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타임이 길어야 할 필요는 없다
90분이 가장 적절한 블록버스터 상영시간이라는 보이지 않는 법칙은 <타이타닉>과 <반지의 제왕>의 성공과 함께 대부분 사라졌다. 상영시간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블록버스터 전반의 질적인 성장이다.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은 서사에 충실한 작가들을 영입해서 똑똑한 블록버스터를 만들기 시작했고, 관객 역시 블록버스터가 정서적, 이성적 유희이기도 하다는 걸 인정하는 시대가 왔다. 그냥 간단하게 한번 생각해보자. 2시간 이상 관객의 엉덩이를 자리에 붙여두기 위해서는 눈요기 이상의 영화적 완성도, 특히 단단한 서사가 필연적이다.
지난해 개봉한 한국 블록버스터들의 상영시간은 대부분 2시간을 넘어선다. 전쟁 시대극인 <마이웨이>와 <고지전>의 러닝타임은 각각 137분과 133분에 달한다. <퀵>과 <7광구> 역시 112분과 115분이다. 문제는 네 영화 모두 2시간 이상을 지탱할 만한 이야기의 접착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이 부분에서 꼭 거론하고 넘어가야 할 영화는 <고지전>일 것이다. <고지전>의 이야기는 사실상 ‘휴전협정’에서 끝이 났다. 그럼에도 영화는 같은 이야기를 반복하고 같은 대사를 강박적으로 털어내며 결말을 질질 끌고 간다. 만약 스펙터클과 이야기의 균형을 절묘하게 잡아낼 자신이 없다면 상영시간은 지금보다 짧아도 충분하다. 엄청난 돈과 노력으로 만든 장면을 포기할 수 없다고? 때로는 대담한 포기가 영화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법이다. 게다가 상영시간이 늘어나면 하루 상영 횟수가 줄어들고, 이는 곧 배급사의 스크린 확보 전쟁으로 이어진다. 상영시간의 축소는 스크린 독과점의 혐의에서도 스스로를 구제할 수 있는 썩 괜찮은 해결책이 되어줄 수 있지 않을까.
남녀노소 모두를 만족시키려 하지 마라
지금 한국 블록버스터의 기준은 15세 관람가다. <7광구> <고지전> <마이웨이> <퀵>은 모두 15세 관람가였다. 등급을 낮출수록 더 많은 관객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블록버스터 세계의 공식은 오랫동안 한국영화계를 지배해왔다. 거대한 자본을 들였으니 한명의 관객이라도 더 끌어들여야 한다는 건 박스오피스 공식에 적절하게 들어맞는 공식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이게 영화적 특성에 관계없이 항상 들어맞는 공식이 아니라는 사실은 올해 블록버스터들의 참패가 어느 정도 증명했다. 이를테면 2011년의 블록버스터들은 15세 관람가에 스스로를 구겨넣기 위해 영화가 도달할 수 있었던 좀더 높은 고지를 포기한 느낌이 확연하다. 특히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영화는 <7광구>다.
<7광구>의 문제는 ‘몬스터 장르’의 특성을 제작사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봉준호의 <괴물>이 ‘괴물’을 이용한 일종의 사회풍자극이었던 데 반해 <7광구>는 거의 순수한 몬스터-호러영화다. 여전히 B급영화의 정서를 간직한 장르라는 이야기다. 할리우드 몬스터 장르 아카이브를 한번 뒤져보자. 전쟁 스펙터클에 가까웠던 <에이리언2> 정도를 제외하자면 대부분 중저예산의 날씬한 R등급영화들이다. <7광구>는 이 장르에서 관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서스펜스와 스릴의 즐거움을 15세 관람가에 적합하게 제거함으로써 영화를 거의 완벽하게 표백해버렸다. 한번 상상해보시라. 육체적인 위협으로 관객을 몸서리치게 만드는 <7광구>를. 15세 혹은 12세에 맞추려 스스로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는 성인용 블록버스터 시장은 분명히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