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2023 시리즈④] 이종필 감독 ‘박하경 여행기’, “사람, 사람을 만나다”
2023-01-19
글 : 임수연
사진 : 백종헌
제작 더 램프 / 감독 이종필 / 극본 손미 / 출연 이나영 / 채널 웨이브 / 공개 3월

그냥 멍 때린 채 한없이 걷고 내키는 대로 아무 식당에 들어가 식사를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다 맞닥뜨리는 새로운 사건은 크게 드라마틱하지 않아도 마음에 잔잔한 파문을 일렁이게 한다. 웨이브 오리지널 시리즈 <박하경 여행기>는 토요일마다 소박한 여행을 떠나는 박하경(이나영)이 조우하는 우연한 인연과 감각들을 채집하며 일상의 드라마를 쌓아가는 작품이다. 지난해 영화 <탈주> 촬영을 마치고 연이어 <박하경 여행기>를 찍으면서 누구보다 바쁜 한해를 보낸 이종필 감독은 “‘명랑 킨포크’ 같은 드라마를 만들고 싶었다”는 표현으로 드라마의 색깔을 설명했다.

<삼진그룹 영어토익반>을 함께했던 제작사 더 램프, 손미 작가와 첫 시리즈물도 함께하게 됐다.

=2022년 초 손미 작가와 만나서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동네 단골 서점에서 만난 어떤 교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매주 토요일마다 잠도 자지 않고 당일치기로 여행을 다닌다고, 그러지 않으면 스스로 견디지 못할 것 같다고 했다고. 원래 업계 사람들이 만나면 이런 작품을 해보면 어떨지 아이디어를 많이 나누지 않나. 손미 작가가 들은 사연을 토대로 <고독한 미식가>의 여행 버전 같은 작품을 만들어보면 흥미롭겠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회당 25여분의 미드폼 드라마는 처음 도전해봤는데 어땠나. 그동안 해온 장편영화와는 호흡이 다르다.

=어느 날 문득 드라마는 장르가 아니라 그냥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말해 영화를 찍을 때 액션이면 액션, 코미디면 코미디, 좀더 확실한 장르를 추구하고 싶었다. 동시에 에릭 로메르나 짐 자무시 영화와 같은 작품을 찍고 싶다는 갈망이 컸다. 영화로 하기에는 선뜻 용기가 나지 않았는데 시리즈라면 도전해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박하경 여행기>를 준비했다. 상업영화는 현장 편집과 콘티가 있지만 드라마는 그렇지 않고, <박하경 여행기>의 경우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만든 대사나 설정이 많았다. 하지만 결론만 얘기하자면 차이가 없는 것 같다. <박하경 여행기>는 연속극이 아니라 매회 박하경이 어딘가에 가서 누군가를 만난다는 포맷으로 이어지는 독립된 연작이다. 장편영화에서 이야기가 흘러가는 흐름과 20~25분짜리 드라마에서의 그것이 만들다보니 결국 똑같다는 것을 깨달았다. 회마다 스토리가 완결돼야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안에서 시청자에게 만족감을 줘야 한다는 목표가 같다.

박하경 역의 이나영 배우 캐스팅은 어떻게 성사됐나.

=<삼진그룹 영어토익반>을 준비할 때 왠지 <영어완전정복>을 다시 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웃음) 그 작품에서 이나영 배우의 연기가 정말 흘륭했다. 이나영 배우 하면 <네 멋대로 해라>나 <아는 여자>를 많이들 언급하지만, 나는 <영어완전정복>에서 보여준 자기만의 코미디 연기가 좋았다. 그리고 몇년 후 손미 작가와 <박하경 여행기>를 준비할 때 박하경 역으로 이나영 배우가 떠올랐다. 어느 정도 대본이 나온 후 소속사에 전달했을 때 감사하게도 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주셨다. 박하경 캐릭터와 이나영 배우가 비슷한 점이 정말 많다. 예를 들어 여행 다니는 사람의 이야기라면 흔히 경치 사진이나 셀카를 열심히 찍는 그림을 상상하는데, 박하경과 이나영 배우 모두 웬만하면 사진 찍는 것을 싫어한다. 친절하지만 그게 넘치지 않고, 좋지 않은 것까지 좋다고 말하며 ‘힐링’이라 포장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것을 추구한다. 실제 현장에서도 인위적인 것보다는 짜이지 않은 방식을 선호했다.

