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타]
<괴물>의 송강호, 폼나지 않아도 괜찮아~
2006-07-21
글 : 문석
사진 : 이혜정

이럴 때 쓰는 말이 있다. 표정관리가 안 된다는. 다소 심각한 얼굴로 촬영장을 찾았던 송강호는 막상 인터뷰가 시작되자 연신 트레이드 마크인 ‘으하하하하하∼’ 하는 웃음을 날리고 있다. <친절한 금자씨>의 카메오 역과 <마다가스카>의 목소리 연기를 제외하면, <남극일기> 이후 1년2개월 만에 대중 앞에 나서는 그는 자신감이 넘쳐 보였다. 굳이 묻지 않아도 <괴물>이 연기에 대해 욕심 많기로 소문난 그의 기대를 채워줬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가 자신의 연기보다 봉준호 감독과 영화에 대해서 더 말하고 싶어하는 것도 ‘어차피 영화를 보면 다 알 텐데’라는 생각이 은연중에 자리하는 탓이리라.

-들리는 얘기도 그렇고, 현장에서 만났을 때도 그렇고, <괴물>을 하면서는 유달리 의욕을 불태웠던 것 같다.
=배우 입장에서 어떤 작품이든 그 나름의 의미가 있다. 지금 찍고 있는 <우아한 세계>도 그렇고, 그 이전에 찍었던 모든 영화도 마찬가지다. 내가 <괴물>에 특별히 의미를 부여했다기보다는 영화의 난이도가 높고 한국 영화사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시도인데다 위험부담도 많았다는, 그런 점에서는 남달랐다. 그리고 박강두라는 인물은 주류에 편입된 인물이라기보다는 이탈된 느낌인데, 그런 사람이 아주 현실적인 사건과 부딪힌다고 했을 때 어떻게 하면 이 현실적인 사건을 보이지 않는 생물체와 동떨어지지 않고 드라마적으로 융합시킬 것인가가 어려웠다. 상대가 사람이라면 반작용이 있는 거고 자연스럽게 연기도 묻어날 텐데, 이건 사람도 아니고 촬영할 때는 대상도 없으니까 감정 자체를 끝까지 끌고 가는 게 어려웠던 것 같다.

-실재하지 않는 괴물을 상대로 감정을 폭발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사람을 상대로 연기를 하더라도 상대방없이 카메라만 보고 연기할 때도 많다. 그러나 문제는 사실적인 사건 속에서 현실적인 감정을 보이지 않는 괴생물체와 교감해야 한다는 것이 힘들었다. 할리우드 괴수영화를 보면 배우들의 감정은 단순하다. 놀라거나, 도망가거나, 죽이거나. 하지만 여기서는 상대가 단순한 괴생물체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어떤 세력이라는 것을 상정해야 했다.

-육체적으로도 힘들었을 것 같다.
=약간의 경중 차이는 있을지 모르겠으나 모든 영화에 육체적 고통이 있는 것 같다. 그래도 가장 고생한 영화 중 하나이긴 할 것이다. <반칙왕> 이래 가장 고생한 것 같다. 현서가 잡혀갔을 때 한강에 빠지는 장면이 있는데, 물살 때문에 자꾸 떠내려가려 해서 힘들었다. 한강이 가만히 있는 것 같아도 들어가보면 상당히 물살이 세다. 납덩이를 찼는데도 자꾸 밀려가고 물 위로 떠올라오더라.

-영화를 보니 애초 생각보다 사회성이 강하더라
=나도 편집본을 처음 보고서 봉 감독에게 전화를 걸어서 “감독님, 이거 생각했던 것보다 센데”라고 했다. 그런데 봉 감독은 “아, 저는 너무 쉽게 가지 않았나 하는 걱정이 돼요”라고 하더라. 무슨 뜻이냐고 물으니까 봉 감독은 애초 구상보다 대중적으로 편집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하더라. 하지만 나는 반대의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관객은 오히려 제작진이나 언론보다는 상당히 더 오락적으로 봐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봉준호 감독과는 두 번째 작업인데도 가장 봉준호스러운 배우라는 생각도 든다.
=박해일이나 배두나나 변희봉 선생님도 다 그런 비슷한 느낌이 있는 것 같다. 사실 봉 감독과는 잘 맞는다. 또 서로 존중하고 존경하는 마음이 있으니까 시너지가 나는 것 같다. 기질적으로도 잘 맞는 것 같다. 직접적이거나 과잉되는 것보다는 페이소스나 이런 쪽에 관심을 갖는 면에서는.

-봉 감독만이 아니라 김지운, 박찬욱 감독과도 잘 소통되잖나. 그 셋은 조금씩 다른데 말이다.
=세명에게 차이가 있다면 나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다. 어떤 남녀가 꽃밭에서 키스하는 장면을 세 사람이 찍는다고 해보자. 박찬욱 감독 같으면 키스를 하고 딱 떨어졌는데 여자가 남자의 혀를 깨물고 있다든지, 남자가 여자의 혀를 끊어서 씹고 있다든지, 이렇게 연출할 사람이다. (웃음) 봉 감독은 키스를 하는데 발밑으로 뱀이 한 마리 슥 지나가는 장면을 찍는다든지 할 거다. 김지운 감독이라면 남자가 여자의 입술이 아니라 코를 빨고 있다든지 할 거다. (웃음) 그런데 내게는 어느 쪽도 다 매력적이고, 그들 모두와 소통이 잘되는 편이다.

-이번에도 소시민 또는 아웃사이더 캐릭터인데, 가끔은 폼나는 캐릭터를 연기하고 싶진 않나.
=사실 내가 맡을 수 있는 캐릭터라는 것이 그런 쪽에서 가장 풍성하게 들어오는 것 같다. 다른 쪽은 잘 안 어울리잖나. (웃음) 럭셔리하고 인텔리적이고 멜랑콜리한 쪽과는 안 어울리니까 당연히…. (웃음)

-조폭 2인자로 나오는 <우아한 세계>에서는 좀 다를 것도 같은데.
=직업이 조폭인데, 인간적인 가장으로서의 모습이 상당히 중요하게 부각된다. 게다가 조직이라고 해도 흔히 누아르영화에 나오는 것과는 달리 아주 생활적인 조직이다. 그래도 소시민적인 느낌보다는 좀더 다른 느낌이 있을 것 같다.

-현재 배우로서 갈증을 느끼는 점이 있나.
=지금 느끼는 갈증보다는 앞으로의 스케줄이 더 중요한 것 같다. 일단 봉준호 감독과 작업했고, 지금은 한재림 감독과 <우아한 세계>를 찍고 있다. 그러고 나서 이창동 감독의 <시크릿 선샤인>에 출연한다. 그 다음에는 김지운 감독의 영화다. 그러고 나면 박찬욱 감독의 <박쥐>가 기다리고 있다. <시크릿 선샤인>은 영화를 볼 때는 멜로처럼 안 보이지만 끝나고 나면 이게 멜로영화구나, 하는 아주 색다른 멜로드라마다. 김지운 감독 영화는 구한말 탐정 이야기인데, 아주 재미있는 드라마다. 박찬욱 감독의 영화는 흡혈귀를 소재로 한 아주 어두운 영화다. 앞으로 2년 동안 이렇게 다양한 영화를 찍고 나면 갈증도 해소될 것 같다.

의상협찬 타임 옴므, 소다, 랄프 로렌, 유니클로·스타일리스트 홍현주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