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머니백> 김무열·박희순, "다양성은 배우들에게도 바람직한 일"
2018-04-03
글 : 이화정
사진 : 최성열
박희순, 김무열(왼쪽부터)

-비슷한 범죄오락물이 많다. 그런 가운데 이 영화가 가진 장점, 매력이 있었을 것 같다.

=박희순_ 대본을 받고 나 역시 그런 우려가 있었다. 그런데 무겁고 어두운 범죄물 가운데 좀 다르다 싶더라. 장황하게 얽히고 복잡한 영화임에도 간결하게 떨어지는 쿠엔틴 타란티노, 가이 리치류의 영화들을 좋아하는데 그런 재미가 보였다. 가볍고 재밌게 받아들일 수 있는 장점들이 있더라.

=김무열_ <펄프 픽션>이나 <스내치> <록 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 같은 영화의 스피드감을 많이 생각했다. 그런 톤이면 좋지 않을까. 흔히 보는 틀 안에서 벗어날 수 없는 영화지만, 간결함 속에 스피드함이 있더라. 가벼운 톤 가운데 현재 우리가 생각해볼 만한 문제들도 충분히 있다. 또 누구 하나 희생되는 캐릭터 없이 각각의 인물들이 다 조명되는 점도 이 영화의 장점 중 하나다.

-취업난에다 어머니 수술비까지, 이중고를 겪는 취준생 민재, 매번 승진에서 탈락하는 데 대한 콤플렉스를 가진 최 형사 등 현실의 울분이, 가볍게 질주하는 범죄극을 곱씹어보게 만든다.

김무열_ 배우도 비정규직이고. (웃음) 지금이 ‘단군 이래 취업이 제일 힘들다’고 하지 않나. 그래서 민재가 영화 내내 억울해하다가 딱 한번 최 형사를 따돌렸다고 생각하고 잠깐 웃을 때 그 장면이 좋더라. 지금의 청춘들이 그런 웃음을 지으면 좋겠다.

박희순_ 요즘 우리 모두 화가 많은 것 같다. 일단 풀어서 소통하려고 하기보다 분노부터 앞세운다. 그래서 최 형사처럼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캐릭터가 한명쯤 있는 것도 지금 분위기를 반영하는 데 충분히 설득력 있겠다 생각했다.

-코믹한 설정과 리얼함 사이에서 자칫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톤을 조절해야 하는 숙제가 있었다.

김무열_ 워낙 상황이 톱니바퀴처럼 얽혀 있어서 뭘 더 만들려고 하지 않았다. 가볍고 빠른 톤으로 가는 영화지만 희순이 형과 ‘너무 쌈마이로 가지 말자’, 상황에 맞는 리얼함과 코믹함을 주자고 했다.

박희순_ 이렇게 가볍게 치고 가는 영화는 별로 없지 않았나. 특히 한국에서 블랙코미디가 잘 안 받아들여지는 면이 있는데 장르와 달리 한국 정서에 잘 맞는 시나리오가 나온 것 같다. 대사로 보자면 애드리브는 거의 하지 않았다. 잔재주 부리지 말고 가자는 생각을 했다. 그럼에도 상황적으로 너무 웃긴 장면이 많아서, 막상 촬영할 때 너무 웃어서 내가 엔지를 제일 많이 냈다. 무열이랑 같이 우리가 중심을 잡자고 해놓고, 그걸 안 한 거지. (웃음)

-최근 멀티캐스팅 영화가 지속적으로 제작되면서 배우들이 다작을 하는 추세다. 특히 박희순씨는 <브이아이피> <1987> <남한산성> 등 연달아 영화가 개봉하고 있다.

박희순_ 1/n이 주는 편함이 있다. 한 작품에 올인하다보니 하나가 잘못되면 오는 심적 부담감이나 고통이 너무 크더라. 그에 비해 멀티캐스팅은 확실히 부담감이 주는 게 사실이다. 특히 다작하면서 다른 감독, 배우들의 스타일을 많이 보면서 공부가 많이 된다. 그래서 예전엔 캐릭터를 보고 작품을 결정했다면 지금은 작은 역이라도은 작품을 찾게 된다는 것도 변화다.

김무열_ 배우는 기술직이고 계속 그 기술을 연마하지 않으면 녹슨다는 생각이다. 나는 더더군다나 아직 그 기술을 연마하고 닦아야 하는 시기다. 이번 작품을 하면서도 함께한 배우들을 보니 1/n의 부담감에도 각자의 몫에 대한 집중도가 커서 옆에서 보면서 많이 배웠다. 그래서 지금은 최대한 많은 작품에 참여하고 싶다. 희순 형님처럼 다작을 하고 싶다. (웃음)

-남성물, 액션, 누아르 등 비슷한 기획물의 요구에 대한 반성도 있을 것 같다.

박희순_ 한국영화의 판이 커진 반면에 다양성적인 면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그런 지점에서의 갈증을 나는 저예산영화 참여로 많이 풀어나간다. 저예산영화가 숨쉴 곳이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멀티캐스팅 위주의 상업영화와 함께 제작비 5천만원 또는 5억원의 영화도 참여하는 것이다. 예산이 많이 드는 영화 외에 중간급 영화가 많이 나와야 장르와 소재의 다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을까. 특히 여배우들이 주축이 되는 영화도 더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김무열_ 다양성은 관객뿐만 아니라 영화를 만드는 배우들에게도 바람직한 일이다. 최근에 할리우드영화 <원더>를 봤는데, 영화에서 사회적 약자인 아이를 보면서, 그들과 동화되고 그들의 사연을 받아들이고, 그런 가운데 우리의 모습을 투영하게 되더라. 그런 작품도 많이 참여하고 싶은데, 아무래도 전작을 스릴러(<기억의 밤>)을 했더니 비슷한 장르의 센 역할들이 많이 들어오더라. 앞서 말한 것처럼 지금은 가리지 않고 열심히 다 하고 싶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