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전주에서 만난 감독들④] <성혜의 나라> 정형석 감독, “결말... 이상적인 사회가 붕괴되면 납득 가능할 것”
2018-05-23
글 : 임수연
사진 : 박종덕 (객원기자)

올해 전주영화제 한국경쟁부문 대상을 수상한 <성혜의 나라>는 기성세대가 냉정하게 바라본 청춘의 이야기다. 이 작품을 연출한 정형석 감독은 원래 배우이자 무대 연출자로 활동해왔다. 지난해 전주영화제 경쟁부문 후보에 오른 <여수 밤바다>(2016)를 마친 후 “이번엔 가볍고 재미있는 작품이 아닌 좀더 주제의식을 가진 작품을 만들자”고 생각했고, “막연하게 청춘 하면 보편적인 코드로 꼽히는 꿈, 사랑 같은 소재는 밖에서 보는 내가 그려봤자 피상적인 접근밖에 안 될 것 같았다”는 그는 공연 일을 하면서 바로 옆에서 목격했던 젊은 배우들의 삶을 영화에 녹여내게 됐다. 말도 안 되게 적은 임금을 받고 그럼에도 꿈을 펼치기 위해 고생하는 청춘들이 30대가 된 이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걱정이 됐다는 것이다. 또한 당시 고시원에서 홀로 죽어간 어느 젊은이에 관한 기사를 보게 된 것도 작품에 영향을 줬다.

영화의 전반부가 거의 잔잔한 다큐멘터리처럼 흘러가는 것에 대해 정형석 감독은 “옆에서 이 인물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처럼 접근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똑같은 청춘이라도 여성은 사회적 약자이기 때문에 더 힘든 상황에 놓여 있게 된다”는 생각은 주인공의 성별을 여성으로 설정한 결정적인 이유가 됐다. 성혜가 전 직장에서 겪었던 성폭력은 제대로 된 해결은커녕 재취업에 막대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형석 감독이 <성혜의 나라>를 만든 이후 한국 사회 각계에서 미투(#MeToo) 운동이 시작됐다. 그래서 감독의 주변에서는 선견지명이 있었던 거 아니냐고 말했다고 한다. “성희롱에 대한 부분은 주인공이 여성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나온 결과다. 그것은 특수한 게 아니라 너무나도 일반적인 상황이다”는 게 감독의 설명이다.

마찬가지로 가난한 청년세대를 주인공으로 삼았던 <소공녀>(2017)에서는 남자친구와의 연애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무언가다. 반면 <성혜의 나라>의 연애는 성혜의 인생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투적으로 행복은 나누면 2배가 되고 불행은 나누면 반이 된다고들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내 짐도 무거워 죽겠는데 상대의 짐까지 짊어질 수 있다는 것은 판타지다.” 성혜에게 그나마 ‘숨 쉴 틈’이 되어주는 존재가 애인이 아닌 강아지 같은 반려동물로 설정된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비슷하게 88만원 세대, N포 세대와 같은 소재를 다루는 여타 영화와 비교했을 때 영화는 좀더 과감한 결말을 선택한다. 이 선택은 지금의 청년세대가 보기에도 무척 파격적이다. 정형석 감독은 극중 성혜와 비슷한 나이의 젊은이들에게 “성혜와 같은 상황이 된다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을 많이 던졌는데, 성혜와 같은 선택을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정형석 감독은 “이상적인 사회가 붕괴되면 납득 가능한 결론”이라고 주장한다. “이상적인 사회는 이렇게 굴러간다. 사회가 영유아 및 청소년 세대를 보고하고 성장할 수 있게 하고, 20대가 되면 사회에 나가 생산활동을 하며 사회를 떠받들고, 노년이 되면 은퇴해서 고생했던 만큼 보상받는다. 하지만 이게 무너지면 어떤 세대가 무언가를 해야 한다. 예컨대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은 뒤집어보면 ‘강요’가 된다. 영화가 불편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입장도 이해한다. 하지만 일을 하고 싶어도 사회가 도와주지 않는 성혜 같은 청춘에게 먼저 필요한 것은 이해와 관심일 것이다.”

무대에서 배우로 경력을 시작했던 정형석 감독에게도 불안한 청춘 시절이 있었다. “20대를 모두 무대에서 보냈는데 30대 이후에도 무대에서만 살아가야 한다고 하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았다. 아직 실패를 해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남아 있을 나이에 무대가 아닌 새로운 시도를 하고 싶었다.” 일단 대학로를 떠나 영상작가교육원에서 시나리오작가 교육을 받은 그는 한때 KBS <반쪽이네> 등 TV 드라마 작가로 일했다. 하지만 방송국의 생리가 자신과 잘 맞지 않다고 느껴 영화계 문을 두드렸고, 일이 잘 풀리지 않자 다시 연극계로 돌아와 연출가로 활약하기도 했다. 그에게 영화 연출은 40대 이후 느지막이 도전한 새로운 영역이다. “배우는 선택을 기다려야 하지만 연출은 내가 선택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영상은 무대에서 표현할 수 없는 부분도 담아낼 수 있다는 매력이 있더라.” 또한 소극장 연극은 3천만원 정도 있으면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예산으로 영화를 만드는 일에 새로이 뛰어들어도 별다른 두려움이 없었다고 전한다.

장편 연출 데뷔작 <여수 밤바다>가 전주영화제 한국경쟁부문 후보에 오르고 올해 같은 부문 대상을 받은 정형석 감독은 역시 전주와 관련이 깊은 차기작을 준비하고 있다. 전주영상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하반기에 촬영에 들어갈 예정인 프로젝트 <앙상블>(가제)이다. 전주지역의 한 공연팀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담았다. “인생에 대한 고민과 사랑, 이별 등을 이야기하는 휴먼 드라마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곳으로 로케이션을 알아보고 있다. 현대와 전통이 공존한 지역 특유의 정서를 살리고 싶다.” 우디 앨런 감독의 <로마 위드 러브>(2012) 같은 톤을 생각하고 있다는 그의 차기작이 벌써 궁금해진다.

<성혜의 나라>는 어떤 영화?

성혜(송지인)는 ‘평범하게 고단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새벽에 신문 배달을 하고 낮에는 취업 준비를 위해 토익 학원에 가며 밤이 되면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그의 가장 가까운 사람들은 그에게 도움보다는 짐이다. 아버지는 병원에 입원해 있고, 어머니는 경제적으로 빠듯한 성혜에게 손을 벌려 그녀의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7년간 만난 남자친구는 매번 낙방하는 공무원 시험 준비를 건성으로 하고 있다. 고시원에서 자살한 친구의 장례식에서 만난 옛 친구들 역시 그리 낭만적으로 살고 있지는 않다. 그러던 성혜에게 어떤 사건이 벌어지고, 중요한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