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바흐만 고바디 [1]
2005-04-19
글 : 김현정 (객원기자)
<거북이도 난다>로 다시 쿠르드의 현재를 고발하는 감독 바흐만 고바디

냉정한 카메라, 뜨거운 눈물을 흘리다

<거북이도 난다>의 촬영현장. 사진 맨 오른쪽이 감독 바흐만 고바디이다.

국경을 넘나들며 돈을 버는 어린 쿠르드 소년 둘이 트럭 짐칸에 앉아 노래를 부른다. “인생이란 놈은 나를 산과 계곡으로 떠돌게 하면서 나를 나이먹게 하고 저승으로 이끄네.” 목청껏 소리지르는 소년 중 한명은 그 장면을 찍기 2주 전에 지뢰를 밟아 다리를 잃었다고 한다. 한쪽 다리만 가진, 그런 몸으로도 살아남아야만 하는 아이의 노래를, 어떻게 견딜 수 있었을까. 첫 번째 장편영화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으로 칸영화제 황금카메라상을 수상한 바흐만 고바디는 그처럼 전쟁이 일상이 되어버린 동족들의 사연을 눈물이 아닌 의지로 덮고선 이방인들에게 전해왔다.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 <고향의 노래> <거북이도 난다>. 바흐만 고바디가 만든 세편의 영화들 속에서, 쿠르드족은 <CNN> 카메라로 여과되지 않은, 무방비 상태의 삶을 드러낸다. 그들은 머지않아 죽음이라는 종착역에 도달하겠지만 그전까지는 길 위에서 살아가며 노래해야만 한다.

바흐만 고바디가 아니었다면 사담 후세인이 투하한 화학무기와 미군이 묻어둔 대인지뢰 사이에서 끈질기게 생명을 유지해온 쿠르드족은 목소리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 예술로 남지 않아도 좋다. 쿠르드족은 뼈대로 세워둔 바흐만 고바디의 픽션에 힘입어 모두가 묻어두려고 했던 역사를, 그 모두에게, 죄의식으로 일깨웠다. “나는 말하지 못한 이야기들로 가득 찬 땅에서 태어났다. 그곳에선 사건이 끊이지 않아 숨이 막힐 정도였다. 내 고향은 목소리를 갖지 못한 대지, 침묵 속에 고통을 견뎌온 어머니와도 같은 땅이다.” 거친 입자로 기록된 그의 영화는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가 의미를 잃을 수밖에 없는 드라마틱한 고향의 노래이다.

이슬람 속의 버림받은 민족, 쿠르드

<거북이도 난다>
<고향의 노래>

이란 영토 내의 쿠르드 지역에서 태어난 바흐만 고바디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조감독을 지원해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에 참여했으면서도 스승처럼 고요한 영화를 만들 수는 없었다. 그가 겪은 현실은 상상이나 성찰의 영역을 뛰어넘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쿠르드족 아이들이 태어나서 처음 맞대는 풍경은 어머니의 행복한 얼굴이 아니다. 불타는 집과 사지가 잘려나간 사람들이다. 그들은 엄마나 아빠 대신 폭탄과 전쟁, 달아나, 라는 단어를 먼저 배운다”고 말했다. 그것은 짐작한다고 알 수 있는 삶이 아닐 것이다. 발딛는 곳마다 죽음이 깔려 있는 쿠르드 거주 지역 베인에서 가족과 함께 탈출했던 바흐만 고바디는 동족 사이에서가 아니라면 옹알이부터 배운 쿠르드의 언어를 말할 수 없었고,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 전설도 잊어야 했고, 다프(탬버린과 비슷한 쿠르드족의 전통 타악기)의 울림도 듣지 못했다. 뿌리를 잃어버린, 죽음과 상처 앞에서도 침묵해야만 하는 영혼. “앉아서 슬퍼하고 한탄하는 것보단 낫다고 생각해서” 영화에 가까워진 바흐만 고바디는 8mm 캠코더로 숱한 단편영화를 만들면서 2천만명에 달하는 동족 누구도 하지 못했던 일을 해내기로 결심했다. 그는 미국이 지원한 중화기도 소용없었던, 국경과 국경 사이에 걸쳐 있어 책임질 사람 없었던, 쿠르드족의 기억과 현재를 카메라로 퍼냈다.

이란과 이라크, 터키, 시리아에 흩어져 살고 있는 쿠르드족은 국가를 갖지 못한 소수 민족이면서 화약을 떠안은 아랍의 국경지역 거주민이기도 하다. 바흐만 고바디가 언제나 이란과 이라크 사이 국경에 이끌리는 것도 그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한 발짝도 넘어오지 말라고 지뢰를 뿌려놓았는데도, 그곳 말고 갈 데가 없다면, 어찌해야 하나. 바흐만 고바디의 영화 중에서도 가장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은 두 나라 모두로부터 떠밀려난 아이들이 눈물을 담고서도 지뢰밭을 헤치며 먹고사는 분투를 담고 있다. 세살 즈음에서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성장을 멈추었고 조만간 죽게 될 마디, 단 몇달 만이라도 형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지뢰깔린 국경을 넘는 밀수꾼을 자청하는 아윱, 신부비 대신 마디를 수술해주기로 하고 나이 많은 남자에게 시집가는 로진, 작은 팔로 열다섯 먹은 오빠 마디를 안고 다니는 아마네. 걸음마하는 막내까지 떠맡은 네 아이들은 밀수꾼이었던 홀아비 아빠가 지뢰를 밟아 죽은 뒤에 닥쳐온 마디의 죽음을 막고자 온 힘을 다한다. 눈물을 쏟으면서도 멈추지 않는다.

