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개봉 촉구] 6. 스티븐 소더버그의 <체>
2009-07-09
글 : 김도훈
어찌 가슴이 뜨거워지지 않으랴

지난해 칸영화제에서 <체>는 4시간18분짜리 한편으로 묶여 상영됐다. 영화가 시작되기 전 누군가가 소리쳤다. “스티븐, 영화가 좋지 않으면 두고보자고!” 다행히 중간 휴식시간이 있었다. 영화사에서는 체 게바라의 이름이 박혀 있는 샌드위치를 나눠줬다. 우적우적 체 게바라를 씹는 소리 사이로 호평이 쏟아졌다. 체 게바라가 쿠바의 수도 아바나로 입성하기 직전에 끝나는 <체: 파트 원>은 건조하지만 근사하게 조율된 전쟁영화였다. 모든 기자와 평론가들은 <체: 파트 투>가 어떻게 혁명을 마무리할 것인가를 기대했다. 그런데 2편이 상영되는 순간 쿠바는 사라졌다. 콩고도 없었다. 2편은 1편으로부터 5년을 뛰어넘어 볼리비아의 산악지대로 들어선다. 필름으로 촬영된 1편과 달리 2편은 디지털로 찍었다. 화면은 훨씬 메마르고 영화 또한 그렇다. 평은 반반으로 나뉘었다. 그런데 미국 기자들은 다른 걱정으로 심란했다. 대체 웨인스타인 컴퍼니는 4시간18분짜리 아트 영화를 북미에서 어떻게 개봉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한국 수입사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게 틀림없다.

대체 소더버그는 4800만달러(라고는 하지만 7천만달러에 가깝다고 알려진)의 제작비로 무슨 짓을 저지른 걸까. <체>는 재기넘치는 할리우드 상업영화 감독이 시대의 아이콘을 소재로 떡하니 내놓을 법한 영화와는 한참 거리가 멀다. 영화는 어떤 것도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으며 영웅의 심리적 진단을 시도하지도 않는다. 바람에 날리는 체의 거친 머릿결과 굳건한 혁명에의 의지로 타오르는 눈빛의 클로즈업 따위는 꿈도 꾸지 않는 게 좋다. <체>는 쿠바의 정글과 볼리비아의 산악지대를 무대로 성공한 혁명과 실패한 혁명을 둘로 쪼개어 ‘보여줄’ 따름이다. 거의 모든 장면과 대사들은 정확한 사료로부터 취득한 팩트에 기반한다. 소더버그는 “절대 제멋대로 개작하지 않기”가 목표였다고 말한다. “팩트를 증명할 수 없는 부분은 영화 어디에도 없다. 물론 몇몇 캐릭터는 몇 가지 요소들을 취합해 만든 것이긴 하지만, 모든 장면이 인터뷰나 책, 남아 있는 자료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건 결국 체 게바라라는 인물에 대한 일종의 재현 다큐멘터리일까.

소더버그가 체 게베라라는 인물에 매료된 게 아님은 분명하다. 그는 오히려 게바라의 실패한 방법론에 더 관심이 있다. “체는 마르크시스트다. 나는 마르크시스트가 아니다. 마르크시즘의 효능은 믿지 않는다. 가장 재미있는 사실은, 마르크시즘의 이론 속에 살아 있는 인간을 집어넣는 순간 완전히 실패한다는 거다. 질문은 이거다. 그렇다면 무엇으로 마르크시즘을 대체할 것인가. 논쟁은 거기서 시작되고, 또 그 논쟁은 현재진행형이다.” <체>는 미학적, 정치적으로 꼼꼼하게 설계된 차가운 전기영화다. 그런데도 <체>의 마지막 장면에서 가슴이 뜨거워지지 않는 건 도대체가 불가능하다. 볼리비아군과 CIA는 즉결 처형한 체 게바라의 시체를 헬리콥터에 묶어서 나른다. 혁명가의 핏기없는 얼굴에 매달린 턱수염이 프로펠라 바람에 휘날리는 순간, 티셔츠 위의 수염 달린 아이콘은 처음으로 뜨거운 피를 얻는다. 스티븐 소더버그는 차가운 두뇌로 뜨거운 심장을 창조하는 데 성공했다.

TIP/ 이쯤 되면 무차별 가위질을 통해 2시간짜리로 만들어 개봉해도 비난하지 않겠다, 소더버그의 최고 걸작인 <체>는 웨인스타인 컴퍼니의 창고에서 2년 동안 먼지를 뒤집어쓸 영화가 아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