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난 감독들 [4]
2006-10-30
글 : 김현정 (객원기자)
글 : 이다혜

혼돈에 휩싸인 현대 중국에 대한 냉정한 풍자

폐막작 <크레이지 스톤>

스물아홉살의 젊은 감독 닝하오는 <향> <몽골리안 핑퐁>으로 외국에 알려졌지만 중국 관객과 만나는 데 성공하지는 못했다. 담담하고 침착한 시선을 지니고 있던 그가 할리우드영화처럼 잰걸음으로 달려가는 <크레이지 스톤>을 만든 것은 그 때문이었다. “나의 전작 두편은 다소 난해해서 관객이 극장에서 머리를 싸맸다. 이번엔 오락성에 치중하여 대중적인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그렇다고 하여 <크레이지 스톤>이 지금까지 닝하오의 흔적을 모두 지워버린, 오직 관객만을 추구하는 영화는 아닐 것이다. 값비싼 비취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소동을 담은 <크레이지 스톤>은 가짜 비취와 진짜 비취가 쉴새없이 뒤바뀌며 보석 전시장을 난장판으로 만들어가는 와중에도 변화와 혼돈에 휩싸인 현대 중국사회를 냉정하게 풍자하곤 한다. <크레이지 스톤>에서 한때 대의와 명분을 중시했던 중국 대륙은 돈으로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나라가 되어버렸다. 전직 경찰이자 공장 경비원인 바오는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지 않도록 도와달라는 공장주의 설득에 넘어가지만, 공장주는 돈다발이 눈앞에 보이자 뒤도 돌아보지 않고 신의를 던져버린다. 그러므로 전립선염 때문에 오줌을 누지 못하던 바오가 마침내 시원한 오줌 줄기를 내뿜으며 기뻐한다 해도, <크레이지 스톤>이 해피엔드로 보이지는 않는 것이다.

베이징영화학교에서 촬영을 공부하고 뮤직비디오를 연출했던 닝하오는 자본주의의 첨단에서 이익을 취하는 대기업 사장을 제외하곤 대부분 낙오자나 소시민에 가까운 <크레이지 스톤>의 인물들을 관찰을 통해 얻어냈다. 그것이 또한 유희를 즐기는 할리우드영화와 다른 점이다. “나는 하층계급의 삶에 관심이 많다. 세상엔 보통 사람들이 훨씬 많지 않은가”라고 말하는 닝하오는 비취를 지키고자 하는 바오와 비취를 훔치고자 하는 도둑 패거리들, 비취를 빼내 여자나 꼬여볼까 하는 바람둥이 사진가 등에게 모두 고른 시간을 부여했다. “바오의 이야기가 정면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가 주인공으로 보이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인물들은 모두 30여신 정도 나오고, 그중 누구에게도 특별한 호의를 주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크레이지 스톤>은 최후에 비취를 차지한 자가 누구인가와는 상관없이 권선징악을 추구하지는 않는 영화다. 누구의 편도 들지 않으며 다만 보여줄 뿐이다. <크레이지 스톤>은 신기루처럼 지방도시 충칭을 떠도는 보석의 거취를 따라가며 숨이 차도록 달려야만 하는 현대 중국 사람들을, 그들의 물욕과 성공과 좌절을, 역시 숨이 차도록 쏟아낸다.

“중국이 변하고 있으니, 영화도 변해야 한다”

<크레이지 스톤>의 닝하오 감독

-<크레이지 스톤>의 배경인 충칭은 지금까지 중국영화에서 만나기 힘들었던 도시다. 이곳을 배경으로 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어디에서 영화를 찍을까 고민하다가 마지막에야 결정을 내렸다. 충칭은 이제 막 발전하기 시작한 도시고, 오래된 도시의 흔적과 새로운 변화의 모습이 교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신분이나 계급의 차이가 커서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 도시라고 생각했다. <크레이지 스톤>은 다소 황당한 이야기 아닌가. 베이징이나 상하이는 이미 제도화된 도시이기 때문에 그곳에서 영화를 찍었다면 황당한 지금의 <크레이지 스톤>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 영화는 인물이 매우 많고 그들은 제각기 현대 중국의 단면을 반영하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인물들을 만들었는가.
=일단 중국은 인구가 매우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영화 속의 인물도 많다. (웃음) 나는 스탭이나 주변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을 반영했다. 예를 들면 좀도둑 패거리에서 가장 마른 남자는 시나리오작가와 비슷하고, 작가가 직접 연기까지 했다. 배우를 찾아봤지만 그보다 어울리는 사람이 없더라.

