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특집] <가여운 것들>은 페미니즘 영화인가?, 영화가 언급한 계급과 여성에 관하여
2024-03-08
글 : 정재현
* <가여운 것들>을 포함한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가 일부 포함돼 있습니다.

영화 <가여운 것들>과 가장 맞닿은 고전은 조지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1913)이다. 두 작품 모두 여성주인공 벨라(에마 스톤)와 일라이자의 성장을 다루고, 이 두 여성이 종래에 새로운 자아와 신분으로 거듭나는 주요인은 언어 발달이다. 뿐만 아니라 자기보다 하등하다고 생각한 젊은 여성을 교육, 개조시키려는 독신 장년 남성 학자, 갓윈(윌럼 더포)과 히긴스가 등장하고 신분과 계급 분화가 가장 공고했던 영국 빅토리아시대의 런던이 배경이다.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

<가여운 것들>은 100년 전 출간된 <피그말리온>보다 계급과 지능 발달에 관해 훨씬 깊은 이야기를 전한다. 벨라는 남자들의 교육과 원조 없이도 스스로 계단을 오른다. 벨라는 자유의지에 의해 덩컨(마크 러펄로)과 함께 리스본과 파리를 여행하고 또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런던으로 돌아온다. 벨라는 창조주의 요새 속에 갇혀 알지 못했던 세상의 여러 풍경에 눈을 뜬다. 벨라는 여행 중 세상에 존재하는 분란과 갈등을 마주하고, 빈곤과 기아를 접하고 충격에 빠진다. 하지만 벨라는 자신이 받은 타격에 굴하지 않는다. 오히려 쇼크를 학구열 삼아 견문을 넓히는데 집중한다. 에머슨의 시집을 읽으며 왜 그의 진화론은 남성의 사례에 국한하는지 의문을 품고, 스피노자의 <에티카>를 읽으며 심신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투쟁한다. 그리고 벨라가 주체로 서는 과정에서 섹스 역시 긴요하게 작용한다. 영화는 벨라가 온전한 개체의 자리를 점하는 과정을 촬영을 통해 보강한다. 벨라는 세상을 깨우치고 이해할 때마다 시선을 위로 둔다.

리스본의 벨라는 끝없는 계단을 오르며 여행한다. 벨라가 태어나서 처음 ‘음악’이라는 것을 듣고 황홀경에 빠질 때도 아래에서 위로 파두 싱어를 응시한다. 심지어 사창가에 취직할 때도 벨라는 거침없이 계단을 오른다. 이때 카메라 또한 벨라의 시선을 따라 하이앵글로 프레임을 잡는다. 반면 영화는 벨라가 겪는 고통이나 이전과의 삶의 단절을 하강의 숏으로 선언한다. 벨라의 모체인 빅토리아 블레싱턴(에마 스톤)이 높은 곳에서 템스강으로 몸을 던질 때, 여객선 위에서 고통받는 알렉산드리아의 빈민촌을 응시할 때나 건물 아래에서 생떼를 부리는 덩컨을 바라볼 때가 그렇다.

사람들은 하나같이 벨라에게 계급에 관련한 핀잔을 건넨다. 벨라의 배우자 맥스(라미 유세프)는 벨라가 사용하는 어휘가 상류사회의 어법에 맞지 않는다 지적하고, 여행 중 만난 많은 타인들은 벨라의 예법을 지적한다. 한데 몸소 계급의식의 모순을 체득한 벨라는 그로부터 발원한 빈부격차와 성차별, 참정권과 노동권을 조소한다. 이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장면이 벨라의 춤 시퀀스다. 모두가 차려입은 연회장. 벨라는 기괴한 독무를 시작한다. 그러다 벨라를 말리러 온 덩컨의 저지로 독무는 순간 쌍무가 된다. 하지만 체면을 차리려던 덩컨은 엄한 남성과 육탄전을 치르며 더 큰 소동을 만든다. 계급의식 아래 품위를 지키려는 이의 허위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순간이다. <가여운 것들>의 감독인 요르고스 란티모스는 전작에서도 제도의 억압을 춤으로 조롱해왔다. <송곳니>의 큰딸(아길레키 파푸리아)은 전체주의적 가풍이 야기한 정체성의 혼란을 춤으로 승화하고, 냉혹한 규칙 아래 살아가는 <더 랍스터>의 외톨이 게릴라는 승전 후 말도 안되는 춤을 춘다.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속 사라(레이철 바이스)도 연인인 앤 여왕(올리비아 콜먼) 앞에서 기괴한 춤을 추다 저지당한다. 사라는 평생 그 왕권을 넘지 못했다.

