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지하철 2호선을 몇 바퀴씩 돌았던 경험으로부터”
2012-06-05
글 : 정한석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사진 : 손홍주 (사진팀 선임기자)
비평가 주간 단편부문 카날플러스상 수상한 <순환선>의 신수원 감독

신수원 감독은 요즘 장편 준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여독이 겹쳐 칸에 도착하자마자 감기까지 걸렸다. 하지만 오길 잘했다. 비평가 주간 단편부문에 초청받은 영화 <순환선>이 ‘카날플러스상’을 수상했다. 카날플러스가 구매도 약속했고, 부상으로 차기작에 대한 장비 지원도 약속받았다. 초청작을 고르기 위해 한국에 왔던 비평가 주간 집행위원장이 98편의 단편영화를 본 다음에 <순환선>만 골라갔다는 말이 있더니 마침내 경사가 겹친 것이다. <순환선>은 실직한 가장이 만삭의 아내와 딸에게 실직 사실을 숨기고 지하철 2호선을 타고 매일매일을 보내는 이야기다. 신수원 감독답게 일상과 환상이 흥미롭게 교집합을 이루는 영화로 태어났다.

-단편을 만들었다. 계기는.
=원래는 장편 옴니버스 중 하나로 제작했다. 그런데 사정이 생겨 아직 개봉을 못하고 있다. 그러던 중에 칸 비평가 주간에 출품하게 됐다.

-실직한 가장을 다뤘다.
=원래 구상한 건 2005년쯤인데 단편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윤곽은 그때 잡은 거다. 어느 날 지하철을 탔는데 앞에 멀쩡하게 생긴 중년 남자가 오랫동안 책을 보면서 가더라. 나도 영화사에서 이렇게 저렇게 전전긍긍하고 있을 때 노트북을 들고 2호선을 몇 바퀴씩 돈 적이 있기 때문에 딱 보면 안다. (웃음) 이번에 그때 기억이 되살아났고, 지난해에 쓰면서 우연히 아기를 업고 구걸하는 젊은 여자의 이야기가 더해졌다. 이것도 직접 본 건데, 애를 바꿔가면서 구걸하는 여자가 있었다. 그 두 이야기가 묶인 거다. 지하철 2호선을 도는 사람들, 이 이야기를 언젠가 해보고 싶었다.

-구걸하는 여자와 남자는 오해가 생겨 서로 다투기도 한다.
=남자가, 여자가 사기 치는 걸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사실 처음에는 여자가 사기 치는 쪽으로 썼었다. 그런데 그렇게 하자니 어딘지 핵심에서 빗나가는 느낌이 들었다. 주인공들이 정서적으로 부딪치는 장면인데 한쪽이 사기를 치다 보니 뭔가 정리가 안되더라. 그래서 촬영 직전에 바꿨다. 여자가 사기꾼이 아니라 다른 사정이 있는 것으로. 그래야 남자의 처지와 여자의 처지가 닿을 수 있었다.

-중학생들이 지하철 선로변에 서서 가위바위보를 해 지는 쪽이 선로에 한 발씩 물러나는 위험천만한 놀이를 한다. 이 놀이가 남자의 곤경을 대변하는 환상으로 다시 등장한다.
=그 장면 때문에 촬영을 허가받는 게 무척 어려웠다. 영화 <튜브> 이후에 지하철 장면이 이렇게 많이 나오는 영화는 장·단편 포함해서 처음이라고 하더라. (웃음) 실은 예전에 내가 그런 걸 해봤다. 청량리역에서 기차 타고 MT갈 때. 안 해봤나?

-판타지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나는 이상하게 생닭을 보면 사람 같다는 느낌이 든다. 아내 배에서 생닭이 나오는 환상장면도 그렇게 들어갔다. 왠지 그게 자연스럽게 아기를 연상시킬 것 같았다. 그냥 생닭을 들고 있는 정도로 끝낼까 했는데, 가장 역할을 한 배우 정인기씨가 기꺼이 먹는 것까지 표현해준다고 해서 좋다고 했다.

-난처한 부모의 문제, 약자와 더 약자의 문제가 있다.
=저출산 시대라지만 어쨌거나 한국에서 실직한 가장은 내일을 위해 뭘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실직을 실직으로 끝내는 이야기를 하고 싶지는 않았다.

-칸에서의 관객 반응은 어땠나.
=한국에서는 실직하면 그걸 정말 숨기냐고 물어온 관객도 있었다. 실직한 가장이 아내의 배에서 생닭을 꺼내 먹는 환상장면에서 가장 많이들 웃더라. 구걸하는 여인의 등에서 아기 대신 인형이 나올 때는 놀라는 것도 같았다. 재미있다, 슬프다는 감상평을 많이 해주었다. 박수도 많이 쳐주었는데, 여기 관객이야 원래 박수는 많이 치니까. (웃음)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