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기획] 분열의 부모 세대에서 벗어나기, 안시환 평론가의 ‘냉전 드라마로 보는 <무빙>’
2023-10-12
글 : 안시환 (영화평론가)

<무빙>의 매력은 인물들의 초능력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표출되는 방식에 있다. 인물들의 초능력이 아주 일상적이고 평범하고 사소한 행위 속에 슬쩍슬쩍 드러날 때마다 <무빙>은 단순한 스펙터클의 드라마에서 벗어난다. <무빙>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두식(조인성)과 미현(한효주)의 키스 장면에서 두식의 발이 땅에서 떠오른다. 우리가 상투적으로 ‘하늘을 날 만큼’이라고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그 순간 두식의 몸은 실제로 하늘을 난다. 상투적인 언어적 표현이 사랑스러운 이미지로 변환된다. 인물들의 강력한 초능력이 과시적 스펙터클로 소비되는 대신 인물의 감정 속에 녹아들고, 그때마다 <무빙>은 특별해진다. 비 오는 늦은 밤, 홀로 걸어갈 여자 친구의 길동무가 되어주기 위해 서툴게 하늘을 나는 봉석(이정하)의 몸놀림이 그의 마음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것처럼 말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길동무가 되어주고 싶은 바로 그 마음, 그 상투적이고 평범함 속에 깃든 비범한 순간을 바라볼 줄 아는 작품이 바로 <무빙>이다.

분열된 세대로서의 부모

<무빙>의 1회 도입부의 봉석은 소리와 냄새만으로도 엄마 미현이 자신을 위해 요리하는 음식의 재료와 메뉴를 맞힌다. 그렇게 <무빙>은 그 시작부터 인물들이 온갖 힘을 다해 지키려는 것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인물들의 초능력은 거창한 대의가 평범한 삶 안에 자리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사용될 때 가장 큰 쓸모가 있다는 것, 그것이 인물들이 바라는 삶이자 <무빙>이 궁극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세계다. <무빙>은 1회부터 7회까지 그들이 지켜야 하는 평범한 관계들(부모와 자식, 친구 관계 등)을 보여준 뒤, 8회부터 이어지는 부모 세대의 이야기를 통해 그 평범함을 지킨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보여주는 방식을 택한다.

8회부터 펼쳐지는 두식과 미현, 그리고 주원(류승룡)과 지희(곽선영)의 멜로드라마에는 한국 현대사에 놓인 굵직한 사건들이 개입한다. 8회부터 부모 세대의 젊은 시절이 등장할 때 서사의 중심으로 함께 끌려오는 것은 국가, 또는 공적 영역의 무게감이다. 부모 세대에게 초능력은 평범한 삶 안에 자리할 수 없었다. 그들에게 초능력은 사적 능력이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국가에 대한 의무로 종속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부모 세대의 이야기가 멜로드라마적 관습을 따를 때, 두 사람의 사랑을 가로막은 멜로드라마 특유의 장애물로 자리하는 것이 공적 영역이다. 사적 능력은 공적 영역에 한정된 쓸모여야 했고, 이로 인해 부모 세대는 공적 의무와 사적 욕망 사이에서 분열된 채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부모 세대는 이러한 분열이 강요된 세대다. 이는 남한의 블랙 요원에게만 해당되지 않는다. 두식이 출현한 이후, 북한에서도 기력자를 발굴(또는 ‘발각’)하고 이용하려 한다. 얼핏 냉전 시대의 갈등을 끌어들이는 것 같지만, <무빙>은 남한과 북한이 각각 내세우는 이념에는 별 관심이 없다. <무빙>에서 중요한 것은 각 체제의 이념이 아니라, 이들 모두가 냉전을 구실로 인간을 이용의 대상으로 삼았고 그것을 정당화했다는 사실이다. 남한이든 북한이든, <무빙>에서 권력은 책상 뒤에 앉아 있는 자들의 몫이다. 책상 뒤편의 권력은 인간의 능력을 평가하고 그것을 자신들의 목적에 종속시키려 한다. 그것이 정원고 교사 최일환(김희원)의 임무였다. 비대해진 공적 영역은 사적 영역까지도 그 속으로 편입하려 한다. 이는 민용준(문성근)이 미현에게 부여한 임무가 잘 보여준다. 그렇게 책상 앞에 서서 그 뒤편에서 부여된 명령에 종속된 자들은 ‘쓸모’가 남아 있을 때까지 이용당해야 했다. 그것이 <무빙>이 말하는 부모 세대의 삶이다.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서의 삶. 안기부가 쓸모가 없어진 두식을 배신했듯, 그리고 칼침을 대신 맞아가며 지키려 한 조직의 형님이 주원을 배신했듯, 부모 세대는 쓸모가 있으면 이용당했고, 쓸모가 없으면 재만(김성균)처럼 낙인찍히고 희생당하거나, 전계도(차태현)처럼 버려져야 했다. 그것이 <무빙>이 냉전 시대를 경유해 바라본 지금 이 시대다.