매회 주인공이 각기 다른 인물들과 엮이며 스토리가 확장된다. 박하경 외 다른 캐릭터의 캐스팅은 어떻게 했나.

=결국 <박하경 여행기>는 아는 사람이든 낯선 사람이든 사람이 사람을 만나는 이야기다. 이야기를 다채롭게 꾸며줄, 시청자들이 반가워할 특별 출연 배우들이 많이 등장할 것이다. 모 배우는 그의 대표작 이후로 자기가 이렇게까지 열심히 연기한 작품은 처음이라고 할 정도였다. (웃음)

“사라져버리고 싶을 때 떠나는 딱 하루의 여행”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만큼 로케이션이 곧 작품의 톤을 결정한다. 박하경이 여행을 떠나는 곳은 어떻게 결정됐나.

=회차마다 다르다. 가령 1회의 배경은 반드시 땅끝마을 해남에 있는 대웅전이어야 했다. 손미 작가의 개인적인 기억이 투영된 곳이기도 하다. 반면 중소 도시라면 어디든 관계없는 곳이 촬영지가 된 회차도 있다. 에릭 로메르의 <해변의 폴린>처럼 <박하경 여행기>는 그 지역의 누군가가 중심이 되는 에피소드가 있다. 로케이션은 전국 각지에 골고루 배분하되, 마치 그 지역을 소개하고 맛집을 찾아가는 식의 전형적인 구성은 취하지 않으려고 했다.

그렇다면 <고독한 미식가>와 에릭 로메르의 영화들이 레퍼런스였나.

=아니다. 대신 사람들이 에릭 로메르나 하마구치 류스케, 짐 자무시의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많이 생각했다. 스타일을 따라하기보다는 그 마음의 근원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사실 짐 자무시의 초창기 영화에서 로비 물러 촬영감독이 했던 수평 트래킹숏은 나름 따라해보려고 다시 보면서 공부도 하고 현장에서도 시도해봤는데, 그게 한국에서는 잘 안되더라. (웃음)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촬영을 했다.

=개막 1~2일 전에 찍었다. 작가가 쓴 초고에는 수영만 요트경기장 야외 상영장이 등장했는데 지금은 부산국제영화제가 많이 바뀌었더라. 영화의전당은 원래 우리가 의도했던 느낌이 잘 살지 않았다. 그래서 남포동 동네방네 비프 상영관과 벽화마을 야외 상영장에서 촬영했다.

시청자를 붙잡아놓기 위해 자극적인 사건 사고를 클리프 행어로 놓는, 최근 경향과는 전혀 다른 지향점을 가진 작품으로 보인다. 동시에 외딴 여행지에서 즐기는 유유자적한 힐링과도 거리가 멀어 보인다.

=<박하경 여행기>는 서울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여행지에서 느끼는 여유 같은 것을 담는 드라마가 아니다. 제목과 소재를 들었을 때 그런 그림을 많이들 상상하겠지만 내가 하고 싶은 톤은 아니었다.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도 그 내면을 잘 따라가보면 누구에게나 감정의 파고가 존재한다. 8개의 독립적인 에피소드를 통해 시청자들이 일상적으로 공감할 만한 다양한 관계와 정서의 결을 담고 싶었다.

이종필 감독이 꼽은 <박하경 여행기>의 관전 포인트

“자이언티의 <꺼내 먹어요>라는 노래가 있다. 그렇게 <박하경 여행기>도 꺼내 보셨으면 좋겠다. 1회부터 8회까지 순서대로 봐도 좋지만 사실 보고 싶은 에피소드를 골라 봐도 된다. 살다보면 굉장히 좋을 때도, 좋아해야 하는데 슬플 때도 있다. 그런 다양한 결을 집약해서 녹여내려고 애썼다. 혹은 이나영 배우 혹은 특별 출연의 어떤 모멘트가 마음에 남을 수도 있다. 시청자가 자신에게도 비슷한 상황과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고 공감하며 꺼내 볼 수 있는 드라마가 되기를 바란다.”(이종필 감독)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