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식코>를 통해 미국 민영의료보험제도를 고발하다
2008-04-10
글 : 송효정 (영화평론가)

야구모자의 돈키호테가 미국의 비참을 굽어본 뒤 캐나다와 프랑스, 영국과 쿠바를 편력한다. 환상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다. 미국의 악몽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다. 미국에서 시작해 쿠바에서 끝나는 이 피카레스크 다큐멘터리는 카메라 멘 돈키호테, 만년 악동의 미국 민영의료보험 고발기다. 어떤 야유꾼의 지적처럼 마이클 무어는 자신이 더이상 허클베리 핀이 아니라는 것을 모르는 자아도취적 인물인지도 모른다. 하긴 그도 벌써 지천명을 넘긴 훌쩍 54살이고, 칸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허클베리 핀이라니 말이 될 일인가.

TV쇼에서 만난 환자로부터 호기심 발동

이번에 그의 관심은 민영화된 미국의 의료보험으로 쏠렸다. 도서관도 공짜고 소방서나 경찰서를 이용하는 것도 공짜인데 국민의 기본적인 생존과 행복과 관련된 의료서비스가 왜 공짜이면 안 되는가? 이러한 그의 관심은 지난 1990년대 말 자신의 TV쇼인 <The Awful Truth>에서 만난 한 환자에 대한 기억에서 시작된다. 그는 장기이식수술을 위해 보험회사와 싸웠으나 결국 목숨을 보전할 수술의 보험처리는 거부되었다. 세계의 상징적 패권국이자 거대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기본적 생존권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병원 문턱에서 쫓겨나고 있는가. 이러한 관심에서 무어는 새로운 자신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한다.

일단 자신의 홈페이지(michaelmoore.com)의 방문자들과 팬들에게 보험처리 관련 문제에 대한 제보를 요청했고, 공지한 지 1주일 만에 2만5천통의 이메일을 받는다. 사연을 읽는 데만 꼬박 한달이 소요되었고, 이후 130일 동안 500시간 분량의 촬영이 진행되었다. 물론 촬영이 순조로울 리 없었다. 악명 높은 무어가 건강보험 시스템에 대한 작품을 기획한다는 소문에 미국의 제약회사들과 보험회사들은 겁에 질려 “야구모자를 쓴 꾀죄죄한 남자”를 조심하라는 경고를 사원들에게 돌렸다. 한편 10명의 미국인을 데리고 쿠바로 건너간 행동은 법 위반의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영화를 제작하는 데 가장 어려웠던 일은 어이없게도 ‘보험에 가입하는 일’이었다. 보험회사를 고발하는 영화를 찍으며 보험에 가입하려니 회사가 쉽사리 설득될 리 없었다. 이러한 논란과 소문은 제작에 장애가 되기도 하지만 역으로 성공적 마케팅 전략이 되기도 했다.

마이클 무어는 성장한다

논쟁을 구름처럼 몰고 다니는 마이클 무어에겐 지지자들 못지않은 열성적인 안티들도 존재한다. 불쑥 나타나 정치인들과 기업 관계자들, 대통령을 당혹스럽게 하는 선동꾼 마이클 무어의 새 영화는 이미 브랜드이자 아이콘(카메라 멘 뚱뚱한 안경 쓴 너저분한 백인 남자)이 되어버린 마이클 무어라는 인물에 대한 시끌벅적한 논쟁을 몰고 왔다. 그가 지닌 논리적 허술함은 역으로 그의 영리함이기도 하다. 그의 영화가 보유한 정치력의 잠재성에 대한 지지를 보내는 자들과 그의 논쟁적이고 허술한 선동적 태도에 대해 비난하는 자들은 꾸준히 대립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무어가 바라는 바다. 그의 영화는 매끄럽지 않고 불균질하며, 인터뷰어로서의 무어의 태도도 노련치 못하고 종종 편파적이다.

지난해 5월 <식코>는 <볼링 포 콜럼바인>으로 자신을 환대했던 영광의 자리인 칸영화제를 찾아 여론을 몰고 다녔다. 이어 6월 말 미국에서 개봉되어 호기심 많은 관객의 관심을 받았다. 찬사와 비난. 반응은 두 가지였다. 독설과 냉소가 다소 가라앉은 포괄적 주제는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고, 보험료를 지불하면서도 정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이상한 나라 미국에 대한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대안없는 비꼬기로 대중추수적 논쟁만 몰고 왔다는 그의 전작들에 비해 문제에 대한 지적들이 심층적이고 약간이나마 문제 해결에 대한 모색의 지점이 보인다는 점에서 마이클 무어의 성장에 대해 지적하는 자들이 있었다.

