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기획] ‘성난 사람들’, 그들이 화가 난 진짜 이유는?
2023-05-05
글 : 김수영

경험에서 비롯한 보편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이야기

모든 것은 흰색 SUV에서 시작됐다. 대니와 에이미의 강렬한 첫 만남은 <성난 사람들>의 제작자, 쇼러너, 총괄 프로듀서인 이성진의 실제 경험에서 비롯됐다. 마트 주차장이 아닌 로스앤젤레스 중심가의 한 교차로에서였다. 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뀌자마자 뒤에 있던 BMW 차량이 경적을 울리며 욕설을 퍼붓고 지나갔고 이성진은 충동적으로 그 차를 뒤쫓아 달리다 집으로 돌아왔다. 이 불쾌한 경험이 시리즈의 아이디어를 촉발했다.

스티븐 연과 앨리 웡은 이성진이 작가로 참여했던 애니메이션 시트콤 <투카 앤 버티>에서 합을 맞춘 적이 있다. 이성진은 친구처럼 지내던 스티븐 연과 난폭운전 아이디어에 관해 1년 동안 이야기를 나누며 이야기를 구상했다. “앨리 웡의 스탠드업 코미디를 보면서 그녀가 삶의 어두운 진실을 솔직하고 재미있게 말할 줄 아는 사람이라는 걸 알았다. 그게 이 작품에 매우 필요했다”는 이성진은 앨리 웡에게 전화를 걸었다. “원래는 상대방 운전자가 백인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만약 그게 앨리였다면 어땠을까?” 이성진은 스티븐 연, 앨리 웡과 함께 “각자 살면서 겪은 개인적인 이야기, 일화, 장면을 수집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게 이 드라마가 보편적이면서도 매우 구체적으로 느껴지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어떠한 편견이나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 없이 미국 내 한인 이민 사회나 그들의 일상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데에는 이러한 작업 과정이 주효했다.

인종보다 앞선 캐릭터의 고유성과 보편성

<성난 사람들>에 그려진 아시아계 이민자들의 삶은 천차만별이다. 도급업자 대니는 성실하지만 어리숙한 성격으로 사기를 당하기도 하고 경제적으로도 곤궁하다. 반면 에이미는 악착같이 일해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자신이 벌어들인 돈과 손수 리모델링한 집에서 안락하게 누릴 시간이 부족하다. 대니와 에이미는 다른 처지에 놓였지만 각자의 삶에서 지위 혹은 책임감이라는 이름으로 불만스러운 상황을 간신히 견디고 있다. 그런 두 사람이 익명의 존재로 부딪히는 순간– 차 안에서 화를 낼까 말까 고민하던 그 3초의 순간– 둘은 상대방을 자신이 통제하고 응징할 수 있는 존재라고 믿어버린다. 난폭한 행동을 마다하지 않고 상대방을 향해 화를 쏟아내지만 문제는 서로가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는 거다.

대상이 분명한 복수와 분노는 얼마나 강력하고 통쾌한가. 로드레이지(난폭·보복 운전) 사건은 화장실에 소변 뿌리기, 인터넷에 악플 달기, 차에 낙서하기 등으로 수위를 높여가며 서로에게 쾌감과 고통을 번갈아 안긴다. 추크추방(Zugzwang), 어떤 수를 두든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을 가리키는 체스 용어처럼 서로의 복수가 자신의 목줄을 조여오는지도 모른 채, 대니와 에이미는 복수의 짜릿함과 분통만이 그들이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착각한다. 서로의 사유재산을 넘어 인간관계까지 파괴하는 복수를 주고받으며 그들은 이제껏 지니고 있던 것들을 하나둘씩 처참하게 잃어간다. 이 복수극의 흥미로운 지점은 그들이 무언가 잃으면서 비로소 자신의 내면을 탐구해나간다는 점이다. 급기야 성공이나 책임감으로 포장된 일과 가정, 자존심을 유지하기 위한 선의의 거짓말 등이 낱낱이 까발려져 가진 게 (너덜너덜해진) 맨몸뿐인 지경에 이른다. 에피소드 후반부에서 맨몸으로 마주 선 두 사람은 비로소 서로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보고 이전에 없던 이해의 경지에 도달한다. 적당한 화해가 아닌 설득력 있는 상호 이해의 순간이자 놀라운 교감의 순간이다.

