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스페셜] ‘차세대 초고해상도 영상인프라’ 사업, 2016년 138억원 예산 불용처리에 이어 2017년 예산 전액 삭감… 무슨 일이 있었나
2017-01-23
글 : 최현용 (한국영화산업전략센터 소장)
차세대 시네네트워크 렌더링 인프라 구축 및 화성화 방안 연구 완료보고서.

다루려는 주제와 다소 비껴 있지만 강한섭 교수가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위원장 시절 이루어낸 최고의 업적은 “다양성영화복합상영관 설립”(총사업비 500억원) 사업을 무산시킨 것이다. 영진위와 영화계가 오랫동안 함께 공들여 추진해왔던 사업을 보수정권의 입맛에 맞게 당당하게 불용처리해버렸다. 대단한 배짱이었다. 2008년 당시 다양성영화복합상영관 건립 예산을 제외한 영진위 총사업비가 524억원이었으니 1년 총사업비에 해당하는 최대 규모 사업을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쓰지 말라’ 한 것이었다. 이로써 동일 사업을 현실에 다시 들여놓는 데 10년이 걸렸다. 그것도 서울시가 한다.

김세훈 영진위 위원장의 2016년

또 비슷한 일이 생겼다. 지금은 김세훈 영진위 위원장이 주역이다. 영화발전기금 예산서에는 ‘차세대 초고해상도 영상인프라’ 또는 ‘초고속 렌더링 시스템’이라 지칭되며, 영화인들에게는 “차세대 씨네 클라우드 렌더링 시스템”으로 홍보된 ‘공공 렌더링 인프라 시스템’ 구축 사업, 줄여서 ‘렌더팜 사업’이 그것이다. 2016년 138억원 규모 사업이 불용처리되었다. 심지어 해당 사업의 2017년 예산은 전액 삭감되었다. 아예 사업이 날아간 것이다. 아마도 CG와 관련된 누군가들은 당분간 공공부문에 이런 유의 진흥사업을 요청하기가 난망할 것이다.

애니메이션학과 교수인 김세훈 위원장이 취임 직후부터 CG와 관련된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는 얘기에 놀란 영화인은 별로 없었을 것이다. 렌더팜 사업은 CG 렌더링을 대규모 병렬처리하는 공장을 세워 저가에 사업자들에게 빌려주겠다는 거다. 애니메이션 출신 교수의 업력에 기반한 선택이구나 하는 당연함 때문이다. 하지만 구축비용이 초기 3개년간 1천억원이라는 연구 보고서에 놀라지 않을 영화인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렌더팜 사업에는 더욱 놀랄 일들이 많이 있다.

2014년 12월31일 취임한 김세훈 위원장은 2015년 1월22~23일에 CG업계 관계자들을 불러모아 ‘16년 신규사업 개발을 위한 렌터팜 구축 관련 현황조사’를 시작했다. 그 자리에서 관계자들은 “영화 제작의 특성상 여름/겨울 성수기 1~2개월 전에 작업이 몰려 연중 상시적인 외부 렌더팜 사용은 불필요”를 논의했다고 보고서는 전한다. 하지만 사업은 계속 추진된다. 첫 번째 놀랄 일이다.

이후 2015년 3월에 연구용역이 공고되고, 6월3일에 계약이 체결되었다. 이름하여 “차세대 시네네트워크 렌더링 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이 그것이다. 그 보고서는 사업 추진 후 3개월 만에 납품되었지만, 2016년 국정감사 자료로 보고되기 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두 번째 놀랄 일이다. 보고서에는 3000노드 구축을 목표로 3개년간 1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야 한다고 사업계획이 잡혀져 있다.

그런데 2015년 5월부터 작성된 2016년 영화발전기금 예산안에는 이미 “초고속 렌더링 시스템 구축: 3,920백만원/ 전용 관리 도구 개발: 120백만원/ 초고속 렌더링 인프라 구축: 38,000백만원(20백만원×190노드)”이라는 사업이 포함되어 있었다. 연구 보고서가 나오기도 전에 이미 사업이 시작된 것이다. 세 번째로 놀랄 일이다. 이렇게까지 영진위가 추진력 있게 일하는 걸 보신 분 계신가. 정말 궁금하다.