페미니즘인가 여성혐오인가

<가여운 것들>은 여러 구설에 오르며 논쟁의 중심에 섰다. 극심한 지지와 비난이 대립한 지점은 벨라의 파리 여행 챕터다. 빈털터리가 돼 파리에 도착한 벨라는 자신이 좋아하는 섹스를 하며 돈을 벌 수 있다는 점에 매료돼 자발적으로 사창가에 취업한다. 벨라는 사회주의에 입각해 자신의 몸이 ‘생산수단’이 될 수 있음에 감동하고 포주(캐스린 헌터)에게 직접 매춘 여성이 고객을 고를 수 있는 제도를 제안하기도 한다.

여성의 해방을 논하는 여성이 성적 자유를 누리다 못해 스스로 성매매의 수단이 된다는 설정. 이를 여성혐오라 지적하는 주장은 일견 정당하다. 자유권을 매춘과 연관짓는 일은 성매매 산업의 극심한 여성 착취 이데올로기에 동조할 여지를 제공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벨라는 임신 중단과 강간 위협 등 여성이 감수해야 하는 현실적인 위협으로부터 철저히 멀어져 있다. 그래서 <가여운 것들>의 세상은 성매매가 영화 밖 현실과 달리 여성에게 위협이 아닌 힘을 제공하는 세상이 된다. 아이의 뇌를 가진 성인 여성이 먼저 섹스를 요구한다는 설정은 의제강간을 면피하려는 소아성애자들의 범죄 논리와 다를 바 없다는 의견도 새길 만하다. 분명 벨라의 행보는 성차별 이데올로기 내부에 도사린 폭력과 착취의 단면을 자발성으로 가린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한 가장이 성교육을 위해 미성년 아들들로 하여금 벨라와의 정사를 직접 관찰하도록 쓰인 신은 영국영화등급위원회의 아동보호법에 의해 영국에서 편집된 채 상영되기도 했다.

벨라는 페미니스트인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벨라는 여성의 진화와 해방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끝내 가부장제 체제를 자신의 능력으로 전복한다. 벨라는 젊을 때 바닥을 경험하라는 포주에게 세뇌되지 않고 모든 선택의 순간에 주도권을 선점한다. 벨라는 성적 쾌락을 통해 해방을 맛보지만, 그에게 섹스는 자유를 획득하는 방식의 일부일 뿐이다. 궁극적으로 벨라를 성장케 하는 건 책을 통한 공부와 실증적 세상 경험이다. 하지만 여성의 자유로운 선택이 반드시 페미니즘적인 선택은 아니라는 점에서 그리고 벨라의 선택이 여러 논란을 낳는다는 점에서 벨라의 궤적은 다각도로 논의해볼 여지가 있다.

<가여운 것들>은 페미니즘 영화인가? 그래도 영화가 표방하는 가치는 페미니즘에 가깝다. 영화는 벨라 주변의 남성들을 통해 여성에게 유해한 남성성의 총람을 선보인다. 갓윈은 벨라를 구속해 인간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했다. 벨라에게 해방을 선사하겠다며 여행을 제안한 덩컨도 어느새 벨라의 말투와 언어를 재단하기 시작한다. 크루즈에서 만난 남자 해리(제로드 카마이클)는 벨라를 존중하다가도 벨라를 자꾸만 가르치려 든다. 강한 폭력성을 보이는 전남편 알프레드(크리스토퍼 애벗)는 아마도 빅토리아의 자살 시도의 핵심 원인으로 보인다. 잊지 말아야 할 사실 하나가 있다. 만약 <가여운 것들>의 여러 설정을 두고 남성감독, 남성 각본가, 남성 원작자의 한계라 단정한다면 이는 영화의 제작자이자 주연배우인 에마 스톤의 성취를 지우는 일이 된다. 에마 스톤은 <가여운 것들>의 제작자로서 배우 캐스팅을 포함한 영화의 세부를 란티모스와 함께 논의하며 작품을 만들어갔다. 에마 스톤은 불거진 논란에 관해 “배우이자 제작자로서 나는 벨라를 아이라 해석하지 않았다”고 답하며 이같은 비판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영화를 판단하는 동시대의 관람 풍경”(<타임스>)이라고 우려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