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서울살이를 접고 양양의 숲과 물속에서 지낸 김재화는 서울 한복판 스튜디오에 앉아서도 여전히 자연 속에서 꿈꾸듯 말했다. <밀수>와 <익스트림 페스티벌>의 현장을 회상할 때, <하모니>(2009)부터 쉬지 않고 일해온 치열한 커리어를 되짚을 때, 어느덧 찾아온 자기 의심과 재충전의 희망을 다질 때 김재화의 눈앞엔 정말로 어떤 풍경이 펼쳐지는 듯했다. 시골의 고요 속에서 근심을 비우고 사랑을 충전한 김재화는 여전히 배우의 운명을 믿으며, 그러나 한결 가뿐한 마음으로 다음을 기다린다.
- 대사보다 물에서 몸으로 소화하는 액션이 중요한 작품이었다. 처음 수영을 배운 배우들도 많았는데, 금방 적응했나.
= 난 원래 물개였다. 어릴 때 6월부터 9월까진 늘 물에서 살던. (웃음) 운동마다 잘 맞는 체격 조건 같은 게 있지 않나. 여자로 살면서 어떤 운동을 하든 내 몸이 잘 맞는다고 말해준 선생님이 없었다. 그래서 <밀수>에서 잠수를 가르쳐준 이종인 선생님이 잠수하기에 완벽한 몸이라고 해주셨을 때 감격했다. <밀수>는 비중에 상관없이 그저 온몸으로 느낀 영화였다.
- 몸이 기억하는 감각으로 <밀수>가 본인에게 어떤 의미의 작품인지 말해준다면.
= 아주 안전하고 따뜻한 물속에 담겨 함께 흘러간 영화. 비언어적인 소통으로 단결되는 장면이 많았기 때문에 서로를 애잔하고 끈끈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는 촬영장이었다. 대야에 얼굴 담그는 것부터 연습하는 모습을 다 지켜봤으니까. 박수 쳐주고 응원해주는 마음을 넘어서 한 사람 한 사람을 되게 깊이 사랑하게 되면서… 말하다보니 좀 이상한 종교 같나? (웃음) 오늘도 여기 오기 전에 <밀수> 해녀들과 모여서 밥 먹고 왔다.
- 합창단의 영화 <하모니>, 탁구팀의 영화 <코리아>, 해녀들의 영화 <밀수> 등 그야말로 앙상블이 필요한 작품에서 땀 흘리고 부대끼는 팀원으로 활약했다.
= 맞다. 내 운명에 뭐가 있나보다. <하모니>의 합창 단원들끼리 노래 연습을 할 때 느꼈던 돈독함, <코리아>에서 탁구만 4개월 연습하면서 느꼈던 그 치열함, 촬영 전에 동선 하나까지 완벽하게 모두 밤을 새워가며 리허설했던 <롤러코스터>까지. 함께하는 동료들과 정말 끈끈해질 수밖에 없는 작업들을 어쩌다 여러 번 경험한 것 같다. <밀수>는 그중에서도 특별했다. (손으로 하트를 반쪽씩 그리며) 김혜수 선배와 염정아 선배에게 사랑을 배웠다. 의식적으로 큰마음을 갖고 내가 가진 사랑을 옆사람에게, 주변 동료들에게 (총 모양) 쏘는 거다! 김혜수 선배가 특히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내뿜었다. 생각이 많던 시기였는데 내가 그 사랑에 전염되고 치유되는 경험을 했다. 다음 현장에선 내가 꼭 그 미덕을 이어받아 실천하려 한다.
- <익스트림 페스티벌> <액션 히어로> <롤러코스터> 그리고 <드라마 스테이지-산부인과로 가는 길> 등 독특한 B급 코미디에도 서슴없이 출연한다. 컬트를 알아보는 취향과 안목이 있는 배우 같달까.
= 골때리게 웃긴 것, 좋아한다. 그런데 나는 들어오는 작품이면 웬만해선 마다하지 않은 쪽에 가깝다. 언젠가 극단 대표님이 내게 들어오는 배역을 함부로 거절하지 말라고, 그건 운명이거나 신의 뜻일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런데 나는 그 말을 정말로 조금 믿게 됐다. 하나의 배역이 내게 주어지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창작과 결정을 거친 것일 테니, 각각의 기회가 모두 내가 감사히 겪어야 할 시험일지도 모른다.
- 국악과를 지망하다가 연출가를 꿈꿨고, 결국 배우로 정착했다고.
= 시인, 미술가 등이 많은 집안이라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예술 계통의 일을 꿈꿨는데 국악은 조금 뜬금없긴 해서 부모님이 걱정하셨다. 예고 연극영화과까지는 지원해주시겠다기에 연극을 공부하면서 처음엔 연출을 하려고 했다. 그런데 주변 선생님들은 나를 일찍 배우할 사람이라고 본 모양이다. 그러고 보면 예고 때도 국어책에 내 이름 쓸 때 그냥 김재화라고 쓰지 않고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김재화’라고 쓰곤 했으니. 나중에 극단 생활을 오래할 때인데 하루는 동생인 김혜화(배우)가 “영화를 해야 청룡을 가든 칸에 가든 하는 거 아니겠어?” 하는 거다. 그때 뒤통수를 맞은 기분에 무작정 내 돈 내고 프로필 사진을 찍어 오디션 사이트에 올렸지만 무반응이었다. 당시 연극 더블 캐스팅이던 라미란 언니가 내 프로필을 받아 언니의 매니저를 통해 영화사에 전달해주어서 생애 첫 영화 오디션을 보게 됐다. 지금도 미란 언니에게 너무 고맙고, 그때 또 배웠다. 선배의 작은 도움이 후배에겐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걸.
- 2009년 <하모니> 이후 지금까지 단 한해도 쉰 적 없다. 두 아이를 출산하고 육아하는 와중에도 늘 작품이 있었고. 그 가운데 전환점이라고 할 만한 시기가 있었을까.
= 아마도 지금? 실은 한동안 정말 쉬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딱 결심하고 머리도 짧게 자르고 서울살이를 접고 양양으로 간 거다. 어느 순간부터 내 연기가 성에 안 차고 보는 눈만 높아진 것 같고, 아웃풋만 계속 낼 게 아니라는 깨달음이 들었다. 그러다 <밍크코트>를 작업한 이상철 감독님이 가발을 쓰고라도 같이하자고 하셔서 <그녀에게>라는 영화를 찍게 됐다. 촬영은 마쳤고 편집 중이다. 이번에는 뭐랄까, 나는 원래 야망 많고 욕심도 많은 사람이었는데 그걸 내려놓은 상태에서 작업한 작품이라 스스로도 궁금하다.
- 조금은 지쳐갈 와중에도 그동안 계속 연기할 수 있었던 동력은 어디에서 나왔나.
= 내가 무언가를 하고 있으면 누군가는 보고 있다는 사실. 나는 그걸 믿는다. 아무도 안 보는 것 같고, 아무 소용도 없는 것 같지만 내가 묵묵히 애쓰며 디테일까지 놓치지 않으면 언젠가 그걸 알아봐주는 사람이 나타난다. 거의 무슨 법칙 같은 게 아닌가 생각한다. (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