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칸 스페셜] “줌은 나에게 굉장히 흥미로운 도구다” - <아쿠아리우스> 클레베르 멘도사 필류 감독 인터뷰
2016-05-30
글 : 장영엽 (편집장)
<아쿠아리우스>

브라질 감독 클레베르 멘도사 필류는 아직 국제 무대에서 낯선 이름이다. 그는 평론가와 단편영화 감독,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해오다가 지난 2012년 45살에 장편영화 데뷔작 <네이보링 사운드>를 만들었다. 하지만 변화하는 브라질 사회에서 압박에 시달리는 커뮤니티 속 사람들과 그들이 몸담고 있는 공간을 조명한 이 영화는 단숨에 클레베르 멘도사 필류를 영미와 유럽 매체들이 가장 주목하는 브라질 감독으로 눈여겨보게 만들었다. 그의 두 번째 장편영화 <아쿠아리우스> 역시 공간과 사람에 대한 필류의 지속적인 관심을 확인할 수 있는 영화다. 창문으로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해변가의 오래된 아파트, 아쿠아리우스는 65살의 매력적인 여성 클라라(소니아 브라가)의 과거와 현재를 담고 있는 ‘아카이브’다. 그 자리에 호화 콘도를 지으려 하는 건축회사는 클라라의 소중한 보금자리를 위협한다. 올해 영화제 상영작 중 가장 매력적인 여주인공을 보유하고 있는 영화이기도 한 <아쿠아리우스>에 대해 필류와 나눈 대화를 소개한다.

-‘아카이브’에 대한 호기심이 <아쿠아리우스>의 출발점이라고 했다.

=나는 세상에 두 유형의 사람이 있다고 믿는다. 먼저 옛날 책과 레코드, 사진들을 버리지 않고 과거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사람이 있을 거다. 그런 사람들에게 집은 일종의 아카이브 역할을 한다고 봤다. 영화 속 클라라(소니아 브라가)를 보더라도, 그녀의 가족과 친구들은 과거에 대한 사진이나 기록이 필요할 때마다 클라라를 찾지 않나. 반면 뭔가를 보관하고 유지하는 데 전혀 흥미가 없는 사람도 있다. 내 친구를 예로 들 수 있을 텐데, 그는 수많은 LP와 어마어마한 CD 컬렉션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걸 보관하는 데 연연하지 않더라. 그렇게 서로 다른 방식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생각을 하며 <아쿠아리우스>의 이야기를 구상하게 됐다.

-당신은 두 유형 중 어느 쪽에 가까운 편인가.

=분명한 건 너무 모던한 걸 좋아하지는 않는 것 같다. 얼마 전에 파트너와 함께 새집을 보러 다녔다. 흥미로웠던 점은, 내가 좋아하는 장소들은 집값이 다 저렴했다는 것이다. (웃음) 쓸데없이 패셔너블하고 모던한 건 딱 질색이다. 도대체 왜 테라스에 부엌이 있어야 하는 건지…. (웃음) 그렇게 집을 구하러 다니면서 내가 살고 싶지 않은 집을 생각하게 되었고, 그것 역시 <아쿠아리우스>의 모티브가 되었다. 아까 아카이브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나는 이 영화를 통해 단지 과거의 물리적인 흔적이 남은 아카이브만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추억과 감정이 깃든 장소로서의 아카이브(집)에 대해서도 말하고 싶었다.

-클라라가 사는 공간이 중요하다. 이 공간적 배경을 어떻게 구현해내고 싶었나.

=이 영화에서 클라라가 사는 곳은 영화의 또 다른 캐릭터라고 할 수 있겠다. 내가 주목했던 건 이 장소가 지니고 있는 특유의 위엄을 어떻게 나타내야 할지에 대한 것이었다. 다소 낡은 공간이면서도 위험하거나 더이상 사람이 살 수 없을 것만 같은 느낌을 줘서는 안 된다는 게 원칙이었다. 한편으로 이 공간이 외부인에 의해 언제든 침범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함께 주고 싶었다. 카메라가 밖에서 안으로 침투하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밖으로 활짝 열려 있는 창문을 조명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클라라의 아파트에서 과거와 현재 시점에 같은 모습으로 등장하는 나무 수납장은 마치 타임머신처럼 보인다.