사랑스러운 평범함

냉전 시대를 경유한 탓에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의 차이는 얼핏 과거와 현재의 대립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 대립은 단순한 세대교체의 차원이 아닌 삶의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인간을 사용 가치로 평가하는 시대는 과거형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 단면이고, 그것이 <무빙>이 끝내야 한다고 말하는 바로 그 세상이니까 말이다. 그것이 강훈(김도훈)이 자식 세대 서사의 한켠에 놓인 이유다. 강훈은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의 중간자적 위치에 있다. 그는 자식 세대에 속하면서도 부모 세대를 짓눌렀던 삶의 영역에 한발을 걸치고 있다. 반면에 봉석과 희수(고윤정)에게는 이러한 분열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들은 국가에 봉사할 요원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포획된 인물들이지만, 그들이 자신의 능력을 사용하는 것은 의무가 아닌 오롯이 자신의 선택에 의해서 이뤄진다.

정원고에서 벌어지는 마지막 대결 신에서 남한과 북한의 차이는 여기에 있다. 북한에서 기력자들은 명령에 의해 의무를 수행해야만 하는 부모 세대를 표상한다면, 주원과 미현, 희수, 봉석은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그것은 세대의 차이가 아니라 삶의 방식의 차이, 그러니까 의무와 선택의 대결이다. 부모 세대는 자신이 지키고자 하는 것들을 제대로 지킬 수 없었다. 그래서 두식은 미현의 곁을 떠나야 했고, 주원은 지희가 죽어갈 때 그녀를 구할 수 없었다. 하지만 부모 세대에서 그 자식 세대로 방점이 이동할 때 능력의 발휘는 공적 영역에서 사적 영역으로 이동한다. 자식 세대는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적 관계를 지키기 위해 자신들의 능력을 사용한다. 봉석과 희수의 삶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다. 그것이 봉석이 엄마의 말을 거부하고 “엄마가 제 말 들어요”라고 말하는 까닭이다.

졸업식 이후, 옐로우맨으로 불리게 된 봉석은 화재가 난 빌딩에서 시민을 구한다. 그것은 국가에서 부여한 의무가 아니라 누군가의 평범한 삶을 지키기 위한 봉석의 자발적 선택이다. 국가가 내세우는 거창한 이념이 아닌 우리의 평범한 삶(의 위기)에서 발휘되는 능력. 같은 능력을 가진 두식과 봉석의 차이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무빙>은 거창한 이념이나 장대한 스펙터클이 아닌 이러한 평범함 속에 자리할 때 더 사랑스러운 작품이다. 이러한 면에서 <무빙>에서 최고의 초능력자는 봉석을 업고 다니던 시절의 미현이 마주했던 정육점 주인과 길 잃은 주원에게 가야 할 길을 알려준 지희가 아니었을까? 주원을 토닥이던 지희의 모습이 희수에게 반복될 때, <무빙>은 부모 세대가 자식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능력이 무엇인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무빙>이 때로는 낯 간지러울 만큼 계몽적이고 교화적이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해도, 이토록 사랑스러운 평범함을, 그리고 그 평범함 속에 깃든 비범함을 바라보려 하는 작품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참 사랑스러운 작품이다. 봉석의 미소만큼.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