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인터뷰] 우수상 당선자 ‘유선아’, “마음을 동하게 만드는 영화에 관해 쓰고 싶다”
2023-07-15
글 : 임수연
사진 : 백종헌

유선아 당선자가 살아온 궤적에는 영화가 좋아서 했던 선택들이 있다. 외국어를 배우고 싶다고 고민한 시절에 감상한 이와이 슌지의 <러브레터>는 일본학을 전공하게 된 여러 이유 중 하나가 됐고, 졸업 후 영화제 일을 하게 된 것도 영화를 많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의 글쓰기 또한 특정 작품을 보고 생긴 마음의 변화가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알아내고 싶을 때 시작되곤 한다.

- 당선 소식을 들었을 때 어땠나.

=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깊이 생각할 시간이 없어서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 얼떨떨하다. <씨네21> 영화평론상에는 올해로 세 번째 지원했다. 첫해는 크리스티안 페촐트 감독론으로 이론비평, <스파이의 아내>로 작품비평을 썼고 그다음 해에는 루크레시아 마르텔의 <자마>로 이론비평, <바쿠라우>로 작품비평을 썼다.

- 루이 푀이야드의 <흡혈귀 강도단>과 영화 <이마 베프>, 드라마 <이마 베프>를 엮어서 이론비평을 썼다. 작품비평 대상으로는 <메모리아>를 골랐다.

= 올해 극장에서 처음 본 영화가 <이마 베프>였다. 내가 장만옥이라는 배우에게 어떤 매혹을 느꼈는지 고민하다가 가까운 친구에게 의견을 구하니 배우론을 써보면 어떠냐고 했다. 하지만 영화배우에 대한 글을 쓰면 캐릭터를 다뤄도 필연적으로 배우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조심스러워졌다. 그래서 <이마 베프> 작품에 대한 글을 쓰기로 했다. 그 과정에서 <흡혈귀 강도단>과 올리비에 아사야스가 2022년 알리시아 비칸데르 주연의 드라마로 다시 만든 <이마 베프>도 보게 됐다. 처음 <메모리아>를 봤을 때는 아피찻퐁 위라세타꾼의 전작에 비해 충족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는데 영화 마지막에 나오는 소리의 정체가 드러나는 대목에서 직관적으로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 영화제에서 일했다고 들었다.

= 처음엔 영화를 좋아해서 부산국제영화제 기술팀 자원봉사를 지원했고, 영화제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프로그래머가 되면 영화를 많이 볼 수 있어 좋겠다는 생각에 영화제 일을 시작했다. 여러 영화제를 돌면서 경력을 쌓았고, 그중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램팀에서는 3년 정도 일했다.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서는 영화이론에 관한 기반이 있어야 한다는 조언을 받은 뒤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이론과에 진학해 공부를 하기도 했다. 지금은 산업 영문 번역가로 활동한다.

- 영화에 관한 글은 언제부터 쓰기 시작했나.

= 어렸을 때부터 글을 쓰고 싶다는 마음은 강했는데 소설이나 르포쪽이었지 영화평론에는 큰 뜻이 없었다. 그리고 영화 글쓰기를 직업으로 삼는다면 내가 쓴 글을 남들에게 보여줘야 하는데 그 마음을 먹기까지 굉장히 어려웠다. 본격적인 실천을 마음먹은 것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 SNS나 블로그에도 영화 글을 올리지 않는 편인가.

= 계정은 있지만 내 생각을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는 게 내겐 어렵다. 영화평론상에 글을 보낸다든지 하는 개인적인 실천을 한 동력은 ‘하고 싶다’는 마음이었다. 나는 어떤 영화를 보고 마음이 동하는가, 그것을 알아내기 위해 쓴다는 것에 가깝다.

- 최근 개봉작 중 그렇게 마음이 동했던 영화를 꼽는다면.

= <헤어질 결심>. 아직 생각이 정리된 상태는 아니지만 복수극의 연장선상에 있는 사랑 이야기라는 관점에서 시작해볼까 하는 아이디어가 있었다.

- 앞으로 어떤 글을 쓰고 싶나.

=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관객으로서 관심사는 환상성과 유령, 물질과 비물질, 몸과 마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있다. 그런 지점을 찾았을 때 글을 쓰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