쿠르드의 현실을 모자이크하다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

많은 이란영화들처럼 비전문 배우들을 기용한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은 가만히 눈동자만 클로즈업해도 험한 세월을 내비치는 아이들에게서 힘을 얻는 영화다. 바흐만 고바디는 먹고살기 위해 종종걸음치는 아이들을 가까이에서 들여다보거나 아주 멀리서 응시하기만 한다. 현실과 픽션 사이의 어디쯤, 손질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믿기 힘든 절망의 풍경. 그러나 바흐만 고바디는 관객이 긴장을 풀지 않도록 다큐멘터리 대신 픽션을 찍기로 했다는 감독이다. 그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처럼 보이되 지워지지 않는 잔상을 남기기 위해 어찌 보면 교묘하다고 할 수 있는 픽션을 첨가했다. 이란과 이라크 국경지방에 영화처럼 눈이 쌓이는 기간은 몇 주일에 불과하고, 밀수꾼들도 단지 두달 동안만 밴이나 트럭을 타고 포장도로를 달리는 대신 노새를 끌고 지뢰밭을 넘는다.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은 쿠르드족한텐 지극히 짧은 순간에 불과한 계절을 선택해 그들 삶의 전부인 듯 확대한 것이다. 돋보기 중심에 겨울이 들어오고, 나머지 계절은 흐릿한 가장자리로 밀려난다. 그러나 픽션을 현실처럼 강요한다고 해서 바흐만 고바디가 영악한 감독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1년을 눈이 오기를 기다렸던 바흐만 고바디는 혼자 걷기 시작한 이후 한번도 어린아이일 수 없었던 열살 남짓한 아이들이 그들 자신의 삶을 되풀이한 거라고, 아마도 진심으로, 믿는다. 다섯 고아가 부딪치는 상황 전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해도 각각의 에피소드는 현실에서 채취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바흐만 고바디는 이야기를 지어냈다기보다는 쿠르드족의 삶을 모아 패턴을 부여했다고 하는 편이 맞을지도 모르겠다.

영화를 본 적도 없는 쿠르드족에게 주연 자리를 건네준 바흐만 고바디는 그뒤 두편의 영화를 더 만들면서 스스로 터득한 제작방식을 고집해왔다. 그는 “예술과 리얼리티는 서로를 보완한다. 리얼리티가 없다면 예술은 헛되고, 예술이 없다면 리얼리티는 무의미하다”고 말하면서 픽션의 구조 아래에서 현실을 찍는다. <고향의 노래> 또한 실제 쿠르드족 음악가들을 데려와 카메라에 익숙해질 때까지 기다린 다음 함께 이라크 난민캠프까지 여행을 떠나는 과정을 거친 영화다. 쿠르드족의 역사를 알지 못한다면 이 영화를 온전하게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낙천적인 유머와 흥을 돋우는 노래, 그 끝에 벼락처럼 닥치는 비극마저 느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1991년 걸프전에서 패배한 사담 후세인은 독립을 바라고 미국을 지원했던 이라크 영토 내 쿠르드족의 거주지역에 폭격을 퍼부으면서 화학무기 사용을 병행했다. <고향의 노래>는 그 화학무기에 얼굴과 목소리를 다친 여가수를 찾아내려는 여행의 기록이다. 배우들을 따라다니며 그들의 반응에 따라 정해진 시놉시스를 바꾸곤 했던 바흐만 고바디는 빨갛게 얼어터진 아이들의 볼에서 집시처럼 음악을 싣고 다니는 한 노인과 두 남자에게 옮겨갔다.

<거북이도 난다>, 참을 수 없는 삶의 무거움

<거북이도 난다>

명성 높은 쿠르드 음악가 미르자는 23년 전 자기 친구와 달아난 전처 하나레가 이라크 난민지역에 있다는 소식을 듣는다. 미르자는 가기 싫다고 떼쓰는, 역시 음악을 하는 두 아들을 데리고, 소문을 따라 하나레를 찾아다닌다. 악기를 가지고 떠난 세 부자는 총소리가 난무하는 결혼식과 전쟁고아들이 모인 캠프와 이라크 난민촌에서 언제나 노래를 한다. “쿠르드족은 난민캠프에서도 소스팬을 가지고 앉아 그걸 두드리면서 연주를 하고 춤을 춘다. 이것은 그들이 살아가는 방법이다. 그들에게 닥친 운명을 이기고자 한다면, 다른 길이 없다. 유머와 비극의 혼합은 쿠르드족의 삶의 정수이다.” 음악과 유머로 비극을 이긴다. 이 명제는 곧 <고향의 노래>가 따르는 방식이기도 하다. 여인의 노래가 금지된 이란을 떠났던 여가수 하나레는 화학무기에 녹아내린 피부를 천으로 감싸고 갈라진 목소리를 안으로 삼키면서 전남편이 자신의 어린 딸을 데리고 안전한 이란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바라본다. 웃으면서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남편과 아들들이 학살당한 땅에서, 무덤처럼 웅크린 여인들에게 이르는 길은 포기하고 싶을 정도로 처참했을 것이다.

