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영화에서 발견한 재즈의 시대 [1] - <스윙걸즈>
2006-04-08
글 : 이종도

To swing or not to swing? 스윙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스윙걸즈>가 던지는 질문이 혹시 누군가의 인생을 좌우할지도 모른다. 재즈의 공작으로 알려진 듀크 엘링턴 가라사대, “스윙이 거기 없다면 그건 아무것도 아닙니다”라고 하지 않았던가. <스윙걸즈>는 재즈의 맛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스윙의 즐거움과 흥분과 미각을 알아차리게끔 해주는 애피타이저 같은 영화다. 재즈 음반 한장 없어도, 스윙이 뭔지 알지 못해도 재즈를 즐길 수 있다. 그 첫걸음은 <리플리>의 감미로운 쿨 재즈 선율일 수도, <버드>처럼 격렬하고 뜨거운 비밥 재즈일 수도, <스윙걸즈>처럼 초심자들이 가볍게 흥얼대며 장단을 맞추는 스윙일 수도 있다. 그러나 첫걸음을 어디서 시작하든 그게 무슨 상관이랴. 횡단보도에서 나오는 시그널 뮤직인 <Coming Through the Rye>에서도 재즈를 발견하는 ‘스윙걸즈’의 발랄함만 있다면 되는 거 아닌가.

느낌으로 따라가는 빅밴드의 경쾌한 선율

1930∼40년대 스윙의 시대 - 야구치 시노부의 <스윙걸즈>

“재즈는 이해하기보다는 느끼는 음악이어야 한다.” - 아트 블래키

이 영화 한편으로 바로 스윙을 알게 됐다면 그건 거짓말일 것이다. 다만 이 영화 한편으로 스윙이 뭔지 어슴푸레 느꼈다고 한다면 그건 참말일 것이다. 재즈의 초심자로 하여금 아껴둔 쌈짓돈으로 중고 색소폰을 사고 싶은 마음을 일게 했다는 것만으로도 이 영화는 충분히 즐겁다. 식중독에 걸린 학교 밴드부 대신 급조된 보충학습반 아이들이 재즈에 눈을 뜨게 된다는 내용의 <스윙걸즈>(2004)는 재즈의 역사를 혼자 써내려간 마일스 데이비스로부터도, 재즈 마니아를 식별하는 표지인 찰리 파커로부터도, 이름만 재즈 카페지 재즈다운 곡은 하나도 틀지 않는 카페에서 겨우 인색하게 흘러나오는 쳇 베이커나 스탄 게츠로부터도 시작하지 않는다. 바로 듀크 엘링턴의 <Take the A Train>으로 시작한다.

급조된 밴드부가 처음 연습하는 곡이기도 하고, 맨 마지막 밴드부 경연대회에서 어깨를 들썩거리게 하는 ‘스윙 소녀’의 연주곡이기도 하며 1930∼40년대를 풍미한 ‘스윙의 시대’를 대표하는 곡이기도 하다. 이 시대는 10명 이상의 대규모 밴드가 연주하는 빅밴드 시대였다. 빅밴드를 대표하는 이름들 가운데 첫손에 꼽히는 것이 바로 듀크 엘링턴, 카운트 베이시, 베니 굿맨, 글렌 밀러 등이다. <스윙걸즈>는 이 빅밴드의 시대에서 유독 우리의 귓가에 오랫동안 친숙한 선율을 남겼던 글렌 밀러의 <In the Mood>, 베니 굿맨의 <Sing Sing Sing> 등으로 재즈가 어렵기만 한 음악은 아니라는 점을 각인시킨다. 짧은 검은 스타킹 차림으로 발로 박자를 맞추는 우에노 주리(스즈키 토모코)의 경쾌한 스텝처럼 말이다. 그건 굳이 배우지 않고도 느낌만으로도 따라할 수 있는 선율이다.

재즈의 모차르트로도 불린 듀크 엘링턴은 재즈 역사상 가장 멋쟁이였고, 쉴새없이 떠오르는 멜로디로 재즈의 아름다움을 알린 장인이었으며, 데이브 브뤼벡(<The Duke>)과 스티비 원더(<Sir Duke>)까지 곡을 써서 헌정할 정도로 존경받는 예술가였다. 그의 빅밴드엔 자니 호지스(알토 색소폰), 벤 웹스터(테너 색소폰), 지미 블랜튼(베이스) 등 재즈계의 명장들이 수십년간 몸을 담았다. 1941년에 녹음된 <Take the A Train>은 지금 들어도 온몸이 들썩거릴 정도로 흥겹고, 자기도 모르게 우에노 주리처럼 오른발을 앞으로 내밀어 장단을 맞추게 되는 곡이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 곡이 실린 <In A Mellotone> 앨범에 대해 “진정 뛰어난 음악이 불현듯 내 몸에 다가왔을 때, 어디에선가 조용히 샘솟는 깊은 공감과 넉넉한 자비”라고 썼다(<재즈 에세이>). 듀크 엘링턴이 우아하면서도 재치있는 피아노 선율로 시작하면, 바로 색소폰 파트가 그 선율을 받아서 멜로디로 진행시키는 라인은 듣기만 해도 설렌다. 우에노 주리가 자신의 왼편에 있는 색소폰 파트의 친구들을 정겹게 바라보며 음정도 안 맞는 선율을 불 때, 그 표정은 얼마나 상쾌하면서도 아름다운가. 그들의 서툰 연습 덕분에 스윙 소녀들이 눈에 갇힌 기차 안에서 라디오 선율에 맞춰 단 한명의 관객을 위해 연주한 <Take the A Train>은 더욱 가슴에 와닿는다. 스스로 흥겨워서 어쩔 줄 몰라하는 스윙의 정신이 거기에 있다(너무 ‘일본적인’ 일사불란함이 마음에 걸리긴 하지만).

연주회 마지막을 장식하는 곡은 당연히 스윙시대의 상징이라 해도 좋을 베니 굿맨의 <Sing Sing Sing>이다. 이건 누구라도 예상할 수 있다. 다만 그 감동의 크기는 예상하기 어렵다. 카운트 베이시 악단처럼 원초적이고 화끈한 스윙의 리듬은 없지만, 각 솔로 파트를 독립시켜 악단의 최상의 기량을 뽑아내는 감각이 있다(그래서 스윙 소녀들의 개성이 두루 발현될 수 있다). 맥주광고로도, 숱한 영화의 배경음악으로도 쓰여 귀에 유독 익은 멜로디다. 듀크 엘링턴으로 가기 위해 베니 굿맨을 우회로로 택할 수도 있다(물론 찰리 크리스천과 함께한 진지한 작업도 있지만). 스윙 소녀들은 우리가 재즈의 정문이 높게 느껴질 때, 친숙하게 타고 넘을 수 있는 담장으로 인도한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