-<크레이지 스톤>은 지금까지 한국에 소개됐던 중국영화보다는 할리우드영화에 가까워 보인다. 어떻게 이런 연출방식을 택하게 됐는가.
=전통적인 중국영화는 속된 것과 고상한 것을 구분하는 문인 기질이 강하다. 그러나 중국은 변화하고 있으니, 영화 또한 변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산업화에서 소외된 중국인들에 관한 예민한 보고서

와이드앵글 아시아 다큐멘터리 상영작 <돌산>

“중국 다큐멘터리의 경우 공식적인 상영은 하기 힘들고, 대신 민간 영화 관련 조직을 통해 상영회를 갖는 경우가 많다. 베이징이나 상하이, 광저우 같은 큰 도시들에 보통 다큐멘터리 관련 단체들이 있다. 상영회는 대학이나 소규모 극장, 술집이나 도서관 같은 데서 열린다. 아니면 국외영화제에서 상영하는 수밖에 없다.” 다큐멘터리 <돌산>으로 부산을 찾은 두하이빈 감독은 2001년작 <철길을 따라>로 제1회 중국독립영화제 최우수다큐멘터리상과 2001년 야마가타다큐멘터리영화제 특별언급을 받는 등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중국 다큐멘터리 감독 중 한 사람이지만 그는 완성한 영화를 공식적인 방식으로 상영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공식 개봉을 생각하지 않고 작품을 만들기 때문에 로우예 감독처럼 제작금지처분을 받는 일은 없지만”이라는 그의 말은, 개발의 파고 속 사회적인 문제가 점점 쌓여가는 중국에서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살아가는 그의 고민을 엿보게 해준다.

중국 시안에서 태어난 두하이빈 감독은 베이징영화학교에서 촬영을 전공했다. 극영화보다 다큐멘터리가 풍부하고 깊게 실재하는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끌려 다큐멘터리를 찍기 시작했다. 다큐멘터리의 어려운 점은 예산이나 중국 정부의 간섭보다 감독 자신의 확실한 주관이 있어야 한다는 데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고, 그래서 찍을수록 숙고하게 된다고 한다. 물론 예산문제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그를 그냥 비켜갈 리는 없다. “한국 정치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는데, 감독이 아버지를 카메라로 비추는 대목이 있었다. 그런데 감독의 아버지가 ‘너 지금 뭐하냐. 나이를 마흔이나 먹어서 이러고 있냐’고 말하더라. 다큐를 찍을 때 가까운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건 중국이나 한국이나 마찬가지구나 하고 느꼈다. 내 어머니도 ‘남들은 영화 찍으면 돈 버는데 너는 왜 찍을수록 돈이 적어지냐’고 하시더라. 왜 배우도 없는 영화를 찍냐고.” 대도시 주변 개발 붐 때문에 살던 땅을 빼앗기고 채석장에서 일하며 어렵게 살아가는 농부들의 이야기를 담은 <돌산>은 2005년 AND 동서아시아펀드를 받아 제작한 영화다. 제작에 1년 정도 걸렸고 한겨울 장면을 찍기 위해 두달가량 돌산에서 네 남자들과 함께 숙식하며 살았다. 농부였던 네 사람이 땅을 빼앗기고 채석장에서 일하는 영화를 찍기로 한 이유는 그들의 작업과정 때문이었다.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 그들의 원시적인 작업방식이 강렬하고 힘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내레이션 같은 내 주관을 배제하고 그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는 데 주력했다.” 백문이 불여일견. 등장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속한 장소가 알아서 삶을 이야기하고 관객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만들어내는 다큐멘터리를 찍는 두하이빈 감독은 발전의 구호 속 점점 소외되어가는 중국 사람들을 앞으로 더욱 많이 관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그늘 아래 중국을, 그는 예민한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

“발전 앞에서 복잡해지는 사람들의 내면을 담고 싶다”

<돌산>의 두하이빈 감독

-<돌산>은 감독의 개입이 엄격할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내레이션도 쓰지 않고 그냥 지켜본다. 이런 방식을 선택한 이유가 있는지.
=작품에 따라 다르겠지만 <돌산>의 경우 현장에서 압도당하는 느낌이 있었다. 이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싶었다. 푸른 농토에서 벗어나 회색 화강암을 쪼개며 살아가는 이들의 건조한 삶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했다.

-요즘 주시하고 있는 중국의 사회적 현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
=사회학자는 아니지만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다. 중국의 외적인 변화는 사고방식과 가치관에도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미래에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의 중국은 비단 농민만 문제가 아니다. 2008년 올림픽을 앞두고 베이징에서는 대대적인 철거 작업이 진행 중이다. 모든 곳이 공터이고 매일 하늘에는 먼지가 가득하다. 그래서 사람들 심리도 복잡하고 건조하다. 그 내면을 담고 싶다.

-극영화에도 관심이 있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가 혼자 살고 계신다. 일반적으로 부인보다 남편이 먼저 세상을 뜨는 일이 많은데, 이렇게 남은 여자들은 대개 혼자 고독하게 살게 된다. 이 고독은 아이들이 해결할 수 없다. 이미 젊지 않은 나이에 혼자 살면 삶의 의미를 잃게 되는 일도 있다. 이들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극영화로 만들고 싶은 생각도 있다.

사진 씨네21 PIFF 데일리 사진팀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