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박스는 2016년 1월부터 11월까지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이 투자·배급·직배사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12월 통계는 미발표).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16년 11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쇼박스는 관객 점유율 28.3%를 기록했다. 2위 CJ E&M의 24.7%보다 3.6% 높은 수치다. 지난해 라인업 총 7편 중에서 <검사외전>(970만여명), <터널>(712만여명), <럭키>(697만여명), <굿바이 싱글>(210만여명) 등 4편이 손익분기점을 넘었다. 쇼박스에 2016년은 실속을 제대로 챙긴 해라 할 만하다. 마침 김도수 쇼박스 한국영화 제작투자 본부장이 1월1일부로 한국영화본부 상무로 승진해 축하 인사부터 건넸다.
-쇼박스 2016년 라인업 7편 중에서 무려 4편이 손익분기점이 넘었는데.
=영업이익(총매출-비용=영업이익)은 124억원(매출액은 866억원, 2016년 3분기 기준)으로, <암살> <내부자들> <사도> <극비수사> 등이 개봉했던 2015년의 영업이익 110억원(매출액은 1031억원, 2015년 3분기 기준)보다 많다. <검사외전>(감독 이일형)과 <터널>(감독 김성훈)은 한국 사회의 현실이라는 최근 영화산업의 트렌드에 편승해 만든 작품이었다. 970만여명(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을 불러모은 <검사외전>은 경쾌하고 오락적으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럭키>(감독 이계벽)와 <가려진 시간>(감독 엄태화)은 회사 내부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생각한다. <럭키>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둔 코미디영화였다. <가려진 시간>은 무조건 잘될 거라는 확신을 가지고 하진 않았지만… 시장에 내놓는 데 의미가 있었던 기획이었다.
-중급 규모의 영화를 가지고 실속을 제대로 챙겼다고 볼 수 있겠다. 지난해 결과가 향후 라인업을 운용하는 데 어떤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나.
=그렇다고 쇼박스가 앞으로는 제작비가 큰 규모의 영화를 하지 않겠다는 건 절대 아니다. 지난해 라인업이 <암살>이나 <미스터 고> 같은 영화에 비하면 규모가 작은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영화를 만드는 책임감까지 작아지는 건 아니다. 라인업 숫자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규모가 크든 작든 작품에 단단함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없다.
-지난해부터 폭스, 워너 같은 직배사 두 군데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라인업 확보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이들의 가세는 쇼박스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 같나.
=워너는 <밀정>을, 폭스는 <곡성>을 성공시키지 않았나.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니 좋진 않다. (웃음) 폭스나 워너가 아니었다면 <밀정>과 <곡성> 둘 중 하나는 쇼박스와 했을 것 같은데. 그간 CJ, 롯데, 쇼박스, NEW 등 4대 대형 배급사를 제외한 허리 라인에 큰 움직임이 없었는데 두 직배사는 시장에 빨리 안착해 유의미한 움직임을 만들어내고 있다. 감독이나 제작자에게 이러한 시장 변화는 좋을 것 같다. 선택지가 늘어났을 뿐 아니라 기존의 대형 투자·배급사가 결정하지 못한 기획을 풀어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니까. 하지만 직배사들이 산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좀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워너는 수익을 6:4(투자자:제작자)로 나누겠다고 말한 바 있다. 폭스는 두 가지 선택지를 제작자나 감독에게 제안하겠다고 했다. 개런티를 많이 가져가거나 기존대로 수익을 6:4로 배분하거나. 각각의 프로젝트마다 계약 내용이 다르지만 직배사의 계약 조건이 기존의 시장 상황에 변화를 주는 건 분명한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직배사의 계약 내용을 자세히 알진 못하지만 계약 조건보다 더 중요한 건 프로젝트를 얼마나 잘 개발할 수 있는가다. (감독이나 제작자에게) 부족한 것들을 채워주고, 창작자가 객관적으로 보지 못할 때 균형을 잡아 좋은 영화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 그 점에서 쇼박스만의 오랜 노하우가 있다.
-올해 쇼박스 라인업을 살펴보니 반가운 얼굴들이 많다.
=라인업 숫자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 같다. 모두 기대가 되는 작품이다. <택시운전사>의 장훈, <특별시민>의 박인제, <살인자의 기억법>의 원신연 감독은 오랜만에 신작을 내놓았다. 지난해 개봉예정이었던 곽경택 감독의 <부활>은 올해 개봉한다. 나현 작가의 연출 데뷔작인 <더 프리즌>과 현빈과 유지태가 출연하고 사기를 소재로 한 영화 <꾼>(감독 장창원)도 있다.
2017년 타사 기대작
롯데의 <신과 함께>. 한국에서 한번도 선보인 적이 없는 프로젝트라 어떻게 나올지 무척 궁금하다. <미스터 고>에서 보여준 덱스터의 기술력이 어디까지 도달할지, 저승에 대한 김용화 감독의 세계관이 시각적으로 어떻게 구현될지 기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