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소개
광기에 휩싸인 눈빛, 차가우리만치 잔인한 미소, 탐욕과 야망으로 찌든 연기를 <레옹>과 <로미오 이즈 블리딩>에서 선보인 게리 올드만의 데뷔작 이 <시드와 낸시>(1986)라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실존하는 록그룹 섹스 피스톨즈의 리드 보컬 시드로 나온 그는 마약에 찌든 일탈적이며 파격적 인 모습을 선보였는데 그의 개성 강한 연기는 이후 연기스케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989년에는 스릴러물 <크리미날 로>에서 지성적인 변 호사로 나오기도 하지만, 91년 올리버 스톤 감독의 < JFK >에서는 케네디 암살범 오스왈드 역으로, 92년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드라큘라> 에서는 그로테스크한 드라큘라 백작으로, 93년에는 토니 스코트 감독의 <트루 로맨스>에서는흉악한 마약 밀매업자이자 사창굴 포주 역으로, 그리 고 94년 버나드 로즈 감독의 (불멸의 연인)에서는 강렬하고 야수적인 베 토벤 역을 선보였다. 이렇듯 그는 강하고 대가 센 역을 주로 맡아 깊은 인상을 심어줬다. 또한 간간이 들리는 우마 서먼과의 이혼, 줄리 델피의 임신,이사벨라 로셀리니와의 동거 등의 화려한 사생활은 영화 속의 이미지를 고착화하는 데 일조한다. 그 누구보다도 `광기에 휩싸인 현대인의자화상`을 잘 소화한다고 평가받는 그는 현재 모든 감독이 함께 일하고 싶어하는 최고의 연기파 배우로 알려져 있다.
2. 감독으로서:
개성적인 악역과 우수에 가득한 현대인의 묘사에 능한 베테랑 배우이자 단 한작품을 연출했을 뿐인 신인감독. 97년 작품인 <텅빈 입> (Nil By Mouth)은 그가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한 영화감독 데뷔작이다. 자전적 이야기에 바탕한 작품. 60년대 런던 동남부를 배경으로 한, 극심한 알코올중독자를 가장으로 둔 빈민가 한 가정의 이야기다. 가족 구성원들은 알코올중독자, 마약중독자, 좀도둑 들이며 어머니와 외할머니가 이들을 온몸으로 부양하고 지탱한다. 이들을 바라보는 꼬마소녀 미셸이 감독의 분신인 셈인데, 이 영화를 만드는 내내 괴로웠으며 첫 시사 후에는 고통으로 가득했다고 할 만큼 자전적이다. 97년 칸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됐으며 수상은 못했지만 평단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 영화감독사전, 1999
참여작품(61)
비디오(20)
관련 기사(63)
관련 기사(8)
-
[인터뷰] 희망과 불안 사이,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조유리
“간절하고 절실한 마음이었다.” 아이즈원의 메인보컬부터 성공적인 솔로 활동까지 아이돌로서 탄탄한 경력을 쌓아온 조유리에게도 “고등학생 때부터 품었던 연기의 꿈”을 위해 도전한 배우의 길은 험난했다. 수많은 오디션에서 고배를 마신 뒤 “두눈 가득 독기를 품고” 임한 <오징어 게임> 시즌2의 오디션. 마침내 조유리는 “연기를 향한 간절한 염원”처럼
2025-02-04 최현수
-
[인터뷰] 감개무량의 순간,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성훈
황동혁 감독에게 <오징어 게임> 시즌2 캐스팅 이유를 들은 박성훈은 적잖이 놀랐다. “예전 출연작인 KBS 단막극 <희수>를 보고 현주 캐릭터를 떠올렸다고 하시더라. 극 중 평범한 가장 역할이었는데 말이다. 감독님이 내 안에 존재하는 여성성을 꿰뚫어보신 것 같았다.” 특전사 출신 트랜스젠더 조현주 역할을 맡은 뒤 감독과 함께 세운 첫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고요한 열정,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박규영
“진심으로 속이 시원하다”라며 <오징어 게임> 시즌2의 공개 소감을 말하는 박규영의 얼굴은 편안해 보였다. 꽁꽁 숨겨왔던 그의 역할은 게임 참가자가 아닌 진행 요원. 북한에 두고 온 어린 딸을 찾는 게 삶의 목적인 명사수 강노을 역이다. 누굴 맡을지 모르는 상태로 오디션에 참가, 합격 뒤 주어진 예상 밖의 인물은 박규영의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2025-02-04 이유채
-
[인터뷰] 어떤 악인의 입체성, <오징어 게임> 시즌2 배우 임시완
임시완은 처음 대본을 읽고 몰락한 코인 유튜버 이명기를 악인으로 규정하려 했다. 하지만 황동혁 감독으로부터 들은 의외의 코멘트는 그 생각을 바꿔놓았다. “임시완이라면 이 캐릭터가 착해 보일 수도 있겠다고 하시더라. 시청자들에게 명기가 그저 사람으로 느껴지기를 바라셨다.” 선인도 악인도 아닌 이명기는 그에게 마지막까지 “거짓과 진심의 정도를 헤아려야 했던”
2025-02-04 최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