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스페셜] 페미니즘 계보도 혹은 지형도 - 여성주의 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지금은 어떤 화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가
2016-06-27
글 : 정지혜 (객원기자)

페미니즘과 관련된 개념과 담론을 한눈에 살핀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페미니즘은 여성이 직면한 현실과 길항하며 진화하는 생물과도 같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혹은 여성이기에 겪어야 했던 억압과 차별, 여성의 감정과 시선을 설명하는 하나의 언어이자 운동이기도 하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페미니즘 운동에서 중요한 목소리를 낸 이론가들과 그들에게 영향을 주고받은 저자들을 살피는 작업은 여전히 유효하다. 압축적이나마 페미니즘의 흐름을 살피고 현 시점에서 중요한 페미니즘의 이슈들을 통해 그 지형도를 그려봤다.

기억해야 할 4인의 페미니즘 영화이론가

1970년대 시작된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을 대표하는 네명의 여성학자를 주목하자. 기념비적 논문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로 유명한 로라 멀비는 여성 이미지에 대한 남성 관객의 관음증, 페티시즘적 반응을, <월드 스펙테이터>를 쓴 카자 실버먼은 시각뿐 아니라 여성 음성이 영화에서 쓰이는 방식을 연구한다. 1987년에 에세이 <젠더 테크놀로지>를 쓴 테레사 드 로레티스는 여성 관객의 문제에 푸코의 섹슈얼리티 이론을 도입하면서 그의 논의에서 누락된 성차의 문제를 제기하는 개념인 ‘젠더의 테크놀로지’를 제안한다. <여성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를 쓴 바버라 크리드는 공포영화에서 괴물로서의 여성, 괴물스러운 여성성이 부각되는 영화들을 통해 가부장적 시각을 비판한다. 그들 이후 서구적 응시에 관한 연구를 반박하거나 재작업하며 <원시적 열정>을 쓴 중국계 미국 이론가인 레이 초우도 기억해둘 만한 이름.

1세대 여성주의 (First-wave feminism)

18세기 초부터 19세기를 관통하면서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주의 운동. 여성의 교육권과 참정권(Suffragette), 재산권 등의 보장을 주장하며 법적 차원의 양성평등을 외친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계몽주의적 전통 위에서 ‘여성도 인간’이라며 인권 개념에 여성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성을 지닌 온전한 인격체인 여성도 평등한 교육과 정치 참여의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는 입장. <여성의 권리 옹호>(1792)에서 성적 쾌락을 즐기는 남성을 비판하는 동시에 여성이 여성성을 부정할 여지를 남기며 결혼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른바 ‘페티코트를 입은 하이에나’라는 것. 그럼에도 그녀는 결혼은 했지만 파트너와 따로 살며, 미혼모로 사는 등 자기만의 방식으로 일, 결혼, 육아를 이어간 실천적 이론가로 평가된다. 장 자크 루소의 <에밀>(1762)의 교육론을 비판할 때 <여성의 권리 옹호>가 언급되기도 한다.

샬롯 퍼킨스 길먼

19세기 미국의 페미니스트, 사회주의자, 소설가. 심각한 산후 우울증을 겪은 뒤 자전소설 <노란 벽지>(1892)를 썼다.

“자신의 성(性)을 지켜내기 위해 그녀들은 펜을 들었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말처럼 초창기 페미니스트들은 자전적 소설과 글쓰기를 통해 페미니스트로서의 자아를 발견한다.

버지니아 울프

앞선 이들보다는 뒤 세대이지만 이후 페미니즘 역사에 큰 영감을 준 작가. 장문의 학술 논문이던 <자기만의 방>(1929)은 여성으로서의 자아 성찰이 도드라진다.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1949)은 역사 속 여성은 정상적인 성을 가진 남성의 반대급부인 비주류의 성으로 정의돼왔다고 말한다.

2세대 여성주의 (Second-wave feminism)

1960년대 서구 세계 전체로 퍼진 페미니즘 운동. 섹슈얼리티, 가족, 재생산권리 등 불평등 담론에 초점을 맞춘다. 베트남전쟁 반대와 워터게이트 사건에 저항하는 흐름 속에서 여성들은 인종차별, 성차별, 가부장제, 억압과 같은 단어들을 발견한다.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라며 사적인 문제로 치부돼온 것들을 공론화한다. 포르노그래피, 성매매, 성폭력, 동성애, 레즈비어니즘에 대한 관점이 발전하며 여성해방운동과 게이해방운동으로 이어진다.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성의 변증법>(1970)을 통해 반(反)사랑, 반(反)결혼, 반(反)체계를 말한다. 마르크스-엥겔스의 변증법적 역사 유물론을 페미니즘적으로 해석해 젠더 문제를 하나의 계급적 지배관계로 분석한다. 생물학적 결정론의 시각에서 여성의 재생산 능력이 여성 억압의 원인이라고 본다(피임약은 1960년대 후반에서야 서구에서 대중화되기 시작, 1950년대까지 전세계 여성은 평균 5명의 자녀를 출산했다. <페미니즘의 개념들> 349쪽 참고).

