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충무로 소재 공장 <인간극장> [5] - 인간극장 원작 영화 ③
2005-11-30
글 : 김수경
사진 : 오계옥
<친구와 하모니카> <친구와 하모니카 그후> 원작으로 한 <친구와 하모니카>

길 위의 우정, 가난하지만 진실한

<친구와 하모니카>는 노숙자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더 정확히는 노숙자들 곁에서 그의 친구가 바라본 풍경이다. 1998년 겨울 우연히 가락시장역에서 만난 노숙자 하늘이와 김우현 PD는 친구가 되기로 약속한다. 김 PD는 하늘이와 함께 다니다가 노숙자도 아니면서 하늘이 곁을 맴도는 두환, 한때는 노숙자들의 만능해결사에서 알코올중독자로 전락한 석현과 마주친다. 이야기 구조는 간단하지만 이 다큐멘터리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심리적 무게는 헤비급 권투선수가 날리는 혼신의 주먹처럼 가슴을 두드린다. 2000년 5월 처음 방영된 <인간극장>과 무관하게 <친구와 하모니카>는 1998년부터 촬영이 시작됐다. 이 작품은 <인간극장>이 보여주는 인간에 대한 태도를 본능적으로 드러낸다. 이를테면 촬영이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늘이는 김 PD에게 약간의 어색함을 표한다. 그러자 김 PD는 즉시 카메라를 거두고 그와 헤어진다. 그리고 1년 뒤 크리스마스에 김 PD는 잠실역에서 하늘이와 다시 마주친다.

22살의 두환과 39살의 하늘이가 주고받는 우정을 중심축으로 삼는 <친구와 하모니카>는 우리가 노숙자들에게 가진 고정관념을 송두리째 흔들어놓는다. 두환은 하늘이에게 보답을 바라지 않고, 하늘이도 두환에게 부채감을 느끼지 않는다. 하늘이의 발을 씻기고, 밥을 먹이고, 하모니카를 선물하는 두환의 사랑스러운 모습에서 눈을 떼기란 쉽지 않다. <친구와 하모니카>의 마지막 부분은 제작진에 하늘이의 가족이 연락해왔다는 자막으로 마무리된다. 후속편 <친구와 하모니카 그후>에서는 그렇게 가족에게 돌아간 하늘이와 그로 인해 자탄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석현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그리고 하늘이는 가족을 떠나 22년을 살았던 지하철역으로 다시 돌아온다. <친구와 하모니카>로 2001년 한국방송대상을 수상한 김 PD는 후일 석현의 죽음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 “나는 죽을 때까지 그 죽음에 대한 알리바이를 갖지 못할 것이다. 석현 형만이 아니라 세상의 크고 작은 죽음과 상처들로부터. 그것이 다큐멘터리를 하는 내 숙명인 것이다”라고. 그가 잃은 것은 출연자가 아니라 가족과 진배없는 친구였다.

<친구와 하모니카>의 영화화를 결정한 브라보엔터테인먼트는 천애의 고아로 세상을 등진 석현과 행방불명으로 사라져버린 하늘이의 허락을 받을 수가 없었다. 대신 평범한 청년으로 살아가는 두환에게 영화화의 허락을 받았다. 전철홍 작가와 김상범 PD가 주축이 되어 시나리오 작업이 진행 중이며 감독도 거의 내락된 상황이다. 시나리오가 완성되어도 예전과는 달리 서울역과 영등포역에 노숙자들이 밀집된 상황 때문에 촬영도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구와 하모니카>는 내년 2월에 촬영에 돌입하기 위해 분주하게 준비 중이다.

김상범 <친구와 하모니카> PD 인터뷰

“그들이 깨달은 인간의 단면에 주목한다”

-<친구와 하모니카>를 영화화하기로 결심한 동기가 궁금하다.

=실제 다큐멘터리를 바탕으로 영화를 경험한 분들은 두번 다시 그런 작품을 안 하려고 한다. 그걸 극영화로 옮기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우리도 오랫동안 고민하다가 이런 구성하기 힘든 이야기도 영화로 기획이 돼서 사람들에게 감동을 줘야 한다는 판단에서 영화화를 결정했다.

-영화상으로는 이야기가 어디까지 전개되는가, 석현의 죽음도 포함되나.

=현재까지 작업한 시나리오상에서는 석현의 죽음까지 간다. 다큐멘터리의 시간의 터울을 모두 담는 것으로 일단은 생각하고 있다.

-다큐멘터리와는 어떻게 다른 구조로 이야기가 전개되는가.

=처음부터 석현의 죽음이나 하늘이 집으로 돌아가는 일처럼 결정적인 사건들을 먼저 내놓고 역추적하는 개념을 생각했다. 이를테면 하늘은 집을 찾고 나서도 왜 돌아가지 않는가를 반문하는 것이다. 그것은 석현이 죽음을 택하는 사건과도 연결된다. 셋이 뭉쳐다니는 배경에는 친구 개념이 아니라 한 가족이나 가정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 존재한다.

-<친구와 하모니카>의 이야기가 가진 교훈이나 철학이 있다면.

=노숙자에게 시선을 되돌려보자는 직설적인 주장보다는 그들이기 때문에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인간의 단면을 깨닫는 게 아닐까 하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가족이나 친구에 대한 절실함을 우리는 쉽게 잊고 산다. 인생의 밑바닥에서 원초적인 본능처럼 그것을 느끼는 그들을 보여주고 싶다.

-촬영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 당시와는 상황도 많이 바뀌었고.

=김우현 PD라는 분이 실제로 얼마나 대단한 분인지를 실감하고 있다. 하늘이나 석현이 같은 사람은 우리가 화면에서 익숙해져 친근하게 보이지만 실제 노숙자들을 만나면 말 한마디 건네는 게 정말 어렵다. 게다가 최근에는 집단화된 분위기이고 그로 인해 저널에서 부정적으로 자주 다뤄진 점도 부담스럽다.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