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 세분이 함께한 계기는 무엇이었나.
정서경 헉! 뭐라고 대답할지 생각이 안 난다. 이런 질문이 들어올 거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류성희 이건 너무 예상 질문이지.
김희원 이건 ‘집합’ 챕터에 있을 기출 문제인데.
정서경 예쁜 그림의 이야기는 아니라서 그렇다. (웃음) 예전에 <작은 아씨들>로 드라마를 써볼까 생각했던 일이 떠올라서 1부 대본을 썼다. 제작사에 보여줬더니 반응이 좋았다. 그렇게 계속 대본을 쓰다 보니 불안해졌다. 이렇게 비현실적 요소와 현실적 요소가 섞여 있는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믿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그래서 류성희 미술감독님이 꼭 필요했다. 오랜 시간에 걸쳐 만날 때마다 <작은 아씨들> 얘기를 꺼내며 천천히 감독님을 옭아매갔다. (웃음) 우리가 <아가씨> 때 시나리오 얘기를 나누지 않은 건 아니지만 <헤어질 결심> 때 정말 많이 나눴다.
류성희 에피소드 위주로 된 트리트먼트에 박찬욱 감독님의 노트가 들어간 <헤어질 결심>을 먼저 받았고, 그다음 제대로 된 초고를 받았는데 다른 결이 많이 들어가 있었다. 아마 정서경 작가님의 터치가 많이 들어갔을 거라는 생각에 따로 전화 통화를 많이 했다. 원래는 박찬욱 감독님을 통해 작가님 이야기를 듣곤 했는데, <헤어질 결심>은 직접 듣고 싶었다. 그때 영감을 주고받으며 정말 재미있게 작업했다. 이전에도 좋았지만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협업이랄까. 하지만 드라마는 자신이 없었다. 나 없이도 정서경 작가가 드라마 <마더>를 훌륭하게 끝내셨기 때문에 어떻게든 피해가려고 했는데 이분이 시나리오를 너무 열심히 쓰는 거다. 뭔가를 이렇게까지 열심히 하는 모습을 처음 봤다. (웃음)
정서경 한달에 한번씩 대본이 나와서 그랬나. 영화인이 보기에는 너무 빠른 속도로 작업하는 것처럼 느껴졌나 보다. 드라마인이 보기에는 그냥 정상 속도로 일한 건데. (웃음)
류성희 그리고 <작은 아씨들> 대본을 봤는데 걱정이 됐다. 현실과 비현실이 섞여 있고, 문학적인 요소가 많은데 어떻게 시각화를 하지? 내가 봐도 미술이 너무 어려울 것 같았다. 그동안의 의리가 있으니 같이 이 짐을 짊어지고 싶으면서도 고민이 됐다. 예전에 드라마 <돈꽃> <왕이 된 남자>를 보면서 감독이 누군지 궁금해서 찾아본 적이 있는데, 여자감독과 한번도 일해본 적이 없어서 어떤 사람일지 늘 궁금했다. 그리고 김희원 감독과 미팅을 하게 됐는데 굉장히 씩씩하고 만화 캐릭터 같았다. 순정 만화가 아니라 소년 만화에 나오는.
정서경 결국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 한 거야? 나도 얼굴 때문에 같이 일했다고 해줘!
류성희 음, 작가님과는 옛날부터 그랬어. (웃음) 어쨌든 처음으로 여자들이 모여서 하는 작업이기도 해서 결국 함께하기로 했다.
정서경 <빈센조>를 보면서 연출자가 시각적인 야심이 있고 추상적인 개념화에 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김희원 감독님과 일하고 싶었다. 마침 이분이 본인 작품을 할 때는 밥도 안 먹고 잠도 안 자면서 일하느라 다른 시나리오를 거의 읽지 않는 타입이었다. 함께 드라마를 준비하던 조문주 스튜디오드래곤 CP가 <빈센조>도 했다. 감독님이 다른 경쟁작 대본을 읽지 못할 때 우리 대본을 공 들여 들이밀 수 있었다. (웃음)
김희원 에이, 그냥 내가 놀고 있을 때라 그랬다. 조문주 CP님이 보기에 내가 <빈센조> 다음 작품이 없으니까 대본을 준 거지. 정서경 작가, 류성희 미술감독은 어떤 연출자라도 함께하고 싶어 할 분들이다. 먼저 4부 대본까지 받아 읽었을 때 이게 16부작의 리듬감은 아닌 것 같았다. 포맷부터 먼저 물어봤더니 12부작이라고 해서 오히려 도전적인 작업이라고 생각했다.
