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네21> 베스트 표지30 ➀

‘영화배우’ 이병헌의 첫 순간

36호 배우 이병헌

‘TV 탤런트’로 출발해 영화배우로서 이제 막 두편의 영화를 찍은 스물일곱의 이병헌. “1996년 한국영화계가 주목할 만한 ‘가능성 있는 배우’”라 소개된 그는 “언젠가 눈빛 하나로 관객을 사로잡는 배우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영화의 바다가 열리다

71호 부산국제영화제

“여하간 한국의 첫 국제영화제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약간의 저항감과 막대한 기대감 속에서 말이다. 그 막대한 기대감 속에는 아시아영화의 교감과 아시아 인디펜던트 감독들의 지원에 대한 관심이 있는가 하면 경쟁부문이 강화되고 본격적인 영화마켓이 형성되어 주류 영화산업을 부흥시켜줬으면 하는 산업적인 논리 역시 뒤섞여 있다. 두 가지 기대가 서로 길항하면서 향후 부산국제영화제의 행로를 조정해나갈 테지만 어떤 경우든 행복한 건 관객이다. 일반 상업적인 배급망에서는 볼 수 없는 아시아의 진주 같은 영화들이 관객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조선희 <씨네21> 초대 편집장)

문제적 감독, 문제적 표지

115호 장선우 감독

1997년 8월. 장선우 감독은 <너에게 나를 보낸다>에 이어 <나쁜 영화>를 만들며 평단, 관객, 업계, 정책 기관으로부터 전방위적 포격을 받았다. <씨네21>은 ‘문제적 감독’에 관한 특집을 구상하면서 그 못지않게 ‘문제적 표지’를 만들어냈다. 표현의 자유를 두고 선정성과 가학성에 관한 논의를 몰고 다니는 감독을 센세이셔널하게 찍은 것이다. 상반신을 탈의한 감독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을 떠오르게 하는 구도로 카메라 앞에 세운, 세기말 정신으로 찍을 수 있는 표지임이 틀림없다.

두 전설의 만남

141호 배우 최민식, 송강호

용호상박, 백중지간, 난형난제, 양웅상쟁, 막상막하…. 어떤 사자성어를 갖다붙여도 아깝지 않다. <조용한 가족>에서 삼촌과 조카로 등장한 최민식송강호가 카메라 앞에 섰다. 왜 두 사람이 선글라스 속에 들어 있을까. 당시 막내 사진기자였던 오계옥 사진기자는 지금보다 세로로 긴 판형에 맞춰 구현할 수 있는 실험을 모든 감행했다고 한다. 선글라스를 낀 여성은 오계옥 사진기자의 동생이다.

오, 카리스마!

151호 배우 이혜영

배우 글로리아 스완슨 같기도 조앤 크로퍼드 같기도 하다. 에디트 피아프소피아 로렌도 언뜻 스친다. 확실한 건 배우 이혜영은 27년 전이나 지금이나 고전기 스타를 떠올리게 하는 아우라를 지녔다는 점이다. 클로즈업이 가져다주는 스펙터클을 믿는 사진가와 이를 만끽할 줄 배우가 만나 잊을 수 없는 표지를 만들어냈다.

4월이면 생각나는

212호 배우 장국영

다시는 볼 수 없는 얼굴, 여전히 매년 4월마다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배우. <성월동화>의 국내 개봉을 앞두고 장국영이 한국을 찾았다. 어떤 컷을 살펴도 그의 눈동자엔 눈물이 찰랑인다. 그를 취재한 이유란 기자는 “자기의 감수성을 감당하지 못해 스스로 상처를 입었던 아비(<아비정전>)와 보영(<해피 투게더>)의 모습이 언뜻언뜻 비쳤다”고 적었다.

스물, 그해 여름

260호 배우 전지현

대학교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여름방학을 맞은 스무살의 전지현. 사진을 보자마자 든 당신의 첫 감상이 곧 베스트 표지 선정의 변이다.

이것은 사고다

270호 박찬욱 감독

“대체 왜…?” 지난 몇주간 <씨네21>의 30주년 연속 기획기사를 위해 옛 잡지를 뒤적이던 취재기자들이 매번 혼란으로 웅성댄 의문의 표지다. 하나, 왜 사진 한가운데 비둘기 한 마리가 날고 있는가. (취재 후기를 들은 결과 효창공원의 비둘기 ‘떼’를 감독 앞으로 몰았다고 한다. 왜?) 둘, 왜 그는 손에서 쇠냄새가 날 것 같은 그네에 류승완 감독과 함께 앉아 있는가. 셋, 왜 ‘COMING SOON!’은 ‘COOMING SOON!’으로 오기됐는가. 물음표가 꼬리에 꼬리를 문 채 이어지지만 단언할 수 있는 한 가지. 박찬욱 감독은 <씨네21>의 든든한 지원군이다. 올해 <어쩔수가없다>로 박찬욱 감독을 만난다면 이 표지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꼭 물어보리라.

마음을 할퀴는 얼굴

311호 배우 원빈

별수 없다. 빛바랜 표지임에도 마음을 할퀴는 얼굴을 널리 소개하고 싶었다.

한 눈에 보는 AI 요약
씨네21이 선정한 베스트 표지 30 중 일부를 소개한다. 이병헌, 최민식과 송강호, 전지현, 원빈 등 배우들의 인상적인 순간과 박찬욱, 장선우 감독 등 영화계 인물들의 독특한 표지를 담았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시작, 장국영의 방문 등 한국 영화사 속 의미 있는 장면들도 함께 조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