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愛’라고 적힌 책갈피를 받고 싶어요
2012-04-12
글 : 이후경 (영화평론가)
박유천

본방사수, 반복시청, 무한복습을 부르는 얼굴이다. <옥탑방 왕세자>로 돌아온 박유천을 보노라면 지루할 틈이 없다. 사극, 멜로, 코미디를 너끈히 아우르는 그 변화무쌍한 표정이란. 그의 유연한 연기가 조선시대에서 현재로의 타임슬립을 소재로 한 이 드라마를 지탱하는 축이다. 그는 빈궁을 잃은 슬픔에 빠진 왕세자 이각과 시대착오정신으로 무장한 ‘빨강 추리닝 아저씨’를 능청스럽게 넘나든다. 그뿐인가. “네 이년! 그 주둥이 닥치지 못하겠느냐!”라며 불호령을 내리다 돌연 어색한 높임말을 애교로 승화시키는 비범한 재주로 사람을 홀리기까지 한다. 이렇듯 다양한 가면을 번갈아 쓸 줄 아는 이 마성의 미소년 배우에게 우리는 기꺼이 조련당하길 원한다. 사실 그는 이미 드라마 데뷔작 <성균관 스캔들>로 온 나라의 처자들을 백마 탄 왕자님 판타지에 빠트린 전적도 있지 않은가. 그의 우월한 미모 덕분에 무엇 하나 빠지지 않는 ‘까도남’ 이선준 유생이 사랑을 만나 ‘츤데레’(새침하고 퉁명스럽다가도 애정을 표현할 땐 부끄러워하는 성격을 뜻하는 인터넷 용어-편집자)로 변해가는 과정이 유독 설득력있게 다가왔다. 그는 실로 연기돌계의 강동원이라 할 만했다. 차기작 <미스 리플리>에서 재벌 2세 송유현으로 나왔을 때도 막장 전개에 아랑곳 않고 자체발광했던 그다. 그러나 외모가 전부는 아니다. <옥탑방 왕세자>에서는 연기를 즐길 줄도 알 정도로 성장한 박유천을 확인할 수 있다. 아이돌 기획사 출신임에도 춤과 노래를 테크닉보다 흥으로 이해했던 그의 타고난 감각은 연기의 영역에서도 빛을 발한다. 이래서 우리는 ‘유천앓이’를 계속할 수밖에 없다.

관전 포인트 ◆ 콧소리가 섞여 여림(송중기)보다 간드러지는 목소리, 대물(박민영)보다 도톰한 아랫입술, 걸오(유아인)의 복근보다 아찔한 아래팔 근육, 웃을 때마다 샐쭉 올라가는 광대뼈 등 그가 지닌 수많은 매력 포인트 중 하나만 꼽자니 망설여진다. 하지만 사극 의상에 가려 보이지 않았던 그의 어깨를 건너뛰자니 섭섭하다. 동방신기 시절에 스타일리스트들이 괜히 그에게 니트를 많이 입힌 게 아니다. 드넓게 뻗어나가다 직각으로 딱 떨어지는 그의 어깨에 걸치면 어떤 니트도 척척 달라붙는다. 언젠가 그가 어깨로도 연기를 할 줄 아는 경지에 올라선다면 한몫 단단히 할 어깨다.

절대유형 ◆ 한 네티즌이 이선준 도령과 걸오의 차이를 이렇게 설명한 바 있다. “김윤식에게 걸오가 준 선물목록을 보시오. 사과, 감자, 활 쏠 때 끼는 골무, 주먹밥. 반면 이선준 도령을 보시오. 현금 50냥, 아픈 동생을 위한 한약, 커플링, 자동 지불한 엿값. 이선준 도령 연애 안 해본 것 맞소? 선물목록만 보면 아주 (바람)둥이 스타일이구려.” 이는 송유현 본부장이나 왕세자 이각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그들 모두 여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며, 그 지혜를 실천에 옮길 능력이 충만한 로맨틱 가이들이다. 때문에 가끔은 궁금해지기도 한다. 나쁜 남자로 분한 박유천은 어떨까. 아, 생각만 해도 잘금거리게 된다.

캡처하고 싶은 순간 ◆ <성균관 스캔들>에서 그가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순간은 수도 없이 많았다. 대표적으로는 “다시는 그런 일(기습뽀뽀) 없게 하겠소”라는 김윤식에게 은근히 ‘그런 일’을 요구하며 “선비가 저토록 일희일비해서야 원”이라고 투덜거리는 장면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이 귀요미!’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순간은 따로 있었으니 바로 김윤식과 단둘이서 밤섬에 갇혔을 때다. 메뚜기에 벌벌 떠는 김윤식을 놀리는 연기 중이던 그는 컷 사인이 떨어지지 않자 여전히 메뚜기를 쥔 채 이런 임기응변을 발휘한다. “생각보다 맛있소. 나도 조금 무섭소. 한번 잡아보시오.” 무인도에 함께 가고 싶은 남자 연예인 1위로 당장 뽑고 싶어진다.

공략 포인트 ◆ 이선준 유생, 송유현 본부장, 왕세자 이각의 마음을 얻은 여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전략은 바로 ‘날 무시한 여자는 네가 처음이야’로 요약되는 고전적 접근법이다. 좌상대감 아들이건, 대기업 후계자건, 조선의 왕이 될 몸이시건, 처음에는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냐’는 식으로 튕겨줘야 된다. 단, 삐끗하면 “요망한 것!”이라는 호통을 듣거나 주리를 틀릴 위험이 있으니 마음 단단히 먹고 덤빌 것. 그러다 어느 날 책을 펼치는데 ‘愛’라고 적힌 책갈피가 떨어진다면, 성공이다.

사진 / 김명진 <한겨레> 기자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