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충무로 미국 공략 [1]
2006-10-20
글 : 문석
사진 : 손홍주 (사진팀 선임기자)

충무로는 아메리카 대륙을 향한 항로를 개척 중이다. 최근 들어 한국과 미국의 합작영화가 미국 땅에서 본격적으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영화계가 드넓은 태평양을 건너가 얻으려는 것은 미국시장이다. 한국 영화인들에게 미국은 ‘꿈의 시장’ 혹은 ‘궁극의 시장’이자, 일본에서의 한국영화 침체로 인해 불가피하게 개척해야 할 해외시장이기도 하다. 결국 지금 충무로는 미국시장의 문을 열기 위해 승부수를 던질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규모로 세계 최대이며, 세계 영화유통의 중심이기도 한 미국시장을 향한 충무로의 도전은 과연 성공할 것인가. <웨스트 32번가>(가제)의 뉴욕 촬영장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해본다.

“Keepin’ movin’! Keepin’ movin’! Thank you!” 9월9일 오후 8시 뉴욕 맨해튼 서쪽 켠의 32번가, 다양한 얼굴색의 스탭들이 촬영장을 두리번거리는 행인들에게 관심을 끄고 지나쳐달라고 외치고 있다.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 술집, 슈퍼, PC방 등이 밀집해 있어 ‘리틀 코리아’ 또는 ‘코리아타운’으로 불리는 이곳에서는 이제 막 <웨스트 32번가>(가제)의 촬영이 시작되려는 중이다. 하지만 스탭들의 부탁이 있거나 말거나, 주말을 맞아 몰려나온 한인들은 정준호의 모습이 보이자 재빠르게 휴대폰을 카메라 모드로 바꾸거나 사인을 받으려고 다가가면서 반가움을 표했다. 얼마 뒤 한국계 배우 존 조가 나타나자 한인뿐 아니라 백인들도 열띤 반응을 보여 TV시리즈 <키친 컨피덴셜>과 영화 <해롤드와 쿠마>로 떠오르고 있는 그의 이름값을 확인케 했다.

<웨스트 32번가>는 최근 활발해진 충무로의 미국 현지화 프로젝트 중 하나다. 한국의 CJ엔터테인먼트가 투자와 제작을 책임지고, 한국계 영화감독 마이클 강이 연출을 맡으며, 역시 한국계 배우인 존 조가 주연을, <사랑니> <가능한 변화들> 등에 출연한 김준성이 주연급 조연을 맡고, 정준호도 특별 출연한다. 겉보기엔 <웨스턴 애비뉴>나 <깊고 푸른밤>처럼 미국에서 로케이션을 진행한 한국영화와 유사하지만 <웨스트 32번가>는 미국을 주된 시장으로 바라보는 ‘영어영화’라는 점에서 한국영화의 새로운 경향을 반영한다. 한인 밀집지역을 의미하는 제목처럼, <웨스트 32번가>는 미국 속 코리안 아메리칸들의 이야기다. 주인공은 변호사인 존 김(존 조). 살인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계 소년의 무료 변론을 맡게 된 그는 이 사건에 한국계 범죄집단이 연루돼 있음을 알게 된다. 그는 범죄조직원 중 하나인 마이크(김준성)와 가까워지면서 점점 그 중심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웨스트 32번가>는 스스로를 미국인이라 생각하던 한 코리안 아메리칸이 한인 커뮤니티를 접하면서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을 그린다.

어둠이 깊어가던 중 스탭들이 “Lock it up!”이라고 외치기 시작한다. 이제 촬영을 시작하니 모두들 조용히 있으라는 얘기인 듯하다. 이날 촬영분은 전진호(정준호)가 살해당하는 초반부 장면. 정준호가 자동차에 올라탄 뒤 시동을 걸고 출발하려 하면 다른 자동차가 다가와 길을 가로막아야 한다. 카메라 앵글상 배우들이 직접 자동차를 몰아야 하는 탓에 스탭들은 긴장하는 눈치였다. 정준호와 상대배우에게 뭔가를 거듭 이야기했던 스턴트 코디네이터도 안심하는 표정이 아니다. 감독의 슛 사인에 맞춰 정준호의 렉서스가 출발하자 뒤쪽에서 온 검은 밴이 끼익 하는 소리를 내며 끼어든다. 그런데 쿵, 접촉사고가 난다. 우려하던 사태가 일어난 것이다. 스탭들은 배우들에게 이상이 없다는 것을 체크한 뒤 차량을 점검한다. 하지만 망설일 시간은 없다. 32번가에서의 촬영은 이날만 가능했던 탓에 스탭들은 이어지는 촬영을 준비했다. 몇번의 재시도를 거쳐 감독의 오케이를 받아낸 뒤에야 정준호는 안심하는 표정을 짓는다. 그는 “언어가 통하지 않아 걱정을 많이 했는데 막상 부딪쳐 보니 영화를 찍는 열정은 한국과 똑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웨스트 32번가> 촬영현장
<웨스트 32번가> 촬영현장

