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충무로 실화영화 붐 [2]
2004-06-30
글 : 정한석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살인의 추억> <실미도>의 흥행으로 검증받은 ‘실화’ 트렌드

리얼리티에 대한 믿음

<살인의 추억>과 <실미도>의 대중적 성공. 이것이 실화영화 붐을 설명하는 데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쉬우면서도 또 통상적으로 적확한 대답이다. 이 대답은 우선 틀리지 않다. “나한테만 많은 건지 영화계 전반적으로 많은 건지 잘 모르겠지만, <실미도>를 기점으로 그런 제안이 많아진 건 사실이다. 트렌드에 일정한 흐름이 있다고 본다면 다음 트렌드에 대한 예측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실미도>도 오래전부터 기획된 것이었고, 지강헌 사건도 오래된 전설 같은 기획들이다. 지연되던 기획들이 <실미도>를 통해 증명되었다고 볼 수는 있다”(<실미도>의 각본가, 김희재. 현재 그가 설립한 시나리오 창작 집단 베네딕투스에서 <독도 수비대>와 <홀리데이>를 작업 중이다. 그가 들려준 바에 의하면 이 밖에도 <실미도> 이후 여러 편의 실화영화 제의가 더 있었다고 한다). 또는 “<살인의 추억>이나 <실미도>의 흥행이 투자를 받아야 하는 감독 입장에서 일을 진행하기에 유리하게 만든 건 사실”(김의석)이라는 소견도 있다. 이것들을 바탕으로 말하자면, <살인의 추억>과 <실미도>가 지금의 현상을 즉자적으로 촉발시켰다기보다는 조심스럽게 타진해오던 여타의 기획들에 하나의 성공적인 ‘리트머스 실험지’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후 <태극기 휘날리며> 혹은 <효자동 이발사> 같은 영화 역시 그 시대배경이나 조연들의 실물성으로 인해 실화영화의 어느 귀퉁이로 인지된다는 것이 현재로서는 중요하다. ‘실화적’이라는 느낌이 그 소재의 진위를 떠나서 어떤 효과로서 작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실미도>나 <효자동 이발사> <태극기 휘날리며> 등 ‘실화적인’ 소재들(작은따옴표는 필자 강조)이 관객한테 좋은 반응을 얻더라. 그래서 한번 해봐야겠다, 영화적인 소재로 상당한 이슈가 될 수 있겠다, 하는 생각을 했다”(씨네터 차성호 대표)거나, “실체가 있는 소재가 작품에 대한 믿음으로도 연결이 된다”(김영빈)는 확신. 바로 이 점, ‘과거에 정말 그런 일이 있었다’. 이 리얼리티에 대한 믿음의 문제가 역류하여 허구의 이야기들을 주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식의 판단도 있다.

특별히 실화였기 때문에 한 것이 아니다. 실화든 구라든 우리는 인간의 울림이 있으면 한다”(싸이더스 대표 차승재). “특별히 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살인의 추억>과 <실미도>와는 상관없이 기획됐다. 오히려 우리나라엔 그동안 (실화영화가) 너무 없었다고 생각한다. 다른 외국에서 만들어지는 영화나 코미디 장르, 하이틴영화들에 비하면 붐도 아니지 않은가 싶다. 아마도 개인사든 민족사든 앞으로도 계속 되지 않을까 싶다”(마술피리 대표 오기민). 옳은 말이다. 충무로의 모든 감독과 제작자가 눈이 빠져라 실화만을 찾아다니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다시 이상한 것은 그렇게 무관하게 선택된 소재들이 과거의 캐릭터를 발굴하고 사건을 찾아내는 데 집중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령, 영화사 싸이더스만 해도 근래 영화들 중 실화를 재구성했거나 하고 있는 영화가 네편이다. <살인의 추억> <범죄의 재구성> <역도산> <슈퍼스타 감사용>. 그 ‘인간의 울림’이 과거 실화에서 찾아졌다는 말이다. 덧붙여, 지금의 실화영화 붐은 코미디나 하이틴영화의 제작 컨벤션과 비교하기에는 차원이 다를 만큼 복잡한 문제이다.

물론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각각의 영화사가 지닌 기획 성격에 따라, 또 그 작품을 연출하고 있거나, 곧 연출하게 될 감독의 연출론에 따라, 각양각색의 완성품들이 등장할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제작사에서, 어느 감독이 메가폰을 쥐는지가 흥미로워질 것이다. 그 영화들은 한편으로 흥행을 목적으로 할 것이고, 한편으로는 장르의 개척으로 나아갈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역사에 대한 민감한 고민이 될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왜 지금 봇물처럼 나오느냐에 대한 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오기민). 그러기 위해서는 그 미지의 텍스트들 안으로 들어가야만 한다. 왜 그 실화가 선택되었으며, 어떻게 다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두어야만 한다는 말이다(텍스트 외적인 차원에서 첨언처럼 곁들이자면 70년대 중·후반, 80년대 초반 학번의 제작자 및 감독들의 군집이 이 현상을 주도하고 있음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 점 역시 무시하기 힘든 요소이다).

실화영화의 첫번째 특징: 역사의 캐릭터화

(먼저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점. 이하의 관점은 전적으로 시나리오에 기댄 것일 수밖에 없다.) 실화영화들의 내용 속에서 발견되는 우선적인 특징을 ‘역사의 의인화, 또는 역사의 캐릭터화’라고 부르고 싶다. 여기에 해당되는 영화가 <바람의 파이터> <역도산> <청연> <슈퍼스타 감사용>이다. 영화의 주인공을 누구로 선택하는가의 문제는 그 영화의 욕망과 결핍과 갈등이 무엇인가의 문제를 대변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선택된 것인가? 시나리오대로라면, <역도산>은 1950년 9월로 시작할 것이다. <바람의 파이터>는 1953년 미국 하와이에서 시작할 것이다. <청연>은 1910년 조선땅에서 시작할 것이다. <슈퍼스타 감사용>은 1981년 12월로 시작할 것이다. 재일 한국인이자 일본의 영웅인 역도산, 한국인에서 일본인으로 귀화하여 일본뿐 아니라 세계 무술계를 평정한 최배달, 일제 강점기에 한국 여성 최초로 하늘을 날아오른 박경원. 영화는 이들에게서 주권없는 시기를 살아간 모호한 이중 정체성의 고난, 그러나 그 역경을 딛고 일어서려는 인간 역정의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 이것은 곧 1980년대 군사정권이 시행한 스포츠 정책 안에서 꼴찌 중에 꼴찌를 차지했던 한 인간에게 보내는 구원의 휴머니즘적 격려와 다를 바가 없다. 감사용의 사적 야구인생의 진로는 역사의 공적인 강제 전환과 함께 시작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들이 바로 우리 한국인의 모습이 아니었겠느냐고 이 영화들은 관심을 쏟고 있다. 이것이 바로 허문영이 지적한 한국영화가 찾고 있는 ‘자기 이미지’의 극한적 예증이라고 말할 수 있다(물론 <바람의 파이터> <역도산> <청연>은 아시아간 산업적 네트워크가 그 뒷배경으로 깔려 있지만 지금 이 지면에서 그것을 말하기에는 옳지 않다. 또한 그 점을 배제한다고 해도 큰 무리가 따르지 않는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