대니와 에이미가 실제 인물처럼 느껴지도록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게 한 <미나리> 이후 스티븐 연은 <성난 사람들>에서 또 한번 한국계 미국인 역할을 맡았다. “대니를 연기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개인적인 것처럼 느껴졌다”고 밝힌 것처럼 그는 내면적이고 솔직한 모습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를 간직한 리키(<놉>)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제이콥(<미나리>)과는 대조적으로 극 중 대니는 내내 화가 나 있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쩔쩔맨다. “우리 모두의 내면에 ‘대니’가 있다. 대니를 연기하는 일은 우리가 지속적인 불안과 억압을 가지고 살아갈 때, 내면에서 어떤 충동이 벌어지는지를 탐구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극 중 대니의 모습에서 한국적인 동질감을 느끼게 하는 것들은 그저 카카오톡 음성통화나 설렁탕, 김치 같은 소재가 아니다. 그가 장남의 역할을 하기 위해 자신보다는 누군가의 아들, 형으로서 안간힘을 쓰는 순간들이다. 스티븐 연은 “대니는 의무를 다하려고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부모와 진정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고통을 느낀다. 대니의 눈에는 자신의 삶이 남들과 너무 다르게만 느껴질 거다. 이민자의 맏아들로서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고방식이었다”고 말했다.

에이미를 연기한 앨리 웡은 배우 및 스탠드업 코미디언이자 여성들에게 건네는 조언을 담은 책 <디어 걸스>의 저자다. <성난 사람들>에서 “나한테 뭐라도 사줄 사람이 대체 누구야? 에이미한테 뭐라도 사줄 사람은 나 에이미야”라고 남편 조지(조셉 리)를 쏘아붙일 때는 연인, 가족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성차별을 꼬집어대던 스탠드업 코미디쇼의 앨리 웡이 고스란히 보인다. “에이미는 겉보기에는 완벽한 삶을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람들은 누군가의 머릿속이나 개인적인 삶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결코 알지 못한다. 이런 맥락에서 <성난 사람들>은 이제까지 내가 해왔던 쇼나 연기와는 달랐고 에이미는 내가 무대에서 하지 못했던 것들을 이야기할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성난 사람들> 그 이후

한인 이민 사회의 삶을 더욱 실감나게 담아낸 공간은 한인 교회다. 이성진 작가는 “스티븐과 내가 한국 교회에 나가며 컸듯이 대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 그를 한국 교회에서 노래 부르게 했다. 교회는 내 어린 시절의 일부이며 추억이 많은 곳이라 미화하기보다 실제 느낌을 담으려고 했다”고 말했다. 더불어 “작품을 쓰면서 한국 문화나 한국인의 정체성에 관해 여러 사람들과 논의했지만 특별히 부각하려고 하진 않았다. 스티븐과 나는 우리가 경험한 기분과 분위기에 신경 쓰고 작중 인물들을 실제처럼 느끼도록 하려고 애를 썼다”고 말했다.

역동적인 캐릭터와 예측 불허의 스토리, 인상적인 오프닝 타이틀과 명사의 인용구를 딴 제목, 매화를 끝맺는 90년대 록음악까지, <성난 사람들>은 평단과 관객으로부터 좋은 평을 이어가고 있다. 넷플릭스는 <성난 사람들>을 에미상 리미티드/앤솔러지 부문에 출품했는데, 팬들 사이에서 수상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와중에 뜻밖에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극 중 대니의 사촌형인 이삭으로 출연한 데이비드 최가 2014년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난 성공한 성폭행범”이라고 발언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진 것이다. 데이비드 최는 “당시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라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이에 지난 4월21일 제작자 이성진과 배우 스티븐 연, 앨리 웡은 <버라이어티>를 통해 “데이비드 최가 9년 전 날조한 이야기는 매우 충격적이며, 우리는 이 일을 용납할 수 없다”는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이성진 작가는 마블의 차기작 <선더볼트>에 작가로 참여해 커리어를 이어간다. <선더볼트>의 감독이자 <성난 사람들>에 크리에이터로 참여한 제이크 슈레이어, 프로덕션 디자이너 그레이스 윤, 편집자 해리 윤과 다시 합을 맞출 예정이다.

사진제공 넷플릭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