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2004 상반기 한국영화 재구성 [5]
2004-06-01
사진 : 정진환
정리 : 김혜리

기독교적 테마를 자의식화한 김기덕

정성일 | 김기덕 감독은 베를린 감독상까지 받고도 관심을 너무 못받는 것 같다.

김소영 | 나는 영화를 아직 보지 못했다.

허문영 | 개인적으로는 임권택, 홍상수, 김기덕, 세 사람 공히 평론가들이 말하기 좀 지겨워진 듯한 느낌이 든다. 최대한 호의를 갖고 보지 않으면 정이 가기 힘들다. 그러나 짜증나는 건 어떤 비평이 <효자동 이발사>를 치켜세우고 <여자는…>을 짜증난다고 할 때다. 그러면 우리는 변호사형 비평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사석에서 정 선배가 일반적 평가와 달리 <사마리아>를 김기덕 영화의 어떤 진전으로 본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정성일 | 제일 놀란 것은 홍상수 영화가 지겨울지언정 이제 나쁜 영화를 찍는 건 불가능하듯이, <사마리아>를 보면서 이제 김기덕 영화가 역겨울지언정 나쁘기는 틀렸구나 싶었다. 이제 그는 어떻게 영화를 찍어도 나빠질 수 없는 구조를 만들어냈다. 앞의 1/3을 보면서 너무 유치하고 대사들도 관념적이라 이 사람이 어쩌려고 이 지경이 됐나 했는데, 불현듯 아내의 묘지를 찾아가는 여정이 되는 순간 영화가 자기 페이스를 끌고 들어와서 홍상수와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그 리듬을 타고 흘러갔다. 그 리듬 자체가 완전한 영화적인 생각의 시간을 끌어냈다. 홍상수가 우리로 하여금 머리로 읽게 만든다면 김기덕은 마음으로 읽도록 끌어당긴다. 둘째로 이전에는 김기덕이 종교적 테마를 끌어안거나 묘사할 때 생경했는데 <사마리아>에선 종교적 테마를 끌어안고 전개하는 방식이 자기 세계를 만들어냈다. 영화 앞의 2/3가 세상을 살아낸 여자애와 아버지의 액추얼 월드, 나머지는 생각의 버추얼 월드를 만들고 두 세계를 무리없이 연결해내서 그를 통해 이 영화의 제목인 ‘사마리아’에 대한 교훈을 던져준다는 점에서 새로운 김기덕의 단계로 도약했다. 또, 거칠고 부족함이 김기덕 세계의 미숙함과 이상한 균형을 찾고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이를테면 <여자는…>의 최대 단점은 여관방 촬영이 완벽한 조명설계와 공간처리와 옵티컬 프린팅으로 그 세계를 어리둥절하게 만든 것에 비해 김기덕은 거칠고 미숙한 것들이 <사마리아> 안에서 완전히 자기 시스템과 방식을 찾았다는 생각을 했다.

허문영 | 기본적으로는 홍상수 감독과는 다른 방식이긴 하지만 김기덕은 영화의 카메라워크와 편집과 연기와 동선과 이야기를 자기 세계 안으로 완벽하게 끌어들인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고, 특정영화를 싫어할 순 있지만 그 세계가 가진 경지를 부인할 순 없다고 생각한다. 쉽게 동의가 안 된 점은 딸과 섹스하는 자들을 징벌하고 자기도 자살하는 아버지의 선택이다. 김기덕 영화로서는 뜻밖의 선택이다. 성적 문란에 징벌자가 되는 동시에 스스로를 징벌하는 설정은 상투적이라고 느껴졌다. 차라리 스스로를 징벌하지 않았더라면 더 김기덕적이었을 텐데.

정성일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이전의 김기덕과 이후의 김기덕이 따로 있다. 이전에 김기덕은 자기 테마가 기독교인지에 대해 자의식이 없었다. 그런데 <봄 여름…>인지 <해안선>인지를 통과하면서 기독교 테마를 자의식화했다. 그래서 이제는 징벌을 하느냐 마느냐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희생과 구원이다. 자해의 이유를 모르고 징벌을 내리고 부수는 과정에서 몸이 부서지는 것이 예전의 아홉편 영화 테마였다면 이제는 희생을 선택할까 구원을 선택할까 하는 딜레마를 고민한다.

