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리뷰]
사이버펑크 대신 도시의 철학자, <6월의 뱀>
2004-12-07
글 : 김종연 (영화평론가)
총 대신 카메라, 타나토스 대신 에로스, 자웅동체 대신 섹스. 사이버펑크 대신 도시의 철학자. 나이 들어 나긋해진 쓰카모토 신야.

개인차야 있겠지만 도시의 삶은 아무래도 삭막하다. 수백만이 부대끼고 테크놀로지가 섭리하는 곳. 정해진 시간, 정해진 루트를 따라 되돌아오고 다시 정해진 일상을 반복하는 곳. 인간은 왜소해지고 시스템은 비대해진다. 여기서 자아를 되찾겠다는 형이상학적 노력이 아주 없을 순 없으나 ‘존재란 다만 기능(function)의 연장일 뿐’이라는 유물론적 생각까지 재고(再考)할 줄 모르는 이들은 오히려 테크놀로지와 기계의 힘을 빌리려 한다. “인간의 육체를 재발견하라!” 기계를 신체의 연장으로 삼는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식 악취미, 쓰카모토 신야의 사이버펑크는 이렇게 시작된다. 그리고 나와 적(敵)이, 거대도시를 향한 애정과 증오가, 자아실현과 자폭의지가 한데 얽혀 융합한 문제적 인간의 불길한 폭주가 시작된다. 이것이 필모그래피 면면히 가득한 쓰카모토 신야풍(風) 카타르시스다.

또한 사이버펑크적인 골격을 그대로 가지고 온다. 삶이 걸려 있는 긴박한 문제마저 전화로 상담하는 건조한 도시, 그나마도 그칠 것 같지 않은 장맛비가 사람들을 서로에게서 고립시킨다. 정작 전화심리상담원 린코마저 결벽증 심한 남편 탓에 들끓는 욕망을 검은 뿔테 안경과 단정한 복장에 가둔 채 숨죽이며 살아가야 할 판이다. 그러나 그런 그녀에게 파파라치 스토커가 협박을 가해오면서 전화선을 타고 인생을 논하던 정적 구도는 변하기 시작한다. 말하자면, 신체 연장(延長)의 도구로서, <총알발레>의 총 대신 총을 무척이나 닮은 광학기계 카메라의 권능을 빌리기 시작한 것이다. 카메라는 포성에 가까운 굉음을 내며 플래시 빛을 토해내고 여인은 관능에 눈을 뜬다. 요약하자면 그렇다.

그러나 <쌍생아>부터 예견된 일이지만, 의 쓰카모토 신야는 복합적이고 심도 깊어진 대신 점점 유순해지는 인상이다. 흑백 화면과 블루톤, 거친 입자의 화면과 강박적 편집 등 외관은 오히려 <총알발레>를 비롯한 초기작들에 더 가까워졌지만 더이상, 적의를 품으면서도 동경을 거둘 수 없는 막강한 적 혹은 짝패와의 대결도, 집요한 타나토스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철남> 시절의 기괴한 자웅동체 대신 감격의 섹스라니. 융합돼서는 안 될 것들을 배합해 폭발하던 카타르시스가 좀 생뚱맞은 탄트라 설법의 깨달음 정도로 희석된 느낌이다. 하긴, 폭주하던 펑크도 나이 들면 마리화나 피우는 도시의 은자가 되는 법이므로, ‘사이버펑크’인들 어련할까만.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