케이트 밀릿

<성 정치학>(1969)은 사회 곳곳에 침투한 가부장제라는 권력 구조를 역사와 문학 비평을 통해 날카롭게 분석한다. 젠더 문제는 남성과 여성의 지배-피지배 권력 관계로 환원된다.

베티 프리댄

<여성의 신비>(1963)는 20세기 미국 페미니즘의 두 번째 흐름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다. 미국 중산층 가정을 두고 ‘편안한 포로수용소’라고 고발한다. 남성이 여성에 대해, 여성이 자신에 대해 갖는 상(像) 모두에 드리워진 신비화된 여성성을 파헤친다.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관계성 유무 둘을 구분하는 학자로는 줄리엣 미첼, 하이디 하트만이, 둘이 함께 하나의 체제를 구성한다고 보는 쪽에는 아이리스 영과 질라 아이젠슈타인이 있다.

미셸 푸코

페미니즘의 이론적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이론가. 1970년대 후반 <성의 역사> 연작을 통해 섹슈얼리티가 권리 박탈과 금지를 통해서 규제만 되는 게 아니라 법규와 격려를 통해 (재)생산되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무엇을 하지 말라’는 금지만이 아니라 ‘무엇을 할 수 있고 또 해야만 한다’는 강제와 독려가 오히려 더 큰 문제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근대적 주체는 권력망에서 나온다고도 주장한다.

3세대 페미니즘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일련의 흐름. 성차보다는 여성 내부의 차이에 주목하며 다양성, 정체성의 문제와 여성 내 분열을 해결하는 데 힘을 결집한다. 이른바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 속에서 후기 구조주의 철학, 정체성 정치 등이 논의된다.

주디스 버틀러

억압적인 것은 ‘남자’가 아니라 페미니즘의 ‘이분법적’ 사고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남자와 여자라는 구조화된 시각이 고정화된 성별 역할, 신체적 행동을 유도하게끔 해 성차별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성별에 따른 사회적, 심리적 역할이 있다는 기존 페미니스트들의 생각에 동의한다. 하지만 페미니스트들이 불변하는 생물학적 특징으로 여긴 성(性) 또한 사회적으로 구조화된다는 주장을 내놓는다.

케이티 로이프 & 수잔 브라운밀러

케이티 로이프는 <다음날 아침>(1993)에서 캠퍼스 내 성폭력에 반대하며 가두 행진을 벌이는 ‘밤길 되찾기 시위’ 같은 연례행사가 날조된 드라마이자 거짓 강간 문화를 상징한다고 비판한다. 수잔 브라운밀러는 <의지에 반하여: 남성, 여성, 그리고 강간>(1975)에서 강간을 충동적인 욕망의 범죄가 아니고 적대적이고 폭력적인 타락 행위라며 강간과 데이트 성폭력에 대한 논의를 이끈다.

벨 훅스

인종, 피부색, 지역에 따라 여성 내의 차이를 발견해갈 때 흑인 여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한 이슈가 된다. <나는 여자가 아닙니까: 흑인 여성과 페미니즘> 등을 통해 백인우월주의적 자본주의 가부장제에서 여성의 평등은 없다고 꼬집는다. 앨리스 워커의 <더 컬러 퍼플>(2007)을 비롯해 영화배우 출신인 엔젤라 데이비스, 레베카 워커 등이 있다.

키워드로 본 페미니즘 지형

❶ 여성 혐오 & 여성 살해

페미사이드(femicide), 남자들에 의해 자행되는 여자들에 대한 혐오 살인. 다이애나 러셀은 1976년 이 용어를 공식화한다. 이후 그녀는 “여성들에 대한 증오, 경멸, 쾌락 또는 숭배관에 따른 동기를 가진 남성들에 의한 성차별적 테러리즘의 가장 극단적 형태”로, 재클린 캠벨과 캐롤 러니언은 “동기나 가해자의 신분에 상관없이 여성의 살해”를 모두 여성 살해에 포함시킨다.

마사 누스바움

정치철학자인 그녀는 <혐오와 수치심: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2006)에서 인지심리학적 접근으로 반유대주의,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 호모포비아 등 차별에 있어 혐오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❷ 섹슈얼리티 & 퀴어

섹슈얼리티는 성역할, 성적 지향, 성적 감수성 등 성적 정체성을 정의하고 재생산하는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말. 퀴어는 이성애 중심의 사회에서 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을 통틀어 칭함. 테레사 드 로레티스는 “퀴어는 또 하나의 담론적 지평, 성적인 것을 사고하는 또 하나의 방식”이라 말했다.

미셸 푸코

섹슈얼리티가 자연적 조건이라기보다는 담론적 산물이라는 주장. 레즈비언, 게이 연구가 충분히 새로운 모양을 갖도록 자극한다.

❸ 몸의 정치

폭력과 억압, 관습, 제도화된 의학을 통해 여성의 성과 재생산 과정을 통제하는 것에 문제제기. 도러시 디너스타인, 수전 그리핀은 몸으로부터의 소외가 여성 억압에 일조한다고 함. 여성주의자들은 월경, 임신과 양육권 담론이 때론 몸의 통증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간과했다고 말함. 수전 웬델의 <거부당한 몸: 장애와 질병에 대한 여성주의 철학>, 미셸 푸코의 <미셸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도 읽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