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현장 실습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교육실습 교과목 운영 지침에 따라 선행 학습된 한국어교육 이론을 토대로 한국어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번 한국어교육 현장 실습은 한국어 교원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는 예비교원 32명(한국어문화학부 한국어교육 전공 27명, 글로벌 한국학 전공 2명, 타전공 3명)이 참여한다. 참여 학생들은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어우르는 여러 교육 현장을 직접 관찰하며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는 법과 실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동시에 한국어 교수법, 한국어센터 운영,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경력 관리, 한국어 교원의 삶 등 이론과 현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경험을 공유하게 된다. 더불어, 외국인 학습자 지원 활동, 교사 간담회 등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한국어 예비 교원으로서 폭넓은 경험을 쌓을 예정이다.
경희사이버대학교 서진숙 한국어센터장(한국어문화학부 교수)은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센터는 온라인 한국어교육 외에도 한국어교원 전문가 양성을 위해 교육과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교육부 원격대학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글로벌 자율학부 디딤돌 한국어과정을 신설했으며, 한국인과 이주민, 외국인의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체험 활동도 운영하고 있어 예비 한국어교원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어교육 실습을 담당하고 있는 봉원덕 특임교수는 “예비 교원들이 대학 부설 한국어센터에서 수업을 참관하면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실무 능력과 교수 역량을 갖춘 교사로 성장할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대학 부설 기관의 오프라인 한국어 교육 현장 비롯한 온라인 한국어 교육 현장 등을 체험하며 새로운 기술과 교수법을 받아들일 수 있는 좋은 교원이 되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센터는 한국 사회를 이해하려는 국내외 외국인과 재외 동포들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수 기관으로서,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3, 4단계뿐만 아니라 정확한 발음 연습을 위한 초급 말하기, 보고서 작성을 위한 고급 쓰기, 취업 한국어, TOPIK 한국어 읽고 쓰기(한국어 반, 우즈베크어 반), 드라마한국어, 글로벌자율학부 디딤돌 한국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센터 인스타그램(korean_center_khcu)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