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
[영화제] 나루세의 여성들과 재회하다
2014-05-21
글 : 우혜경 (영화평론가)
부산 영화의 전당 필름아카이브 기획전 ‘앙코르! 나루세 미키오’, 5월20일부터 6월5일까지
‘앙코르! 나루세 미키오’전 포스터.

좋은 영화들은 몇번을 다시 보아도 매번 새로운 깨달음을 얻는다. 당연한 말이지만 요즘처럼 많은 영화들이 정신없이 흘러가는 시기에 한번쯤 곱씹어보아야 할 말인 것 같다. 이에 고맙게도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는 5월20일부터 6월5일까지 12편의 나루세 미키오 영화를 35mm필름으로 상영하는 ‘앙코르! 나루세 미키오’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초기작에 속하는 <아내여 장미처럼>에서부터 유작인 <흐트러진 구름>에 이르기까지, 나루세 미키오가 활동했던 거의 대부분의 시기에 걸친 대표작 12편을 상영한다.

나루세 미키오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그가 보여주었던 ‘여성’들의 삶에 대한 관심일 것이다. 그중에서도 나카노 미노루의 원작 소설 <두 아내>를 바탕으로, 어머니와 새로 들어온 아버지의 첩, 그리고 이런 ‘두 아내’를 거느리고 사는 아버지의 모습을 딸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여성으로서 가족과 사랑의 의미를 깨닫는 과정을 그린 <아내여 장미처럼>(1935)과 전쟁 이후 남편과 아들을 잃은 엄마가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바라보는 어린 딸의 시선을 담은 <엄마>(1952), 어려운 환경 속에서 부모형제와 갈등을 겪는 딸들의 심리를 섬세하게 그려낸 <번개>(1952)와 <오누이>(1953), 그리고 아들의 외도로 의지할 곳 없는 신세가 된 며느리와 그녀를 측은지심으로 바라보는 시아버지 사이의 애틋한 감정을 절제된 방식으로 담아낸 <산의 소리>(1954)에는 가족이라는 보수적인 집단 내에서의 여성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특히 <산의 소리>는 하라 세쓰코를 매개로, 딸과 (시)아버지와의 미묘한 관계를 담았다는 점에서 오즈 야스지로의 <만춘>이 떠오르기도 한다.

한편 가족을 떠난 나루세의 여성들은 사랑에 실패하거나 화류계 여성으로 또 한번 힘든 시간을 겪는다. <만국>(1954)과 <흐르다>(1956)는 나이가 들어 더이상 게이샤로 살아갈 수 없게 된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그리고 있다. 나루세의 대표작 중 하나로 빈번하게 손꼽히는 <부운>(1955)은 <번개>와 <만국>과 더불어 하야시 후미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유부남과 사랑에 빠진 여주인공이 겪는 심리적 갈등을 꽤 오랫동안 바라본다.

종종 나루세의 영화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오즈의 영화들과 비교되며 그의 영화와 ‘어떻게 다른가’를 중심에 놓고 기술되지만, 이때 잘 언급되지 않는 것이 바로 화면 사이즈의 문제다. 오즈가 자신의 영화에서 항상 1.37:1의 화면비율을 고집한 반면, 나루세는 1920년대 쇼치쿠에서 영화 경력을 시작해 1934년 도호의 전신이었던 PCL로 옮겨서 활동하다가, 1950년대 후반 일본의 영화사들이 앞다투어 시네마스코프를 도입하던 시기와 만나자, 자연스럽게 도호에서 2.35:1의 화면비를 받아들였다. 이번 상영작 중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1960), <방랑기>(1962), <흐트러지다>(1964), <흐트러진 구름>(1967)이 이에 해당하는데, 특히 술집의 계단을 수직 이동하는 주인공 게이코의 움직임을 수평으로 길게 펼쳐진 시네마스코프의 화면으로 담아낸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와 이번 상영작 중 유일한 컬러 시네마스코프 영화인 <흐트러진 구름>은 꼭 챙겨보길 추천한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