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콜린 파렐
Colin Farrell
-
다른 이름
콜린 패럴; Colin J. Farrell; Col Farrell; -
직업
배우 -
생년월일
1976-05-31 -
성별
남 -
참여작품(50)
- <더 배트맨> 배우(펭귄)
- <이니셰린의 밴시> 배우(파우릭)

소개
그의 출연작 중에 국내에 개봉된 것은 <하트의 전쟁> <마이너리티 리포트> <리크루트> <데어데블> 등인데 배우의 이름을 특별히 기억하지 않는 관객이라면 아마도 그가 연기한 인물들 사이에서 공통점을 잡아내기가 어려울 정도로 낯선 조합일 것이다. 2차대전 중 독일 포로로 잡혀 수용소에 갇히게 된 법대 출신 군인 ‘토머스 하트’, 정부기관의 부국장이면서 국장 자리를 수시로 넘보는 영리한 ‘대니 위트워’, 장래가 촉망되는 MIT 출신으로 CIA 스파이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제임스 클레이튼’, 그리고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이면서 뭐든 날리기만 하면 100%에 가까운 명중률을 보이는 ‘불스아이’는 파렐이 거쳐갔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나면 정말 판이하다. 덕분에 그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는, 이 네 가지 다른 역할을 한데 접하는 순간 증폭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콜린 파렐에 대한 관심은 준수한 용모에다 금상첨화로 연기력까지 갖춘 차세대 할리우드의 대표주자감이라는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는 탁월한 외모를 지녔다. 그런데 찬찬히 들여다보면 매력적이면서도 뭔가 부족해 보이고, 조각미를 지녔으면서도 바로 그런 이유로 눈에 확 들어오지 않는 인상이다. 어쩌면 이런 애매함이 서로 다른 캐릭터를 무난하게 수용하는 바탕이 되는지도 모르겠다.
외모에서 합격점을 얻은 배우가 최종적인 승부를 내는 것은 결국 연기력이다. 그가 보여주는 연기는 단순히 ‘금상첨화’ 정도가 아니라 오히려 그의 외모를 비추는 스포트라이트와 같아서, 이 빛이 없다면 파렐의 조각미도 그 윤곽이 희미해지고 말았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연기가 이성적이고 분석적이기보다는 캐릭터에 몰두해서 감정을 끌어내는 쪽에 가깝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영화에 홀랑 빠져 현실과 캐릭터를 뒤섞어 사는 타입인가 하면 그렇지는 않다. 그는 현대 젊은이 특유의 영악한 균형감각을 지니고 있다. “물론 난 연기를 좋아하지만 연기도 결국 직업이에요. 마음만 열려 있으면 캐릭터의 감정을 굳이 현실에서까지 불필요하게 다 드러내지 않고도 충분히 영화가 요구하는 지점에 다가갈 수 있죠.”
참여작품(50)
비디오(20)
관련 기사(105)
관련 기사(8)
-
[인터뷰] 희망과 불안 사이,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조유리
“간절하고 절실한 마음이었다.” 아이즈원의 메인보컬부터 성공적인 솔로 활동까지 아이돌로서 탄탄한 경력을 쌓아온 조유리에게도 “고등학생 때부터 품었던 연기의 꿈”을 위해 도전한 배우의 길은 험난했다. 수많은 오디션에서 고배를 마신 뒤 “두눈 가득 독기를 품고” 임한 <오징어 게임> 시즌2의 오디션. 마침내 조유리는 “연기를 향한 간절한 염원”처럼
2025-02-04 최현수
-
[인터뷰] 감개무량의 순간,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성훈
황동혁 감독에게 <오징어 게임> 시즌2 캐스팅 이유를 들은 박성훈은 적잖이 놀랐다. “예전 출연작인 KBS 단막극 <희수>를 보고 현주 캐릭터를 떠올렸다고 하시더라. 극 중 평범한 가장 역할이었는데 말이다. 감독님이 내 안에 존재하는 여성성을 꿰뚫어보신 것 같았다.” 특전사 출신 트랜스젠더 조현주 역할을 맡은 뒤 감독과 함께 세운 첫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고요한 열정,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규영
“진심으로 속이 시원하다”라며 <오징어 게임> 시즌2의 공개 소감을 말하는 박규영의 얼굴은 편안해 보였다. 꽁꽁 숨겨왔던 그의 역할은 게임 참가자가 아닌 진행 요원. 북한에 두고 온 어린 딸을 찾는 게 삶의 목적인 명사수 강노을 역이다. 누굴 맡을지 모르는 상태로 오디션에 참가, 합격 뒤 주어진 예상 밖의 인물은 박규영의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어떤 악인의 입체성,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임시완
임시완은 처음 대본을 읽고 몰락한 코인 유튜버 이명기를 악인으로 규정하려 했다. 하지만 황동혁 감독으로부터 들은 의외의 코멘트는 그 생각을 바꿔놓았다. “임시완이라면 이 캐릭터가 착해 보일 수도 있겠다고 하시더라. 시청자들에게 명기가 그저 사람으로 느껴지기를 바라셨다.” 선인도 악인도 아닌 이명기는 그에게 마지막까지 “거짓과 진심의 정도를 헤아려야 했던”
2025-02-04 최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