불편함과 즐거움 사이 긴장과 이완이 교차

반면, 미국에서는 언론들의 관심이 들끓었다. 자연인으로서의 마이클 무어의 무책임함과 모순점에 대한 지적에서부터 캐나다나 프랑스 혹은 영국과 쿠바의 의료보험체계를 ‘장밋빛’ 일색으로 예찬하고 있는 그의 태도가 공평하지 않다는 비난이 대세였다. 또한 자료와 인터뷰에 대한 공정치 못한 선별이 문제가 되었다. 그럼에도 그가 제기한 미국 미국건강관리기구(HMO)의 정책을 애써 옹호하는 의견은 없었다. 주제에 대해서가 아니라 마이클 무어의 ‘태도’에 대한 빈정인 셈이다.

캐나다에서, 프랑스에서, 영국에서, 쿠바에서 그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질문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특히 관타나모에서 9·11 영웅들의 의료서비스를 요청하다가 무시당한 무어가, 그들을 데리고 쿠바로 간다는 설정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제기했다. 사회주의적 통제체제로 가자는 말인가? 체 게바라의 딸을 등장시켜 쿠바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전망을 들으며, 국가가 버린 지난날의 9·11 영웅들의 쓸쓸한 뒷모습을 보여주면서 영화는 끝난다. 그리고 종종 예전 소비에트 농장 뮤지컬 장면들은 이러한 점과 연루되어 있다. 관타나모를 경유하여 쿠바로의 선회. 그는 무엇을 말하려는 것일까. 마이클 무어 스스로는 자신이 스탈린주의자라기보다는 미국 민주당 지지자일 뿐이라고 말한다.

마이클 무어의 영화에 등장하는 선정적인 자료들은 사람들을 동요시키는 기제로 이용된다고 비난받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마이클 무어는 항변한다. <볼링 포 콜럼바인>에서는 학교의 카페테리아에서 학생들이 죽어가는 화면을 갖고 있었지만 보여주지 않았으며, <화씨 9/11>에서는 이미 미디어가 많이 보여주었던 공중폭격 장면을 암전으로 처리한 바 있다. 불편한 진실들을 발랄한 방식의 편집으로 보여주는 자신의 작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불편함과 즐거움 사이, 긴장과 이완 사이. 그 사이에서 무어는 유쾌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그의 화면은 이라크에서 죽어가는 민간인들의 고통스러운 장면, 다리의 상처를 스스로 꿰매는 한 가난한 남자의 모습을 힘겹게 담는 동시에 오래된 뉴스릴 화면, 소비에트 뮤지컬, 개인 소장용 홈비디오와 패밀리 앨범 등 과거와 현재의 익숙한 영상들을 함께 불러들인다. 황당한 질문으로 권력자들의 뒤통수를 치고, 특유의 서민친화적 외모로 소외된 자들과 꽤나 잘 어울려 돌아다닌다.

무어는 하나의 아이콘이자 미디어 브랜드

물론 자연인으로서의 무어 역시 논란의 중심에 있다. 그는 최근 자아도취적 태도에 빠져 있다는 비난을 종종 듣는다. 그의 작품에는 잘 고안된 자신의 페르소나가 늘 출연한다. 그의 악동 같은 아이콘은 영화 속 등장하는 보이스오버의 부드럽고 차분한 목소리와 묘한 비일관성을 보인다. 그의 외관과 특유의 빈정대는 태도는 못 미더워 보이지만, 다큐멘터리를 이끌어가는 호소력있는 목소리는 또 다른 그의 페르소나이기도 하다. 마이클 무어는 이미 하나의 아이콘이자 일종의 미디어 브랜드다. 야구모자와 안경, 점퍼와 노동자의 작업복을 연상시키는 푸른색 바지. 마이클 무어는 논쟁으로 자신을 활성화시킨 대표적인 인물이다. 마이클 무어의 부시에 대한 냉소적인 비난이 오히려 부시의 재선에 역설적인 도움이 되었듯이, 마이클 무어 역시 자신에 대한 안티 세력들의 힘을 이용하여 그 소음 속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이러한 점은 <식코>에서도 드러나는데, 아네타라는 어린 소녀의 양쪽 귀의 청력 수술을 보험회사에서 거부하고 한쪽만 수술할 것을 통보하자 그의 부모는 곧바로 마이클 무어가 카메라를 들고 갈 것이라고 말한다. 이어지는 장면에선 보험회사의 공손한 사과와 함께 새로운 수술에 대한 제안이 들어온다. 그의 이름과 카메라가 무언의 힘을 발휘한 것이다. 이익집단의 견고한 벽을 뚫고 불가능함을 이루어낸 실천적인 사례이기도 하지만, 힘을 이용해서 다른 힘을 조정한다는 점에서는 그가 비난하는 자들과 같은 영향력자가 ‘이미’ 되어버린 마이클 무어. 아내의 병환으로 인해 재정 위기에 처해 의료보험료조차 체납된 자신의 안티 사이트 운영자에게 치료비를 건네는 관대함, 이것이 적을 이용해 내부를 공고히 하는 미국의 전략과 비슷할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세부가 아니라 전체를 볼 때, 그 누가 그의 영화가 윤리적으로 그르다고 말할 수 있는가? 물론 그는 점점 더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점은 그에게 힘을 준 자들이 그의 적들 뿐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