=맞다. 나 역시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수납장이 타임머신처럼 보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중요한 소품으로 넣었다. 이 수납장을 통해 무언가를 보관하는 기능과 시간의 흐름을 함께 보여주고자 했다.

-이 영화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과거를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다. 이에 대한 당신의 생각이 궁금하다.

=과거의 향수에 언제까지나 묻혀 살 순 없다.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건 현재이기 때문이다. 언제나 과거를 존중하고 이해해야만 현재를 더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해왔고, 그런 관점을 지닌 여성 캐릭터를 영화에 출연시켜보고 싶었다. 어쩌면 내가 역사가의 아들이기 때문에 더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처음부터 클라라 역에 브라질 여배우 소니아 브라가를 염두에 두었나.

=아니. 나는 완전히 뉴페이스인 여배우를 원했다. 하지만 마켓이나 길거리에서 내가 원하는 여배우를 찾을 수 없었다. 소니아 브라가의 캐스팅을 제안한 건 <아쿠아리우스>의 촬영감독인 페드로 소테로였다. 소테로가 보여준 그녀의 사진을 보고 나는 2초 만에 캐스팅을 결정했다. 소니아가 없었다면 이 작품은 완전히 다른 영화가 되었을 거다. 소니아의 개성과 그녀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이 영화로 보여줄 수 있었던 건 정말로 행운이었다.

-소니아 브라가는 과거 브라질영화계의 ‘섹스 심벌’로 평가받던 여배우다. 그 점이 캐스팅에도 영향을 줬나.

=나는 그녀를 섹스 심벌이라 생각해본 적이 없다. 오히려 소니아와 클라라의 공통점에 대해 더 생각했던 것 같다. 영화 속 캐릭터와 소니아는 동년배다. 나는 아름답고 강인한 노년의 여성을 그리고 싶었는데 그녀가 지닌 아름다움으로부터 이야기를 확장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건 소니아에게 아이가 없다는 거다. 영화를 촬영하며 클라라가 가족을 대하는 모습을 보고 소니아에게도 아이들이 있을 거라고 확신했는데, 그렇지 않더라. 그 점이 흥미로웠다.

-이 영화에서 당신은 줌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특별한 의도가 있었나.

=그건 영화의 스타일에 대한 나의 관점과 관련 있을 것이다. 1970년대 영화를 사랑한다. 그때의 글래머러스하고 멋졌던 영화들은 지금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현재 전세계의 주류영화들을 보면 지나치게 새로운 기술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그건 내 방식이 아니다. 나는 매우 단순하고 기본적인 줌과 애너모픽렌즈를 사용하는 걸 좋아한다. 특히 줌은 나에게 굉장히 흥미로운 도구다. 영화에서 종종 줌은 클라라의 시선을 반영하기도 하는데, 줌을 통해 그녀의 불안감을 표현하고 싶었다.

-음악을 사용하는 방식도 흥미롭다. 당신은 음악을 통해 영화의 리듬감과 무드를 조성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는 듯하다.

=영화음악은 언제나 나의 큰 관심사다. 이번 영화에서 나는 캐릭터를 뒷받침하기 위해 음악을 썼을 뿐만 아니라 클라라가 직접 음악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마치 DJ처럼 말이다. 또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에는 퀸 등 영국 밴드의 음악이 수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브라질리안 뮤직에 대해 좀더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다. 특히 1969년 브라질 뮤지션 타이구아라가 발표한 <호제>라는 곡에 주목했으면 한다. 이 곡은 <아쿠아리우스>의 오프닝과 엔딩 크레딧에 흐른다.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