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인터뷰] 정도윤 작가가 ‘엄마의 선택’ ‘마녀의 법정’ 을 쓰며 생각한 법정물의 매력
2023-03-17
글 : 조현나
사진제공 정도윤

선정성은 배제하고 보편성은 끌어내고

“모든 성폭행 피해자들은 2차 피해를 감수하고 재판에 나옵니다. 그만큼 가해자들이 응징되길 바라기 때문이죠. 내가 겪었던 고통만큼, 아니 그 절반만큼이라도 가해자도 겪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마녀의 법정>)

- <마녀의 법정> 이전에 단막극 <엄마의 선택>에서도 성범죄로 인한 재판 과정을 다루셨습니다. 원래 법정물을 좋아하셨나요? <엄마의 선택>과 <마녀의 법정>을 써보니 법정물의 매력은 무엇이라 느꼈나요.

= 원래 법정물을 좋아했다기보다는 자기 욕심 차리는 등장인물들이 뭔가를 위해 싸우고 지지고 볶고 하는, 한마디로 갈등이 세고 치열하게 맞부딪히는 이야기를 좋아해요. 그런 맥락에선 법정물이 아주 적격인 장르잖아요. 내가 너무 억울하고 분해서 재판이란 싸움판에 나왔는데 상대편은 나보다 돈도 많고 힘도 세고, 옆에 서 있는 변호사마저 대형 로펌의 에이스라면 어떨까요. 시작부터 불리해 보이는 싸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기 위해 온갖 수를 써가며 싸움을 거듭하고, 마지막에 결국 승리를 쟁취하는 것. 이런 치열함이 법정물이 지닌 매력이라고 느꼈습니다.

“여긴 여성아동범죄전담부야. 피해자가 형사한테 한번, 수사 검사한테 두번, 공판 검사한테 세번, 네번 반복 진술하다 2차, 3차로 상처받고 나가떨어지는 거, 없애자고 만든 데라고.” (<마녀의 법정>)

- 몰래카메라 영상 유포 사건이나 미성년 성범죄, 여자 교수와 남자 대학원생간의 성범죄 등 드라마에서 무척 다양한 사건들을 다루었습니다. 각을 세워 다뤄야 할 내용들이다보니 집필 과정에서 고민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드라마화를 위한 사건 및 에피소드를 구상할 때 작가님만의 원칙이 있었나요.

= 당시 에피소드를 만들 때 참고하려고 소송 사건들이나 기사들을 계속 찾아봤어요. 찾아본 대부분의 사건들이 충격적으로 다가왔고 인간으로서 이해 불가능하다고 느끼기도 했습니다. 보면서 생각했죠. “이런 사건을 다룬 드라마를 보고 싶어 할 시청자들이 있을까? 나도 보지 않을 것 같은데….” 사건을 구상할 때 어떤 특별한 원칙을 갖고 했다기보다는 다룬 사건들에서 선정성은 최대한 배제하려 했고, 가급적 사건의 특수성보다 그 상황에 처한 인물에게 공감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던 것 같아요. 그래야 시청자들도 공감하면서 드라마에 몰입할 수 있을 테니까요.

<미치지 않고서야> 포스터. 사진제공 MBC

- <엄마의 선택> <마녀의 법정>은 비교적 직관적이지만 <미치지 않고서야>는 제목만 봐선 오피스물이라고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시청자들의 의견이 다수 있었습니다. 어떤 과정을 거쳐 이 제목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게 됐나요.

= <미치지 않고서야>라는 제목은 일찍부터 정했어요. 원래 기획했던 드라마의 내용이 막장 사내 부부가 위기의 결혼 생활을 아슬아슬하게 이어나가는 이야기였거든요. 그 내용엔 <미치지 않고서야>라는 제목이 찰떡같이 붙었었죠. 그런데 작품의 방향성이 본격적으로 오피스물로 바뀌면서 제목이 아쉽다는 의견이 많았어요. 저도 <직장의 신>이나 <김과장> 같은, 누가 들어도 오피스물이라고 예상 가능한 제목으로 바꾸고 싶어서 여러모로 생각을 많이 했는데요. 딱히 이거다, 싶은 제목이 떠오르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미치지 않고서야>로 가게 됐습니다.

“너네 같은 개발자들은 기술이라도 있지. 나 같은 인사쟁이는, 그것도 40대 여자는 재취업도 안되거든?”(<미치지 않고서야>)

- <마녀의 법정>을 마무리한 뒤 곧바로 <미치지 않고서야> 집필에 들어갔고, 총 4년을 준비했다고 들었습니다. 회사 내 각기 다른 부서의 캐릭터들이 등장해서 새롭게 공부해야 할 것들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자료 조사와 준비 과정이 궁금합니다. 취재도 진행했나요.

= 말씀하신 대로 개발자와 인사쟁이가 주인공인 드라마다보니 준비 과정이 만만치 않았어요. 개발팀과 인사팀 모두 그동안 드라마에서 다루지 않았던 생경한 분야잖아요. 리얼리티를 위해 마땅히 해당 분야의 회사를 섭외해 상근 취재를 해야 했는데, 당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회사들이 외부인의 출입을 막은 상태였어요. 심지어 가전 회사는 기술 정보가 곧 회사 이익과 직결되는 곳이다보니 비단 코로나 때문이 아니어도 그 어떤 취재도 허가해줄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인사팀 역시 회사의 민감한 정보를 다루고 비밀이 많은 조직이라 취재가 녹록지 않았어요. 자문해주시는 전담 교수님을 만나기 전까지는 저를 포함해 제작사, 보조 작가들이 초등학교 동창 인맥까지 동원해 취재 자리를 만드느라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알음알음 알게 돼 취재를 도와주신 분들께 지금도 너무 감사한 마음입니다. 코딩과 관련해 덧붙이자면, 생전 처음 들어본 ‘임베디드’, ‘메인칩’, ‘딥러닝’ 같은 단어들을 공부하면서 그동안 가전 회사 이야기를 다루지 않은 데는 다 이유가 있었구나,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웃음)

사진제공 정도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