추가로 재미있는 사실을 밝히자면, 연구 보고서에는 1노드당 장비 구매 가격이 1300만원으로 계상되어 있는데, 사업예산서에는 2천만원으로 계상되어 있다는 점이다. 더욱 재미있는 점은 예산서에 “국내 관련 업계의 렌더팜 부족에 따른 사례”를 언급하는데, “<명량>의 VFX 장면 구현을 위해 전국의 공공 렌더팜 전체를 동원하였으나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음”과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경우 한국 로케이션 촬영과 VFX 작업을 국내에서 병행하려 했으나 렌더링 작업을 소화할 수 있는 국내 인프라 부재로 VFX 수주는 제외됨”이라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진짜로 <명량> VFX 작업에 물리적 용량이 부족했나? 진짜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이 VFX 작업을 국내에서 하려고 했나? 국회를 상대로 이런 장난질이라니 대단한 용기가 아닐 수 없다.

더욱 황당한 일은 2016년 벌어졌다. 필자가 이전 <씨네21> ‘한국영화 블랙박스’에서 지적했듯이, 설계용역을 수의계약하고, 본사업의 대기업 입찰 제한을 풀면서까지 특정 업체에 사업을 몰아주려고 한 것이다. 수의계약 사유가 “대규모 렌더팜 구축 경험이 있고, 현재 영화 관련 렌더팜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설계 의뢰가 가능한 곳은 상기 업체 한곳으로 경쟁을 통한 계약이 불가함”이었다. 이런 논리라면 당연히 설계뿐만 아니라 구축과 운영도 이 업체가 수의계약 받아야 한다 해도 할 말이 없는 셈이다.

2017년… 내부고발 없이, 위원장 사임도 없이

더더욱 황당한 일은 그다음이다. 분명 2016년도 사업예산은 39억원이었다. 그런데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의 예산 변경(2016년 사업비 100억원 추가하여 700노드 일괄 구축)이 승인된 것이다. 아무도 모르게. 문체부와 기재부의 장관 승인이란 절차는 거쳤지만 정작 영화발전기금의 예산 변경 주체인 영진위 9인 위원회나 기금운영위원회에 보고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후다닥 사업이 확대된 것이다. 2개 부처 장관이 신속하게 도장을 찍으려면 도대체 어느 선에서 지시가 내려와야 가능할까. 물론 영진위 예산담당 직원은 이미 알고 있었다. 국회에 송부된 2017년 예산서에는 “700노드 구축완료에 따른 사업운영 예산”으로 “초고속 렌더링 시스템 운영: 2,132백만원(’16년 3,920백만원→’17년 2,132백만원)/ 구축지 임대 및 운영: 392백만원(32.7백만원x12월)/ 시스템 고도화: 200백만원/ 초고속 렌더링 인프라 S/W 라이선스: 1,540백만원(700노드x2.2백만원)” 사업비를 계상한 것이다. 와우. 이 발빠름이란. 물론 최종적으로 0원이 되었지만.

이제 황당한 일들을 모아보자. 소위 말하는 ‘합리적 의심’을 해보자. 특정 업체에 수의계약하려는, 이익이 상당히 예상되는 알짜배기 사업의 예산이, 영진위 연간 사업비의 20%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갑작스레 은밀하게 증액되었다. 이제는 누구나 다 아는 라인의 일원이었던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이 퇴임 직전 찍은 거의 마지막 도장이기도 하다. 이게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누구나 같은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결국 국정감사에서 이러한 황당한 일들이 공개되면서 사업은 좌초되었다. 하지만 김세훈 위원장은 여전히 좌초되지 않았다. 마땅히 탄핵되어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영진위 직원들의 내부 고발 하나 없었다는 점 역시 마땅히 거론되어야만 할 것이다. 뭐 그렇다는 말이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