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sh on]
[flash on] 아이들의 대화엔 상상 이상의 마력이
2013-08-15
글 : 송경원
<나에게서 온 편지> 카린느 타르디유 감독

사람은 어떻게 태어나고, 사랑하고, 죽는가. 우리 모두 어린 시절 한번쯤 품어봤을 궁금증인 동시에 어쩌면 아직도 해결 못한 질문들. <나에게서 온 편지>의 카린느 타르디유 감독은 어린 소녀들의 눈을 통해 우리가 묵혀놓고 잊어버린 질문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저 즐겁다는 그녀가 아이들의 미소를 통해 발견한 삶과 성장의 비밀에 귀기울여보자.

-원작 소설 <무릎을 스치는 바람>의 작가 라파엘 무사피르와 함께 각본을 썼다.
=라파엘 무사피르의 소설은 시종일관 유쾌하고 감동적일 뿐 아니라 내 모습과 많이 닮아서 마치 나의 자전적 이야기를 쓴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였다. 몇주 뒤 어린이 도서전에 초대를 받았는데, 마침 옆자리에 라파엘이 앉아 있는 게 아닌가! 도서전이 열리는 이틀 동안 그녀 곁에 붙어다녔고 결국 함께 영화를 만들기로 했다.

-1980년대를 배경으로 선택한 이유는.
=과거 수용소에 갇혔던 경험이 있는 아빠 미셸 캐릭터 때문에 다른 시기를 잡는 것은 불가능했다. 물론 라파엘와 내가 젊은 시절을 보낸 시기였던 만큼 개인적으로도 80년대에 특별한 애정을 품고 있다. 바비 인형을 갖고 노는 장면, 친구들간의 라이벌 구도, 친구의 오빠를 좋아하는 로맨틱한 감정, 어린아이가 느끼는 부끄러움과 즐거움, 슬픔 등은 우리가 어린 시절에 다 겪었던 것들에서 나왔다.

-<타인의 취향>을 연출한 아녜스 자우이를 주연으로 캐스팅했다.
=그녀는 시나리오를 읽고 하루 만에 수락했는데, 작가이자 감독이기도 한 그녀에게 작품을 인정받았다는 생각에 더 흥분됐다. 배우로서 아녜스 자우이는 인자하고 관대하며 그 어떤 것에도 준비가 되어 있어 자신감이 넘친다. 게다가 매우 본능적인 배우라 어떤 연기를 보여줄지 항상 예측 불허인데 그 점이 정말 좋았다.

-죽음과 섹스에 호기심을 느끼는 소녀라는 소재가 흥미롭다.
=나는 모든 어린아이들이 언젠가는 이런 질문에 강하게 사로잡힌다고 믿는다. “대체 아기는 어떻게 생기는 거지?” , “죽으면 어떻게 되는 거지?” 같은. 문화나 가정환경에 따라 금기시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질문이 존재하지 않는 건 아니다. 어떤 질문은 부모나 친구들에게 물어볼 수도 있고, 어떤 질문은 혼자 해결하려고 할 수도 있다. 중요한 건 이 모든 궁금증이 자연스러운 일이란 점이다.

-소녀의 시점이나 엄마의 시점을 일방적으로 따르지 않고 모두에게 평등하게 발언의 기회가 주어진다는 느낌이다.
=사실 처음에는 아이의 시점에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그러나 시나리오가 발전할수록 어른들이 라셸과 발레리, 두 소녀의 만남을 통해 점점 변해가는 모습까지 보여주고 싶었다. 두 소녀의 부모는 모두 유아적인 두려움을 갖고 있는 ‘어른 아이들’이다. 하지만 발레리를 만난 뒤 변하는 라셸을 보면서 그들 또한 영화 전반에 걸쳐 성장하고 강해진다.

-데뷔작부터 꾸준히 가족과 유년 시절의 순수와 성장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것 같다.
=예전에는 어른들이 나오는 영화를 찍고 싶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마다 매번 유년 시절의 소재들이 나를 사로잡았다. 아이들의 대화를 쓰는 작업이 특히 그렇다.

-어른과 아이를 구분짓는 차이는 무엇일까.
=최종본엔 들어가지 않았지만 이런 대사를 썼었다. “어른이 되기까지는 일생이라는 시간이 걸린다.” 모든 사람은 궁극적으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있다. 하지만 언젠가는 죽는단 사실이 반대로 강렬한 삶의 의지를 불어넣기도 한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자신의 내면에 살고 있는 아이가 느끼는 불안을 다스리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부끄러워 말고 두려워하라, 그것이 성장이고 삶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