- 기존 한국 드라마가 대부분 16부작 이상이었던 것은 그 정도 회차를 방영해야 제작비를 리쿱(recoup, 제작비를 모두 회수한다는 업계 용어)할 수 있었기 때문 아닌가. 업계 분위기가 바뀐 이유가 있나.
김희원 OTT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짧게 소비하는 호흡에 익숙해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때문에 반드시 16부작 포맷을 고집할 필요가 없겠다는 이야기가 나온 지는 4~5년 됐다. 12부작은 시청률 때문에 기피됐던 포맷인데 이제는 16부작이 반드시 흥행에 유리한 것도 아니라는 결론도 났고. 그렇게 새로운 기획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을 때 <작은 아씨들>은 정서경 작가님의 작품이라 더욱 빨리 궤도에 올라설 수 있었다. 사실 더 짧았으면 좋겠다는 얘기도 많이 했다.
정서경 원작 드라마가 12부작이었던 <마더>를 쓸 때만 해도 한국에서는 16부작이 아니면 제작이 안된다고 했다. 그런데 <작은 아씨들>을 쓸 때는 짧게는 12부작도 가능하다고 업계 분위기가 바뀌었다. 가능하다면 나는 8부작으로도 가고 싶었다. 그러면 싱가포르에서 시즌1을 마무리하고 푹 쉬다가 시즌2에 들어갔을 거다. 감독님과 처음 미팅했을 때 기억이 난다. 어두운 곳에서 만났는데 앉자마자 자신이 생각하는 대본의 문제점부터 이야기했다. 가령 원래 인주 캐릭터는 좀더 우유부단해서 머뭇대며 망설이는 구간이 길었는데 감독님의 생각은 달랐다. 그런데 난 그런 대화를 굉장히 좋아한다. 나도 이게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하며 쓴 대본은 아니니까 다른 사람 의견을 듣다 보면 다른 선택을 상상할 수 있다.
김희원 그게 드라마를 하면서 생긴 습성이다. 드라마는 현장에서 많은 신을 찍어야 하기 때문에 명징한 언어를 쓰지 않으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이를테면 왜 테이크를 한번 더 가야 하는지 배우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지 않으면 감독이 가질 수 있는 숏의 숫자가 물리적으로 줄어든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본질부터 얘기하고, 혹시나 전달이 잘못 될까봐 같은 걸 두번 이야기하는 습관이 생겼다.
정서경 김희원 감독은 문제가 있을 때 늘 직접 말을 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어려운 부분에 대해 따로 말을 하지 않으면 계획이 다 있는 건가 싶게 만든다. (웃음) 내가 봤을 때 해결 가능한 문제는 언급하는데 풀 수 없는 문제는 얘기를 안 하는 타입이다. 그래서 드라마를 보기 전까지 다소 걱정했다. 그리고 1회를 보고 나서 생각했지. “바로 이거였구나!”
- 실제 촬영 들어가기 전에 ‘풀 수 없는 문제’에 대해 세분이 만나 고민한 적은 없었나.
류성희 한번도 없었다. (웃음)
정서경 우리는 풀 수 없는 문제에 대해 미리 얘기하지 않는다. 그래서 스타일에 대한 얘기는 안 나눴다. 처음에 두분이 내게 레퍼런스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똑같이 했다. 특히 류성희 미술감독님은 늘 레퍼런스를 많이 갖고 작업하기를 원하니까. 그런데 내가 없다고 하니 두분이 살짝 당황한 것 같았다. 아, 내가 <아이 엠 러브>를 좋아하고 그 부잣집 분위기가 마음에 든다고 한 적은 있다. 그때 두 사람이 무척 절망한 것 같았다. (웃음)
김희원 바로 이곳에서 만났었지? <아이 엠 러브>가 언급된 후 우리 셋이 함께한 모임은 없었다. (웃음)
- 그럼에도 사람들이 레퍼런스로 추정하는 작품들은 있다. 루이자 메이 올컷의 <작은 아씨들> 외에 3회 원상우(이민우)가 읽던 <몬테크리스토 백작>, 알렉상드르 뒤마의 <검은 튤립>이 자주 언급된다.
