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CJS 연대, 강우석, <실미도> [4]
2003-02-21
글 : 남동철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사진 : 정진환
정리 : 이영진

“감동 못 주면 영화계 떠난다”

신작 <실미도>에 대한 궁금증 몇가지

지난해 3월, 미국 컬럼비아영화사가 제작비 전액을 투자한다고 발표해 화제가 된 영화 <실미도>가 오는 3월1일 크랭크인을 앞두고 있다. 발표시점에서 1년여 만에, 10여 차례 시나리오 수정을 거쳐 콘티 작업 마무리단계에 이르렀다. 최근 강우석 감독은 <실미도> 출연진의 윤곽까지 정했다. 일찌감치 주인공으로 결정된 설경구를 비롯해 안성기, 정재영, 임원희, 허준호 등이 가세하기로 했다. 전체 영화의 70% 정도를 찍을 실미도 훈련장 세트가 들어설 지역도 확정됐다. 한때 경기도 화성 앞바다에 있는 입하도가 거론됐으나 몇 가지 어려움 때문에 실제 북파부대 훈련을 했던 실미도에서 촬영을 하기로 했다.

이처럼 제작에 필요한 여러 사항이 결정됐지만 영화 <실미도>의 실체는 아직 모호하다. 무엇보다 강우석 감독이 <실미도>에서 보여주려는 것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설명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시나리오와 콘티가 모호한 상태에서 언급한 몇 가지 이야기만으로는 코미디 작가로 알려진 그가 역사의 끔찍한 상처를 파헤치려는 이유를 짐작하기는 어려웠다. 과연 강우석 감독을 영화 <실미도>로 이끈 계기는 무엇이었을까?

-<실미도>에 끌린 이유는.

=실미도 사건 갖고 영화 만든다는 얘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그건 내가 해야 하는데 하던 차에 한맥영화 김형준 사장이 제안을 해온 거다. 대한민국 근대사 중에 이것만큼 매력적인 소재도 없다고 본다. 나 <황야의 7인> 같은 거 보면 뭔가 해보겠다고 낙향한 애들을 다시 끌어모아서 뭔가 일을 도모하는 근사한 설정이 있다. 그런데 실미도는 가상드라마가 아니라 실제 있었던 일이라 구미가 당겼다. 특히 실제 이야기를 증언을 통해 알고 나니까 만들 때 얼마든지 오버해도 되겠구나 싶었다. 이거 지금 안 했다가 나중에 후회할지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고.

-의외라는 느낌이 드는 건 <실미도>가 코미디로 풀 수 없는 역사적 비극이라는 점이다. 강우석 감독은 코미디 전문가로 알려져있다. 정치스릴러였던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의 실패를 기억하는 사람들도 있고.

=<공공의 적> 보고 나서 사람들 첫마디가 ‘저런 식으로도 코미디가 되네’였다. 어떤 상황에서만 코미디가 가능하다는 틀을 나름대로 깬 거다. 지금까진 내가 잘할 수 있는 웃음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해왔다. 이번에는 소재가 무거운데다 코믹한 장면도 별로 없다. 웃음이라는 무기없이 어떻게 재미를 전달할 수 있을지 스스로 시험할 수 있는 기회다. 공감대를 쉽게 형성할 만한 이야기인데 감동을 못 주면 영화계 떠날 각오하고 있다.(웃음) 감독은 손 놔야 하지 않겠나. 나중에 가서 제작비가 부족했다, 자료가 충분치 않았다, 시간이 없었다, 뭐 이런 핑계를 댈 수도 없지 않은가.

-<실미도>의 이야기 구조는 애초에는 멜로드라마가 강했던 걸로 알고 있다. 무엇을 드라마의 축으로 삼을지 궁금하다.

=말도 안 되는 멜로를 끼워넣을 생각은 추호도 없다. 면회하러 오는 여자 만들어서, 우리 그이 어디 갔나요 하라고? 그걸 넣을 바에는 여성 심리를 잘 모른다느니, 여성 캐릭터가 빈약하다느니 하는 소리를 듣고 말지. <공공의 적>에서 그 바쁜 강철중이가 연애한다고 생각해봐라. 개인적으로 부대원들이 총구를 왜 반대로 들이밀게 되는가를 밀도있게 그릴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본다. 굳이 극화하기 위한 설정을 만들지 않아도 실제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생생한 느낌을 전달해주는 거 하나면 된다. 마지막에 관객이 울어주면 감독으로서 더 좋은 거고.

-지나치게 상업적인 코드로 갈 경우 역사 왜곡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고, 지나치게 진지할 경우 관객이 보기에 부담스러운 영화가 될 수 있다.

=뭐, 실미도 가지고 장난치냐는 평이 나올 수도 있겠지. 하지만 과거의 그 사건을 두고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는 거 아닌가. 그렇다고 영화 속에서 위정자가 어쩌고저쩌고 하진 않는다. 그건 관객의 몫이다. 영화 보고 관객이 자연스레 그 생각까지 닿으면 좋겠지만, 굳이 영화 속에서 드러내진 않을 거다. 관객에겐 다만 과거 대한민국에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라는 사실을 충실히 전달해주는 것으로도 시대가 만들어낸 어처구니없는 비극을 드러내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