바흐만 고바디는 아윱과 미르자가 철조망을 넘는 순간에 영화를 멈추어 세운다. 그들은 지금까지 걸어온 길과 마찬가지로 험한 여정을 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죽지 않았으므로, 희망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바흐만 고바디는 언제 짐을 싸서 피난가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빠르게 걷고 빠르게 먹고 빠르게 말하는 쿠르드족의 슬픈 리듬을 <고향의 노래> 안에 정신없는 코미디의 동력으로 사용하는 낙천성을 과시하기도 했다. <거북이도 난다>는 다르다. 이라크 전쟁 이후 만들어진 <거북이도 난다>는 아이들을 가루가 되도록 부수어놓는다.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다. 죽어버린 아이들, 넝마로 남은 대지, 존재했었는지도 모를 생의 의지. 바흐만 고바디를 자살의 위기로까지 몰아넣은 이라크 전쟁은 <거북이도 난다>를 죽음만이 아이들을 구원해주리라고 음산하게 속삭이는 영화로 만들었다. 쾌활한 전작 <고향의 노래>를 보고 나면, 두 영화 사이의 간극은, 화가 날 정도로 슬퍼진다. 현실과 예술을 하나로 싸안았던 감독이 현실에 압도당하고 말았다.

<고향의 노래> 상영을 위해 후세인 실각 며칠 뒤에 이라크에 갔던 바흐만 고바디는 자신이 목격한 이미지들에 충격을 받았다. 그의 할머니와 어머니 시절부터 있었다던 지뢰밭과 그곳에서 팔다리를 잃은 아이들에게 단련되어온 바흐만 고바디도 이라크 전쟁을 무심히 넘길 수 없었고, 처음으로 도시에서 영화를 만들려던 계획은 방향을 틀어, 다시 국경지역으로 향하게 되었다. 할랍자가 시작이었을까. 1980년대 사담 후세인으로부터 화학무기 공격을 받은 할랍자는 미군의 침공 즈음에 또 한번 피난민들을 뱉어냈다. 아그린은 그곳에서 온 소녀다. 이라크 군인들에게 강간당해 아이를 낳은 아그린은 부모가 살해당한 고향을 떠나 두팔이 없는 오빠 헹고와 함께 이라크·터키 국경지역으로 흘러든다. 마을 아이들의 지도자격인 소년 위성은 아그린을 보고 사랑에 빠지지만 그녀는 냉정하기만 하다. 아그린은 틈만 나면 절벽 위에 올라 죽음을 꿈꾼다. 이것이 아이들의 이야기다. 아이들이, 지뢰를 파내 시장에 나가 팔고, 임금을 흥정하고, 밤이면 강간과 살인의 악몽을 꾼다. <거북이도 난다>가 유독 강하게 픽션과 판타지의 요소를 담고 있는 건 그 아이들을 곧이곧대로 바라보기 힘들어서였을 것이다.

죽음을 꿈꾸며 시작을 노래하는 감독

바흐만 고바디는 생존을 포기해본 적이 없던 과거와 다르게 “이라크인들이 죽음 말고 어떤 해결책을 생각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한다. “나는 이런 삶을 원하지 않았다. 이런 곤경, 이런 고통을 원한 것이 아니었다. 죽음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보단 나은 곳일 거다.” 구차한 희망이라도 건지고 싶다면 영화 너머로 가야만 한다. 눈먼 아기는 수술을 받아 <거북이도 난다>를 극장에서 보았고 위성은 바흐만 고바디가 제작하는 영화에 조감독으로 고용됐다. 아이에게 보여줄 미래가 없어서 결혼도 하지 않았다는 바흐만 고바디는 그렇게나마 작은 인생 하나하나를 검은 연못에서 건져올리고 있다. 5년 전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으로 데뷔한 젊은 감독은 “무엇도 아윱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는 걸 막을 수 없다. 그는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쟁이 끝나지 않으리라는 사실을 절감하며 가슴 밑바닥까지 말라버린 지금의 바흐만 고바디는, 차라리 죽을까, 라고 중얼거리는 듯하다. 그럼에도 바흐만 고바디는 새로운 코미디영화를 준비하고 있다. 무릎까지 차오른 눈을 밟으며 앞으로만 걸어갔던 아윱처럼, 고바디도 불모를 건너 새로운 노래를 찾을 수 있을 거라고, 믿고 싶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