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베를린이 사랑한 감독들 [7] - 이치가와 곤
2000-03-07
글 : 박은영
사진 : 손홍주 (사진팀 선임기자)
<도라 헤이타> 감독 이치가와 곤

“동지들과의 30년 전 추억을 되새기며”

일본을 대표하는 네 감독이 머리를 맞대고 앉았다. 구로사와 아키라, 기노시타 게이스케, 고바야시 마사키, 그리고 이치가와 곤(84). 이들을 한자리에 불러앉힌 건 ‘죽어가는 일본영화를 살리자’는 사명감. 1969년 스튜디오의 쇠락과 함께, 침체에 빠진 일본영화를 구하기 위해, 이들은 인디 영화사 ‘네 기사의 모임’을 만들었고, 함께 연출할 요량으로 <도라 헤이타>의 시나리오를 썼다. 그러나 구로사와 아키라가 <도데스카덴>의 참담한 흥행 실패로 크게 상심하자, 나머지 세 사람은 합의 하에 이 기획을 접고 말았다. 세월이 흘러 이제 세상을 떠난 동지들과의 추억을 되새기며, 이치가와 곤은 그 영화 <도라 헤이타>를 30년 만에 완성해냈다. 74번째 작품.

<도라 헤이타>는 마약과 매춘과 강도의 도시 호리소토에 급파된 치안감사 사무라이의 활약상을 그린 영화. 고헤이타라는 이름을 두고 ‘도라 헤이타(?)’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그는, 야쿠자, 게이샤와 질펀하게 놀기만 해, 주위의 걱정을 사지만, 결국 그 과정에서 모든 취재를 마치고, 문제적 인물들을 소탕하는 데 성공한다. <도라 헤이타>는 고전적인 이야기 구조와 스타일, 그리고 사무라이에 대한 미화 등이 도드라져, 매끈한 감상에 걸림돌이 된다. 하지만 도라 헤이타가 ‘일 대 다수’로 대결하는 장면의 이미지는 강렬하고, 크고 작은 웃음을 자아내는 독특한 유머감각은 아직 싱싱하다. 이치가와 곤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출발해, <푸상> <열쇠> <도쿄 올림픽>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인간관계와 심리에 남다른 통찰을 보여온 그에게, 올 베를린영화제는 “영화제에 기여한 그의 공적에 감사하는 의미로” 베를리날레 카메라의 영광을 안겼다.

-최초의 시나리오는 30년 전에 쓰여졌다는데, 그 아이디어는 어디서 나온 건가.

=1969년에 구로사와 아키라, 기노시타 게이스케, 고바야시 마사키와 공동 집필했다. 우리는 서로의 영화를 지지하고 또는 비판하면서 자연스레 어울렸고, 일본영화를 위해 뭔가 할 일을 찾고 있었다. 처음엔 같이 쓰고 같이 연출할 생각이었다. 한편의 영화를 네명의 감독이 릴레이식으로 쓰고 연출한다는 건 당시로서도 매우 참신한 기획이었다. 아마 전세계를 통틀어 그런 시도가 없었을 게다.

-네 사람 공동 집필은 어떤 식으로 진행됐는지. 30년이란 세월이 걸린 이유는.

=우린 호텔에서 합숙을 했다. 각자 다른 방을 썼고, 작업도 각자 했지만, 아침과 밤 시간에 모여서 열띤 난상토론을 벌였다. 난 조용한 사람이라 주로 듣는 편이었지만, 나머지 셋은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진 감독들이 모여 앉아 시리즈가 아닌 한편의 영화를 만든다는 것, 각자 좋아하는 파트를 나눠 맡는다는 것은 하나의 모험이자 도전이었다. 당시 여러 사정으로 영화화가 불가능하다는 걸 알았고, 결국 피지 못한 꿈이 되고 말았지만.

-지금에 와서 <도라 헤이타>를 택한 이유는.

=30년 동안 잠들어 있던 시나리오가, 야쿠쇼 고지를 만난 순간, 다시 떠올랐다. 시대극을 소화할 만한 배우가 거의 없지만, 그는 도라 헤이타로 완벽한 동시에 현대적인 느낌까지 준다. 영화를 보면, 내가 야쿠쇼를 배우로서 얼마나 아끼고 좋아하는지 알 수 있을 거다.

-이번 작품을 만들면서 중점을 둔 부분은.

=우리 넷이 함께 일하던 시절을 떠올렸다. 어두운 비극은 만들지 말자고 다짐했던 기억도 새롭고. 유머 가득한 코미디를 만들고 싶었고, 새로운 유형의 영웅을 제시하고 싶었다. 그들은 모두 떠나고 곁에 없지만, 늘 마음속에 그들의 모습, 그들의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도라 헤이타>는 전적으로 그들에 대한 나의 추억이 이끌어낸 영화다. 영화가 혹 잘못 나왔다면, 그건 전적으로 내 탓이다.

-30년 전의 초고와 어떻게 달라졌나.

=캐릭터 자체가 달라졌다. 모던한 요소를 가미해, 캐릭터를 발전시켰다고 할까.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기본적인 설정은 변하지 않았다. 도라 헤이타를 모두가 사랑하는 남자로 그리는 것이 중요했고, 늘 그랬듯이 사람들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진솔하게 그리는 데 주력했다. 이 영화를 ‘30년 전 영화’의 재탕이라 생각지 말았으면 한다. 인기가 시들해진 시대극 장르 부활에 기여한다면, 나로서는 더한 기쁨이 없겠지만.

-20세기에 당신은 74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21세기 일본영화를 이끌 후배들에게 어떤 조언을 하고 싶은지.

=그러고보니, 그간 정말 많은 영화를 만들었다. 가끔은 조금만 덜 했더라면 하는 후회도 든다. 매작품에서 새로운 걸 배우고, 밀접하게 느끼려 노력했던 것 같다. 영화의 과정은 길고 지루하지만, 분명한 건 영화는 죽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건 누구에게나 예외가 없는 얘긴데, 배우고 공부하는 자세로 쉼없이 정진해야 성공한다.

-첫 출발은 애니메이션이었다.

=너무 오래된 일이라, 그때 작업은 거의 잊었다. 일본에서 ‘망가 필름’이라고 불렀는데, 간혹 단편을 만들긴 했지만, 극 영화로 전향한 이후로는 거의 하지 않았다.

-컴퓨터그래픽 같은 새로운 영화 기술에 대한 관심도 있는지.

=장르 영화에선 조명이나 촬영기술이 중요하다. 요즘에는 거기에다 CG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런 기술들은 적당한 기회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나도 물론 관심이 많다. 어떤 기법을 어떻게 쓰는 건지 배우고 싶다. 하지만 솔직히 정은 안 간다. 확신이 없다. 영화에도 향기라는 게 있잖나. 내 영화 인생 내내 찾아헤맸고, 죽을 때까지 지키고 싶은 것이, 바로 영화의 풍미와 운치다.

-앞으로의 계획은.

=구상중인 프로젝트는 셀 수 없이 많다. 일본영화 산업은 지금 한창 피어나고 있고, 그만큼 열심히 일해야 할 시점이다. 홍보에도 많은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