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기획] 시네필의 초상 영화 ‘이마 베프’와 HBO 시리즈 나란히 보기
2023-02-02
글 : 이지현 (영화평론가)
영화 <이마 베프>

올리비에 아사야스는 ‘절충적인’ 영화예술가로 알려져 있다.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에서 영화평론가로 활동하던 시절부터 이러한 그의 기질은 유명했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와 장뤽 고다르, 루키노 비스콘티를 사랑했지만 동시에 그는 브라이언 드 팔마와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홍콩영화의 옹호자로도 알려졌다. 또한 장르영화와 B급 영화, 실험영화의 수집가로도 정평이 나 있었다. 어쩌면 당시에 그가 공포영화의 거장 존 카펜터를 위해 사용했던 문장은, 지금의 그를 가리키는 적절한 표현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대중영화 내의 실험적인 형식과 역동적인 미학으로, 시네필의 중심 위치를 되찾고자 하는” 영화감독으로서, 어느덧 아사야스는 우리에게 익숙해졌다.

그의 여섯 번째 장편영화 <이마 베프>(1996)는 아사야스의 이름을 세계 시장에 알린 첫 작품이다. 이 영화가 27년 만에 디지털 리마스터링되어 극장 개봉한다. 단 9일의 시나리오 작업, 어떤 의미에서 신화와도 같았던 프랑스 독립영화계의 컬트가 마침내 국내 팬들과 만난다. 영화의 주된 내용은 루이 푀이야드의 고전영화 <뱀파이어>(1915~16)를 리메이크하는 과정이 중심이다. 따라서 <이마 베프>를 자세히 살피기 위해서는 무성영화 원작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아사야스가 최근 연출한 <HBO> 시리즈 <이마 베프>(2022)와 비교해서 살피는 것도 흥미롭다.

영화 <뱀파이어> 이야기는 총 10화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러닝타임은 7시간이 넘으며, 애초에 시리즈가 정해져서 촬영된 것이 아니기에 이야기의 디테일은 세밀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선형적인 내러티브를 파악하는 것보다는 등장인물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낫다. 주인공은 일간지 기자인 ‘필리프 게랑드’다. 그는 스스로를 ‘뱀파이어’라고 칭하는 비밀 범죄 집단을 뒤쫓는다. 이러한 그를 사무국의 보조 ‘오스카 마자메트’가 돕는다. 처음에 마자메트는 갱단의 비밀 조직원이었지만, 집단의 우두머리인 ‘대흡혈귀’에게 붙잡혀 죽을 위기에 처한 게랑드를 구하면서 둘은 콤비가 된다. 이 과정이 1화와 2화의 주요 내용이다. 이후 3화에서 범죄자들의 뮤즈 ‘이마 베프’가 모습을 드러낸다. 게랑드는 비밀 노트를 해독한 방식과 동일하게 베프를 찾아낸다. 뱀파이어(Vampires)의 애너그램 해독으로 그녀를 붙잡은 것이다. 이윽고 영화는 폭발물 전문가 ‘사타나스’와 독극물 대가 ‘베네노스’를 차례대로 보여준다.

순조롭게 흐르던 이야기는 4화에서 새로운 강도 ‘후앙 데 모레노’가 나타나면서 변화한다. 기존에 ‘선(게랑드)과 악(뱀파이어)’의 구도였던 내용이 모레노의 등장 이후 ‘악(뱀파이어) 대 악(강도)’의 대립으로 재정립된다. 이 변화의 기저에는 당대의 실제 상황이 뒷받침되어 있다. 범죄를 미화했다는 당국의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제작사와 감독은 새로운 캐릭터를 이용했다. 그 덕분에 극은 더 스타일리시해지고 더 악랄해졌다. 자연스럽게 비현실적인 상황이 강조되어 영화는 더 매혹적으로 느껴지게 되었다.