마이클 강 감독은 이번 작업이 상당히 만족스럽다고 말한다. 아주 작은 규모였던 데뷔작 <모텔>과 비교하면 250만달러의 예산은 상당히 크다는 것. 그의 흡족한 표정은 단지 제작비에서 비롯되는 것만은 아니었다. “한국, 그리고 코리안 아메리칸들과 깊은 관련 속에서 작업을 한다는 것이 정말로 즐겁다.” 제작사, 감독, 주요 배우뿐 아니라 촬영장의 스탭들 중에도 코리안 아메리칸의 비율은 높았다. 코리안 아메리칸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하다가 철이 들면서 인정하게 된 그의 개인사를 굳이 들추지 않더라도 그가 느끼는 각별함과 친밀함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네버 포에버> 외 3∼4편, 현재 미국에서 진행 중

8월 중순에 시작해 9월20일까지 6주 동안의 촬영일정을 마친 <웨스트 32번가> 외에 현재 미국에서 진행 중인 한·미 합작영화로는 <네버 포에버> <아메리칸 좀비> <줄리아> <리심> <컴백> 등이 있다. CJ엔터테인먼트와 나비픽처스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프로젝트 ‘짠’ 또한 저예산 액션영화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시장을 겨냥한다. 여기에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에서 강제규 감독이 만들게 될 SF영화와 한국전 당시 피난민을 도와준 미군들 이야기 <크리스마스 카고>를 더하고,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또는 아직 공표할 수 없는) 프로젝트까지 합한다면 향후 5∼6년 동안 한·미 합작영화는 봇물을 이룰 전망이다. 또 CJ엔터테인먼트처럼 <태풍> <한반도> 등을 미국에서 직접 배급함으로써 미국시장에 대한 정보를 쌓는 경우도 있다.

<네버 포에버> 촬영현장

나우필름이 미국에서 합작을 꾀하는 3편 중 하나인 <네버 포에버>는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 <그 집 앞> 등의 김진아 감독이 연출하고, 미국 배우 베라 파미가(<러닝 스케어드> <디파티드>)와 하정우, 데이비드 맥기니스가 출연하는 영화다. 이미 촬영을 마치고 후반작업 중. 나우필름과 뉴욕 영화사 복스3(VOX3)가 공동으로 제작하는 이 영화는 한국계 미국인과 결혼한 미국 여성이 불임으로 고통을 겪다가 한국 남자의 씨를 받으면서 벌어지는 일을 멜로드라마의 그릇에 담는다. 애초 나우필름과 김진아 감독은 한국에서 호러영화를 준비했지만, 김진아 감독이 하버드대학 초청교수로 부임하면서 잠시 프로젝트를 접었다. 그리고 하버드에서 이 이야기를 떠올린 김진아 감독은 나우필름과 복스3를 연결해 한·미 합작영화로 성사시켰다. 또한 나우필름은 LJ필름과 공동 제작하는 <리심>과 별도로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와 함께 대형영화를 만들 계획이다.

LJ필름은 더 많은 미국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조선의 마지막 황세자비 줄리아 멀록의 생애에 초점을 맞춘 역사드라마 <줄리아>(가제)는 LJ와 뉴욕의 대형영화사 포커스 피처스가 투자에서부터 제작·배급, 그리고 수익 배분까지 절반씩 부담해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역사물답게 2500만달러라는 큰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감독과 배우 또한 할리우드에서 인지도가 있는 인물들로 선정할 계획이다. 내년 6월부터 촬영을 시작할 계획. 미국쪽 파트너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리심>은 최근 출간된 김탁환 작가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하는 영화다. 초대 프랑스 공사인 빅토르 콜랭과 조선 무희 리심의 사랑 이야기를 그리는 이 영화는 내년이나 2008년 초 촬영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LJ는 정두홍 감독의 액션프로젝트 <컴백>과 외국 선교사와 한국 남성의 사랑을 소재로 한 로맨틱코미디도 기획 중이다.

<아메리칸 좀비>

<아메리칸 좀비>는 한국의 IHQ와 미국의 리리 필름스가 합작하는 영화다. 리리 필름스는 이 영화의 감독인 그레이스 리와 이인아 프로듀서가 함께 만든 회사. 이 영화는 제목과 달리 전형적인 좀비영화에서 한참 벗어나는 작품. 그레이스 리 감독과 존 솔로몬이라는 미국 감독이 스스로를 좀비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과정을 그리는 일종의 페이크 다큐멘터리다. 사실, 국내 최대 매니지먼트 업체 싸이더스HQ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IHQ의 더욱 큰 관심사는 소속 배우들의 미국 진출이다. <아메리칸 좀비>는 ‘미국에서의 영화제작의 내막을 파악하고, 우리와 조금이라도 관련있는 사람들의 프로젝트를 밀어주기 위해’ 만들어지고 있다. IHQ는 1년6개월 전부터 미국시장의 접근법을 모색했으며, 그 결실이 6월 설립된 IHQ USA다. 박이범 IHQ 이사는 “많은 배우들이 미국시장에 나가고 싶어한다. 또 미국시장에서 아시아계 배우들의 활약상도 두드러진다. 사실 몇년 전부터 미국으로부터 제안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한다. 현재 IHQ는 배우들에게 미국 내 거처를 마련해주고 영어와 문화를 직접 익힐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 미국 매니지먼트사와 계약을 체결, 한국 배우들의 커리어를 관리하도록 할 방침이다. 박 이사는 “전지현은 내년 초 미국 메이저 스튜디오 영화의 여주인공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정우성도 내년 말 정도 뭔가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송혜교와 조인성, 임수정, 하정우, 손창민, 이기우, 김선아 등이 미국시장 진출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관련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