관을 좀더 펼쳤으면 하는 생각도 있었지만 그렇게 되면 영화의 색깔이 달라졌을 거다. 밸런스 면에서 볼 때 봉준호 감독이 잘한 것 같다.” 오롯이 ‘송강호의 활약’을 기대한 관객의 허기엔 아랑곳하지 않은 채, 그는 설국열차에 오른 한명의 탑승원에만 머무른다. “장면의 주인공으로 나온 건 두번밖에 없다. 첫 등장과 하이라이트 장면에서. 그런데도 회차는 꽤 된다. 총 72회차를 찍었는데 42회차에 참여했더라. 틸다 스윈튼이 말할 때 크리스 에반스와 같이 있으니까. 그들이 걸어갈 때 걸리고, 뒤에 있다 머리 걸리고, 이런 식이다. (웃음)”

유일하게 한국말로만 대화를 하고, 시종 나른한 자세로 의뭉스런 품새를 풍기는 남궁민수는 설국열차의 다른 인물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연기를 선보인다. 어쩌면 봉준호 감독이 유일하게 장르영화 안에서 ‘자유권’을 허용해준 캐릭터가 아닐까 싶은, 도드라지는 연기다. “그게 봉준호 감독이 나를 캐스팅한 가장 큰 이유가 아니었을까. 설국열차 안의 분위기를 무장해제시키는 그런 역할이 필요했던 거다.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른 역할들을 통해서 하고 있지만, 영화적인 긴장과 이완을 시켜줄 존재인 거다.” 할리우드 시스템으로 짜여진 <설국열차>의 촬영에서 남궁민수의 연기는 그래서 되짚어볼 구석이 있다. “첫날 리딩을 하는데, 모두 그 긴 대사를 다 외워왔더라. 리딩 때 이미 감정의 70%는 다 내는 거다. 대규모 자본 안에서 타이트하게 현장이 운용되니, 카메라 슛 들어가는 순간 베스트 액션이 나와야 한다. 철저한 프리 프로덕션과 합리적인 현장운용이 낳은 연기 스타일이더라. 그 친구들한테 배운 점이 많다.”

남궁민수의 자연스런 연기는 이 ‘삼엄한’ 시스템에서 나온 변종 스타일이다. “크리스 에반스랑 서로 독백하는 장면에서 난 이중으로 고통을 받아야 했다. 대사를 외워봤자, 분명 봉준호가 바꿀 거다. 항상 순식간에 대사를 바꾼다. 외웠다고 안심을 할 수도 없고, 소용도 없다. 하물며 이번엔 외국 배우들한테는 그게 안되니, 나한테는 물 만난 거다. (웃음)” 봉준호 감독과 십년을 함께한 송강호는 “그럼에도 난 단련이 돼 있으니까, 봉준호가 어떤 사람인지 잘 아니까 대비를 했다”며 여유를 드러낸다. “나는 이 영화를 <살인의 추억>과 <괴물>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봤다. 사회의 단면을 드러내던 봉준호가 이제 존재론적인 관점으로 이야기를 확장했다. 흥행이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의 작품이 진일보하고 있다는 데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봉준호의 어퍼컷이다. 함께하게 되어 정말 의미있는 경험이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