아사야스가 1990년대에 이러한 과정을 담은 영화 <이마 베프>의 주인공으로 택한 것은 홍콩 스타 장만옥이다. 그녀는 실제 자신의 이름으로 등장해서 아이콘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왜 그녀를 선택했는지에 관해서 영화는 <동방삼협>(1993)의 일부 장면을 인용해서 설명한다. 댄서처럼 공중을 떠다니는 홍콩영화의 히로인만이, 신격화된 여배우 ‘무시도라’를 대신할 수 있다고 영화 속의 감독은 주장한다. 따라서 그런 그녀에게 장애가 되는 것은 원작의 난해함도, 스탭들의 불신도, 까탈스러운 감독의 존재도 아니다. 그저 예술가로서 ‘미숙한 완전함’만이 그녀의 적수가 될 것이다.

시리즈 <이마 베프>.

한편 2022년작 8부작 시리즈 <이마 베프>의 주인공은 스웨덴 출신의 알리시아 비칸데르가 맡는다. 그녀는 ‘미라 하버그’라고 불리는 할리우드 스타로 분해 블록버스터 산업의 주인공이 된다. 고함 소리와 긴장감으로 가득 찬 현장에서 그녀는 예술을 이해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산업구조의 난삽한 구조를 지배하는 유일한 캐릭터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그녀는 장만옥과 동일하다. 현실 감각을 지닌 배역이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대중의 열망을 구현하는 특권 계층으로 분해서 그녀는 움직인다. 시네필의 입장에서, 스타는 산업화된 프로덕션의 표준화된 핵심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TV시리즈 마지막 부분에서, 영화와 동일하게 베프는 환상적인 오브제가 된다. 관객이 그토록 바라던 본질적인 무언가의 파편으로서 <이마 베프>의 여주인공들은 움직인다.

1996년작의 결말을 완전하게 납득하지 못했거나, 극의 추상성에 실망한 관객이라면 드라마 감상은 꽤나 도움이 된다. 몇몇 극적 전환의 모호한 지점들에 관해 아사야스는 드라마 버전에서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한다. 1996년에 베프가 왜 목걸이를 떨어트렸는지, 마지막 결말에서 영화감독이 어떠한 의도로 재편집에 몰두했는지, 논쟁이 필요했던 몇몇 상황이 말끔히 정리된다. “마법사는 보이지 않는 힘을 믿는다”, “배우들은 감독의 영혼이고, 따라서 영화는 의식이다” , 만일 “보이지 않는 것을 믿지 않으면”, 좋은 영화는 결단코 탄생할 수 없다고, 명확한 대사를 이용해서 그는 시네마를 칭송한다.

이 과정에서 한 매체가 다른 매체보다 미학적으로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다만 이 새로운 하이퍼 레퍼런스의 작품을 통해, 아사야스는 ‘계획된 쇼츠’가 지니고 있는 의미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운다. 설혹 반영된 이미지가 똑같은 구조를 가진다 하더라도, 각자의 맥락에 따라 독창성을 선사할 수 있음을 그는 믿고 있는 듯 보인다. 이것이 바로 시네필이자 영화예술가로서 아사야스의 원동력일 것이다. 최근 불거진 플랫폼 전쟁에서 본질은 이미지가 드러내는 ‘경험’의 중요성이 되어야 함을, 일련의 <이마 베프> 시리즈는 설명하고 있다. 빛을 추앙하는 일곱 번째 예술에 현혹된 한 연출가의 고백을 극장에서 만끽하길 바란다.

알고 봅시다

<이마 베프>에서 주인공만큼 중요한 배역은 ‘영화감독’이다. 영화에서 누벨바그 시대의 몰락한 거장 ‘르네 비달’은 장피에르 레오가 맡는데, 그는 <400번의 구타>(1959)로 데뷔한 누벨바그 시대의 스타였다. 한편 드라마에서 감독은 배우 뱅상 마케뉴가 연기했다. 그의 얇은 목소리 톤은 아사야스를 흉내낸 것으로, 이전 영화보다 훨씬 더 실제 연출자와 비슷하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