정서경 <몬테크리스토 백작>은 너무 어렸을 때 읽어서 내용이 잘 기억이 안 난다. 그냥 감옥에 갇혀 있다 나중에 탈출하고 복수하니까 언급한 거지 플롯과 연관지은 디테일은 전혀 아니었다. 그리고 뒤마는 내가 그리 좋아하지는 않는데…. 처음에 드라마 제목 정하라고 할 때 ‘검은 수선화’, ‘블랙 달리아’ 같은 꽃 시리즈밖에 생각이 안 나서 고민하다 그만뒀던 기억은 난다.
김희원 근데 지금 나온 ‘검은 튤립’은 멋진 제목 같다. 좋은데? 작가님과 두 번째 만났을 때 어린 시절 <작은 아씨들>을 재미있게 봤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나는 “어떻게 제목이 <소공녀>지? <작은 아씨들>이라니!”라고 반응하던 사람이었다. 그러다 3회 대본에 <몬테크리스토 백작>이 언급됐을 때 떠올랐다. 내가 읽을 때 제목은 <암굴왕>이었는데, 나는 그렇게 제목에 어둠이 깔려 있고 누군가가 고통받는 이야기들을 더 좋아했다는 것을. 이를테면 <폭풍의 언덕>, 얼마나 근사한가. (웃음) 작가님은 어릴 때 본 <작은 아씨들>을 커서 다시 보니 새롭게 읽히더라고 했는데 나는 오히려 반대였다. 취향에 맞지 않았던 소설이었는데 다시 읽어 보니 왜 당시 소녀들이 좋아했는지 알겠더라. 그리고 소설 <작은 아씨들> 얘기는 그때 이후 다시 꺼내지 않았지. (웃음)
류성희 나와는 소설 <작은 아씨들>에 대한 이야기를 아예 나누지도 않았다. 의외로 우리 중 가장 우아한 취향을 가진 사람이 정서경 작가님이다. 본인은 절대 인정하지 않는데 사실은 그런 것을 좋아한다.
김희원 <빨간 머리 앤> 같은 것도 좋아하고. 난 그 친구가 너무 희망적이어서 취향에 맞지 않았는데.
류성희 나도 별로.
김희원 <플란다스의 개>가 더 재밌지 않나. 네로가 우유 팔면서 슬퍼하고 파트라슈와 함께 죽는 비극!
정서경 <빨간 머리 앤>이 희망적이라고? 충격적이다. 앤은 고아야. 은행이 파산한다고!
김희원 앤은 결국 인생의 빛나는 부분을 찾아내잖아. 그래서 나랑 안 맞았다. 어쨌든 <빨간 머리 앤>도 커서 다시 보니 좋더라고.
정서경 시각적인 스타일 외에 <작은 아씨들>의 레퍼런스가 있다면 <이성과 감성>처럼 자매가 나오는 이야기들이었다. 왜 어렸을 땐 몰랐을까. 이렇게 재밌고 우아하다는 것을.
류성희 나도 좋아한다. <남아 있는 나날>이나 <전망 좋은 방>도 좋고. 그 시절 작품들이 좋은 것 같다. 나도 <작은 아씨들>을 하면서 그런 우아함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
정서경 <하워즈 엔드>의 자매들 이야기도 너무 예쁘다.
- 결과물을 보면 서로 다른 취향을 가진 전문가들이 모여 드라마에서 각자 역할을 충실히 해낸 것 같다.
