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포스트>는 저널리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작품이다.
=메릴 스트립_ 저널리즘은 진실을 이야기하는 최전선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사실과 진실을 들을 수 있는 권리가 있는데, 신뢰할 수 있는 뉴스를 전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잊지 말아야 한다. 신뢰할 수 있는 뉴스를 얻지 못한다면 정부가 가공하는 소식만을 접해야 한다.
=톰 행크스_ 학자이자 뉴욕 상원의원이었던 대니얼 패트릭 모이니한이 한 말이 있다. “모든 사람은 자신의 의견을 가질 권리가 있지만 자신의 사실을 가질 자격은 없다.” 하지만 이제는 대체 사실을 내놓거나 자신들의 의제를 위해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메릴 스트립_ 사실을 ‘마사지’하려 한다. 원하는 모양으로 진실의 모습을 바꾸려는 듯 말이다. 이런 행위는 대놓고 거짓말을 하는 것보다 훨씬 위험하다. 진실을 보도하는 기관의 기반 자체를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톰 행크스_ 과거에도 신문에서 읽는 것을 모두 믿을 수 없다는 말은 있었다. 하지만 어떤 것은 논쟁할 여지조차 없는 사실인 것도 있다. 실제 일어난 사건을 보도했기 때문에. 그러나 이런 보도 자체를 폄하하고, 거짓으로 매도하는 행위는 이를 악용하는 단체들에 힘을 실어주고, 합법적으로 인정해주는 것이다. 2 더하기 2를 더이상 4라고 받아들이지 않을 때, 우리는 무정부 상태와 독재권력의 손아귀 안에 있게 된다고 봐야 한다.
-오랫동안 활동해왔는데, 왜 이제야 함께 작업하게 됐나? 전부터 아는 사이였나.
메릴 스트립_ 고 노라 에프런과 마이크 니콜스를 통해 알고 지낸 사이다. 우리 둘 다 그들과 친한 친구였거든. 나는 동부에 있었고, 톰은 서부에 있어서 직접 만날 기회는 그리 많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가 함께 작업하지 못한 이유는 내가 톰에 비해 너무 나이가 들었기 때문이다. 내 상대역은 대부분 나보다 나이가 20살가량 더 많았거든.
톰 행크스_ 내 상대역은 나보다 25살은 더 젊었으니까.
메릴 스트립_ 그러니까 함께 작업하기에 우리 사이에는 40살 정도의 나이 차이가 있었다.
톰 행크스_ 서로가 함께 작업하기 원했지만, 거의 불가능했다고 보면 된다. 나도 ‘메릴 스트립’영화에 나오고 싶었는데 말이다. (웃음)
-두 배우 모두 캐릭터에 대한 조사를 철저히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영화에서는 어땠나.
메릴 스트립_ 스티븐은 실제로 캐서린과 (톰 행크스가 연기한) 벤을 만나봤다. 하지만 그녀에 대해서라면 톰이 더 얘기해줬다. 톰은 캐서린이 사망하기 전날 그녀를 만났기 때문이다.
톰 행크스_ 실제로 만나보기는 했지만, 그 짧은 순간으로 한 사람을 온전히 알기는 힘들다. 오히려 그녀의 자서전이 중요한 참고가 되었다.
메릴 스트립_ 맞다. 나도 자서전을 많이 참고했다. 캐서린의 자서전은 무척 아름답다. 역사적인 순간들이 담겨 있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녀의 지극히 사적인 면모도 함께 담겨 있기 때문이다. 본인의 단점과 실패에 대한 내용도 자세히 담겨 있어 내게는 성경 같은 존재였다. 그녀는 조용하지만 자신의 의지를 분명히 밝히는 동시에 매력적인 여성이었다. 우아하고 품위있는 고전적인 여성이다. 오래전 워싱턴 DC에서 볼 수 있었던 정치인들의 부인 같은 성향이라고 할까. 이런 성향은 경제계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고 여겨졌지만 <더 포스트>는 캐서린을 통해 오히려 중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톰 행크스_ 벤은 노라(에프런)의 디너 파티를 통해 처음 알게 됐다. 그와 자주 식사도 했는데, 벤은 책이나 기사에서 받은 인상이 실제로 만났을 때와 동일한 사람이었다. 벤이 한 잡지사와 한 장시간의 오디오 인터뷰를 촬영 전에 늘 듣곤 했다. 기자 생활을 처음 시작했을 때, 그는 어느 경찰서장이 빤히 보이는 거짓말을 기자들에게 해서 놀랐다고 한다. 당시에는 어떻게 그런 위치에 있는 공인이 거짓말을 할 수 있나 냉소적인 생각이 들었지만 냉소가가 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하더라. 인터뷰를 할 때 상대가 거짓말을 하더라도 포기하기보다 진실을 찾기 위해 끝까지 조사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그는 찾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