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보이후드> 어떻게 소년은 영화가 되는가
2015-07-02
글 : 김소희 (영화평론가)
김소희의 <보이후드> 작품비평 요약
<보이후드>

<보이후드>에 대한 경탄은 감독과 배우가 조용히 공들인 서사 바깥의 시간에 맞춰진다. 이는 감독이 리처드 링클레이터라는 점을 염두에 둘 때 새삼스럽다. 링클레이터는 이미 배우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작업 방식으로 유명하다. 허구의 인물인 메이슨과 배우 엘라 콜트레인의 성장은 영화의 상영과 동시에 일어나며 상영이 끝난 뒤 남는 것은 한편의 다큐멘터리다. 픽션과 메이킹 필름을 동시에 보는 듯한 이상한 느낌이 <보이후드>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장점인 동시에 단점이기도 한데, 영화 외적인 것이 영화 내적인 것을 초과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이후드>의 내적 서사와 외적 서사의 관계를 좀더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링클레이터는 매년 15분 분량을 촬영했다. 15분이라는 시간은 1년에 해당하는 365일을 프레임 수인 24프레임으로 나눈 숫자다. 그러므로 <보이후드>의 15분이라는 시간은 축약된 1년이다. 이런 제작 방식은 매일 자신의 얼굴 사진을 찍어 모아 영상화한 유지숙의 <10년의 셀프초상>(2001)의 작업 방식과 일치한다. 하루를 한 프레임으로 계산해 매일 찍은 자신의 얼굴 사진이 연속으로 흐르게 만든 <10년의 셀프초상>에서 강조되는 것은 시간의 흐름 자체다. 이 흐름 속에서 그 어떤 얼굴도 중심이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보이후드>에서 중심 없는 얼굴에 해당하는 것은 중심 없는 사건이다. <보이후드>는 엄격한 극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둔감하다. 영화 속에는 많은 사건이 일어나지만, 관객에게 그것은 ‘사건 없음’으로 읽힌다. 결정적인 사건이 있을 때마다 메이슨은 그곳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사건은 생략되기 일쑤다. 주인공이 거치는 사건 중 그 어느 것도 영화에서 결코 중심적인 위치에 서지 못한다. 중요한 것은 어딘가로 부단히 이동하는 메이슨과 가족의 이동의 역사다.

<보이후드>

<보이후드>에서는 이사하는 장면이 유독 많이 등장한다. 머무는 것이 아닌 떠나야 하는 것으로 공간을 그리면서 감독은 자신이 하려는 것이 단순히 주인공을 오래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잠깐씩 자주라는 감독의 모토는 모든 사건이 의미가 있지만, 어떤 사건도 메이슨에게 결정적으로 기능할 수 없게끔 만든다. <보이후드>는 사건보다 인물이 중심이 되며, 그 인물은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보통 사람이라는 점에서 자전적 다큐멘터리와 유사하다. 이때 주목되는 것은 영화를 매개로 한 에단 호크와 엘라 콜트레인의 조합이다. ‘비포’ 시리즈의 에단 호크가 <보이후드>의 메이슨을 낳았다. 영화 바깥의 상황은 그대로 영화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아이들을 가끔 찾아가 그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메이슨 시니어의 입장은 1년에 한번꼴로 촬영한 영화 제작의 측면과 닮았다. 그것은 깊이가 결여된 만남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느슨하게 축적된 시간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 만남의 깊이를 증명한다.

영화를 영화이게 하는 것은 그것이 특수한 사건을 찍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찍고 있기에 그것이 사건이 된다. 이를 증명한 것은 <보이후드>가 극영화로서 해낸 이례적인 성취다. <보이후드>에서는 인물과 영화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합쳐진다. <보이후드>는 내부와 외부로 나눌 수 없는 영화다. 내부가 곧 외부이며, 외부가 곧 내부이기 때문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