류성희 처음에 공유했던 큰 이야기 외에는 스탭들이 서로가 서로를 믿어주면서 현장이 굴러간다. 그래서 너무 재미있었다. 새로운 협업 체계였다. 그리고 김희원 감독님이 너무 겸손해서 본인이 직접 말을 안 하는데, 젊은 감독이 정말 리더십이 뛰어나다. 그래서 크루들에게 믿음을 준다.
김희원 현장에서 떨어져 있는 작가님이 뒷부분 대본을 쓸 때 참고할 수 있는 소스는 늘 세세하게 말씀드렸다. 그런데 현장의 울적한 이야기는 굳이 전할 필요가 없지 않나. (일동 폭소) 열심히 대단원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작가님을 심란하게 만들 필요가 없잖아!
정서경 근데 자기가 잘한 것도 말 안 하잖아. 자기가 어떤 것을 해놨는지 말해주지 않다가 짠~! 하고 보여줘서 깜짝 놀라게 만든다. 1부 편집본을 보고 비로소 김희원 감독이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됐다. 원래 대본에는 마지막 신이 심플하게 ‘놀라서 주저앉는다’라고 써 있었는데 감독님이 인주가 울어야 할 것 같다고 의견을 줬다. 감정에 대해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눈 신이다. 기쁨과 슬픔, 놀라움이 교차하는 신을 어떻게 보여줄지 몰랐는데 편집본을 보고 깜짝 놀랐다. 나는 돈이 인주의 과거, 미래와 맺는 관계를 생각하며 대본을 썼는데 김희원 감독은 개인적인 장면으로 만들어 1부를 끝냈다. 마치 세상에 인주와 돈, 둘만 남겨져서 자기 인생을 고해성사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내가 너무 좋았다고 하니까 쿨하게 “그냥 멋있게 보일 것 같아서 그렇게 찍은 건데요?”라고 하더라. 그때부터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작은 아씨들>이 시작됐다. <암굴왕>을 좋아하는 김희원 감독님은 그런 스타일이다.
류성희 감독님 드라마가 실제 감독님하고도 닮았다. 보통 감독이 어떤 장면을 굉장히 잘 찍고 나면 어깨가 살짝 올라가는데, 김희원 감독은 그러지 않는다. (웃음)
정서경 일단 머릿속에 자신이 어떻게 찍을지 생각하며 대본을 읽는다. 그러다 어떻게 해야 할지 판단이 잘 서지 않는 부분을 얘기한다. 장소, 동선 그리고 설명이 부족한 부분들. 그러다 작품이 더 나아질 수 있는 방향으로 의견을 주고, 자신이 정말 찍고 싶은 그림을 마지막에 얘기한다. 다른 것은 크게 건드리지 않고 한회에 한번 정도 자신이 찍고 싶은 스타일에 집중한다. 그리고 감독 입장에서 의문스러운 부분을 질문할 때도 언어가 공격적이지 않다. 작가님은 정말 이게 좋으시냐고 물으며 확인한다.
김희원 그렇게 질문하면 웬만한 작가님들은 반추한다. 그리고 진짜로 좋다고 작가가 확신하면 그걸로 끝이다. 나도 인간이고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에 빨리 잘 찍기 위해 정형화된 틀이 분명히 있으니까. 주로 작가님과 의견 교환을 가장 많이 한 부분은 엔딩 시퀀스였다. 드라마에서는 엔딩이 정말 중요하다. 아주 파워풀한 신이 나오면 모든 배우와 스탭이 그 중요성을 알아차리기 때문에 더 찍기 편하다.
정서경 특히 짝수회 엔딩을 가장 신경 썼다. 그전엔 짝수와 홀수 회차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었는데 감독님이 하도 신경 쓰다 보니 나도 나중에 그렇게 하게 됐다.
류성희 나한테 “나 엔딩 정말 잘 쓰지 않았어?”라고 자랑한 적이 있다. (웃음)
정서경 드라마 다 끝나고 나서 그런 거야! 글을 쓰다 보면 어느새 똑같은 페이지에서 엔딩이 끝나 있다. 어? 이럴 수가! 이런 엔딩은 도대체 누가 쓴 거지? (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