허문영 | 김기덕 감독의 인물 무게중심이 이동한다는 느낌을 <봄 여름…>부터 들었는데 여기서는 방식이 너무 단순하고 어떻게 보면 주류적인 방식과 가까운 거여서 너무 스트레이트한 결말이 아닌가 싶었다. 물론 말씀대로 극의 흐름상 치명적 무리를 초래하진 않지만 판타지를 끌어온다거나 어떤 스토리 외의 외적 요소 사운드나 다른 방식을 통해 결말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정성일 | 그 점에서 홍상수와 김기덕이 전혀 다른 방식에서 똑같은 문제에 빠졌다. 둘 다 최대 문제는 매너리즘이다. 한 사람은 자기 형식을 완전히 마스터하고, 한 사람은 자기 테마에 대해 자의식을 가졌다. 한편으로는 한 사람에게는 형식이 자기 함정이 되고 다른 한 사람은 단순함으로 귀결된다. 하나의 마스터 내러티브를 갖고 순환에 빠졌다는 점에서 두 사람에게 매너리즘은 양날의 검이다. 피할 수도 없고, 피하는 순간 이 길을 버려야 하고, 그 길을 계속 가자니 자칫 진부함을 초래할 수 있다.

칸 사대주의를 끝내야 할 때

김소영 | <청풍명월> <올드보이> <여자는…> 그리고 감독 주간과 시네파운데이션에 단편이 출품됐는데 과거 <취화선> <박하사탕> 등이 초청돼 칸에 과도한 상징적 아우라를 부여했다면 올해는 기준이 단일하지 않은 영화들이 같이 다 가는 바람에 칸에 대한 과잉평가 내지 기대가 흐트러진 것이 좋은 것 같다. 한편 칸에서 수상을 하거나 경쟁부문에 들어간다는 게 아트하우스 시장에는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한국영화를 봐서는 굉장히 좋은 기회다. 적당히 긴장하면서 칸을 바라봐야겠다.

허문영 | 칸의 선택은 굉장히 뜻밖이었다. 표면적으로 짐작만 할 수 있는 건 거장 우선원칙이 쇠퇴하고 대중성을 좀더 고려하기 시작한 것이 중요한 변화다. 거장에 대한 무조건적 배려 때문에 칸이 간혹 욕을 많이 먹었기에 어찌보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도 볼 수 있다. 좀 우려스러운 것은, 그간 아시아영화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자가 칸이었고 그만큼 파워풀하기에 아시아영화의 유통 거점 역할을 했는데 올해 선택은 좀 다르다. 허우샤오시엔을 배제했고 제작일정 문제이긴 하나 임권택이 빠졌고 키아로스타미 영화 두편이 경쟁부문에서 빠져나갔다. 일본에서도 스와 노부히로, 아오야마 신지 영화를 사실 보고 싶어했을 텐데 결과는 제일 서구 어법에 가까운 고레다 히로카즈가 갔다. 한국의 <올드보이>도 지역성이 잘 보이지 않는 초국적적 영화다. 전체적으로 볼 때 칸이 아시아영화에 대한 전통적 지지를 철회해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든다. 57회의 셀렉션만 갖고 판단하긴 어렵고 지켜봐야겠지만 티에리 프레모가 지도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안은 이 경향이 지속될 듯하고, 그렇다면 장기적으로 아시아영화와 세계 관객과의 만남에서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우려된다.

정성일 | 올해 칸의 최대 특징은 새로운 이름을 모으고자 한 것 같고 그래서 상당수는 한번도 칸 어느 부문에도 초대받지 못했던 이름이며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는 전례없이 많은 신인감독이 있다. 매우 유감스럽게 한국 신인은 하나도 없는데, 이 뜻은 한국영화에 미래가 없다는 신호탄처럼 보이기도 한다. 칸은 지금 시점을 세대교체의 시기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를테면 박찬욱을 새로운 감독처럼 생각하지만 그가 첫 영화를 찍은 것이 90년의 일이고 홍상수도 올해가 10년째다. 생각하면 한국영화의 21세기 뉴웨이브는 누구도 세계의 반열에 올라서지 못했다는 뜻이기도 한 것 같다. 올해 칸은 거꾸로 당신들의 미래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하는 게 아닐까.

허문영 | 칸이 미학적 기준을 더이상 제1조건으로 삼지 않는 느낌이 확실해 거기 선택되지 않음이 한국영화의 미래와 결부시킬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정성일 | 사실 김 선생이 지적한 것처럼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칸이라는 권위가 우리에게 짐 지워주는 것을 탈신화화하는 일이다. 폐해가 너무 큰데다 그것이 한국영화를 휩쓸고 지나가고 서열을 매기는 것은 여전히 우리가 사대주의에 사로잡혀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할리우드로 간다는 기괴한 민족주의와 칸에 대한 사대주의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는데, 그 숨바꼭질을 이번 칸영화제를 기점으로 끝내야 하지 않는가 하는 게 내 생각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