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전주에서 만난 영화인들②] <국가의 탄생> <L. 코헨> 제임스 베닝 감독 - 지속의 예술
2019-05-15
글 : 김소미
사진 : 백종헌

“내 작업의 가장 큰 화두는 지속(duration)이다.” 7회 전주국제영화제에 <원 웨이 부기우기/ 27년 후>(2005)가 초청된 이래 10여편의 작품으로 꾸준히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은 제임스 베닝 감독. 장면의 지속을 넘어 40여년 작가로서 굳건함을 지켜온 우리 시대의 거장이 올해 마스터클래스와 함께 <국가의 탄생> <L. 코헨> 두편의 신작을 선보였다. 정치와 생태를 향한 관심을 토대로 특정 이미지를 오랫도록 응시하는 베닝의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장소에 축적된 역사적 맥락을 읽도록 유도하고 보이지 않는 시간을 지각시킨다.

-<국가의 탄생>은 D. W.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1915)의 일부를 재해석한 설치작품이다. 트럼프 시대에 다시 인종주의의 화두를 꺼냈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그렇다. 트럼프 집권과 함께 빠르게 인종주의적 시각이 강화되고 있다. 미국 문화는 폭력으로 침범당하는 중이다.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이 다루는 남북전쟁 직후의 앨라배마주를 돌아보면 오늘날의 문제가 새롭게 탄생한 무엇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우리 역사에 내재되어온 것임을 자각할 수 있다. 남북전쟁 과정에서 가난한 흑인뿐 아니라 가난한 백인도 부유한 백인의 권력 유지를 위해 사고를 조종당하고 그들의 도구로 활용되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가난한 흑인, 가난한 백인, 인종과 상관없이 가난한 모든 사람이 대화할 수 있는 창구를 열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출발했다. 그들은 모두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고, 부유한 자들과의 괴리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국가의 탄생>처럼 과거의 작품을 다시 불러내 그것을 해체하고 재해석하는 데 어떤 의미를 느끼나.

=1915년 영화의 풍경이 2019년의 미국 사회로 명료하게 전환된다는 점에 쓸모를 느끼며 작업했다. 그리피스의 영화는 인종차별주의적인데, 영화언어의 관점에서는 걸작으로 여겨지니까 그 아이러니도 흥미로웠다.

-입을 맞춘 채 전쟁터에 쓰러져 있는 두 병사, 목화를 따다가 지나가는 백인 주인에게 인사하는 흑인, KKK(Ku Klux Klan) 기마단의 행렬까지 총 3개의 장면을 발췌한 뒤, 이를 선형적인 순서대로 배치하지 않고 3개 채널을 통해 동시에 보여준다. 어떤 효과를 기대했나.

=그리피스는 친구로 보이는 남과 북의 병사가 나란히 죽어 있는 모습을 담았다. 내 생각에 그리피스가 당대에 매우 거셌던 동성애 혐오를 건드리려고 했던 게 아닐까 싶다. 어쨌든 매우 호모섹슈얼한 이미지다. 타자의 차이와 다름에 대해 쉽게 분노하고 적대시하길 조장하는 트럼프 시대에 이 장면이 하나의 레퍼런스가 되길 바랐다. 노동하다가 백인에게 공손히 인사하는 흑인의 모습은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숏인데 일상화된 권력 층위를 보여준다. 흑인의 노동을 통해 얻은 목화를 팔아서 남부의 백인은 점점 더 부유해진 것이 우리의 역사다. 당시 그리피스는 이 장면이 얼마나 통렬한지 깨닫지 못했던 것 같다. 마지막으로 KKK 숏은 단순히 말해 악인을 영웅처럼 찍어둔 경우다. 그 괴리를 요즘 사람들은 어떻게 읽어낼지 궁금하다. 이 세 이미지가 ‘미국의 탄생’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장면별로 미국 국기의 3색(빨강, 파랑, 하양)을 입혔다.

-<L. 코헨>은 오리건주의 한 농장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광경을 45분간 보여준다.

=보통 일식을 보여줄 때 천체에 주목하지만 나는 미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달그림자의 모습을 보고 싶었다. 그림자는 일식을 반영할 뿐 일식 그 자체는 아니다. 흥미롭지 않나. 그래서 살면서 한번도 일식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영화를 다 보고도 <L. 코헨>에 일식 현상이 담겨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한다. 또 어떤 이들은 진짜 일식이 아니라 기술적으로 조작된 이미지라고 느끼기도 한다. 영화에 담긴 오리건 지역은 내가 사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접근성이 좋은 곳이라 그곳의 지형을 잘 알고 있다. 고정된 화면 안에 일식 과정이 충분히 담길 수 있도록 달그림자가 다가올 경도를 미리 계산해서 카메라를 설치했다. 또 최대한 3차원적 공간감이 느껴졌으면 했다. 원경에 산이 보이고 중간 즈음엔 전봇대가 있는 식으로 Z축이 살아 있는 풍경을 택한 이유다. 일식이 시작되면 멀리 있는 산부터 시작해 그림자가 약 10초 간격으로 서서히 카메라쪽으로 다가온다. 약 2분간 세상이 온전한 어둠에 잠기고 나면 또 몇초 만에 밤이 낮으로 바뀐다.

-2016년에 유명을 달리한 시인이자 싱어송라이터 레너드 코언의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했다.

=그는 내 영웅이다. 레너드 코언은 싱어송라이터로 잘 알려져 있지만 어린 시절부터 좋은 시를 썼다. 코언이 세상을 떠난지 9개월이 지났을 무렵에 이 작품을 촬영했는데, 낮과 밤이 덧없이 바뀌는 일식의 광경이 삶에 대한 메타포로 느껴졌다. 시간의 존재, 그리고 시간의 변화를 자각하는 것. 어쩌면 이게 코언이 늘 찾던 정신적 모먼트가 아닐까, 싶었다. 촬영을 끝낸 뒤에 결국 그의 노래를 삽입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내 작품과 비교하면 지나치게 낭만적인 선택이 아닐까 싶었지만 막상 넣어보니 괜찮더라. (웃음)

-현재 구상 중인 차기작이 있나.

=<L. 코헨>과 일종의 연작을 찍었다. <두개의 달>이라는 작품인데 아직 공개하진 않았다. 보름달이 완전히 차기 전날엔 저녁 어스름이 깔려올 즈음 달이 뜨고, 다음날 보름달이 뜰 때는 주위가 완전히 어둡다. 아직 빛이 있을 때 뜬 달과 어둠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 달은 전혀 다른 모습이다. 하루 차이로 어쩌면 그럴 수 있는지 놀랍고, 꼭 마법 같다. <두개의 달>은 이틀 동안 이 두개의 달을 그저 가만히 지켜보는 작업이었다.

-감독의 영화가 점점 더 시적이고 마술적으로 변한다고 느껴도 될까.

=그렇게 되길 바란다. (웃음)

이어지는 기사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