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마이클 무어와 <화씨 9/11> [1]
2004-07-06
글 : 김도훈

납치된 김선일씨는 결국 피살되었다. 그러나 정부는 파병원칙에는 변화가 없음을 재확인했고, 조지 부시는 “한국의 파병원칙에 변함이 없기를 바란다”고 전해왔다. 조지 부시가 만들어놓은 야만의 시대 속으로 휩쓸려가고 있는 것은 미국인과 이라크인만은 아니다. 한 사람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여전히 더 많은 피를 흘려야만 멈출 것처럼 보인다. 이라크 현지 미군이 김선일씨 피랍을 이미 알고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마이클 무어의 다큐멘터리 <화씨 9/11>은 그 어느 때보다도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영화다. 의아하게도 <화씨 9/11>은 우리의 미성년자 관람불가 등급과도 같은 ‘R등급’을 받았는데, 폭력과 거북한 이미지들을 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미국영화협회(MPAA)의 궁색한 설명이다. 무어는 “안타깝지만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몇년 안으로 15∼16살의 청소년들이 이라크에 파병될 것이다. 목숨을 담보로 한 전쟁에 나갈 당사자들이 내 영화를 보고, 지금 이라크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야 하는 건 당연하다”라고 항의하고 있다. 그리고 그 항의는 우리에게도 역시 유효하다. <화씨 9/11>의 미국 개봉일은 6월25일이지만 23일 현재 뉴욕의 극장들에서 부분적으로 상영이 시작됐고 극장마다 최고의 예매 기록을 세우고 있는 중이다. 4주가 지난 7월16일이면, 이 모든 논쟁과 기록의 중심에 서 있는 <화씨 9/11>의 실체를 우리도 확인할 수 있다. 편집자

황금종려상, ‘진실’의 개봉을 보장하다

“화씨 451이 책이 불타는 온도라면 화씨 9/11은 진실이 불타는 온도다.” 마이클 무어는 <화씨 9/11>이라는 제목이 SF작가 래이 브래드버리의 53년작 <화씨 451>의 오마주라 했다. <화씨 451>의 세계에서 책은 금지되어 있고, ‘소방수’라는 직업은 책을 불태우는 일이다. 주인공인 ‘소방수’ 몬탁은 이에 대항해 책을 숨겨두고 읽어가기 시작한다. <화씨 9/11>은 조지 부시와 공화당 정부가 어떻게 미국인을 속여서 전쟁터로 몰고 나갔으며, 그 뒤에 숨어 있는 부시 일가와 오사마 빈 라덴 일가의 은밀한 관계가 무엇이었고, 이 모든 것을 미디어가 얼마나 감추고 있는지 폭로하기 위해 만들어진 다큐멘터리영화다. <화씨 451>과 <화씨 9/11>은 지성과 진실의 역사를 감추는, 폭력적인 권위에 대항하는 한 용감한 남자의 이야기라는 공통점이 있다. 물론 순탄하게 극장에 걸릴 리 없을 터. 영화를 재정지원했던 멜 깁슨의 아이콘필름은 이미 완성된 영화를 팽개치고 달아났고, 디즈니는 배급을 비밀리에 막으려 했다. 그러나 칸영화제에서 뜻밖의 황금종려상을 받으면서 영화는 미래를 보장받았다. 파리에서 만난 전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장이자 시네마테크 디렉터 세르쥐 투비아나는 “<화씨 9/11>에 황금종려상을 주다니” 하며 한숨을 쉬었지만, 세상을 바꾸어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들 앞에서는 예술의 목적의식도 가끔은 유연해지는 법일 테다.

의문이 남긴 공백을 메꾸는건 풍자정신

<화씨 9/11>이 못 말리는 프로파간다처럼 보인다면 그것은 이 영화가 노리는 대상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조지 부시는 참으로 근사한 피사체다. 마이클 무어는 ‘대통령에 당선된 뒤 첫 8개월 동안 42%의 기간을 휴가로 사용한 텍사스 카우보이’를 희화화하는 데 별로 노력을 들일 필요도 없었다. 칸 심사위원이었던 여배우 틸다 스윈튼이 “부시에게 최우수 코미디배우상을 주고 싶다”라고 말했던 것도 다 이유가 있다. 부시라는 피사체는 혼자서 포복절도의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두대의 여객기가 쌍둥이빌딩을 들이받고 있던 순간, 부시는 플로리다의 한 초등학교에서 <내 친구 염소>라는 책을 아이들과 읽고 있었다. 교실로 황급히 들어온 보좌관, 이를 부시의 귓속에 비밀스레 보고하자 부시는 얼어붙는다. 자막으로는 시간이 무거운 속도로 째깍째깍 흘러간다. 7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그는 그저 <내 친구 염소>를 손에 얌전히 쥐고 그 오랜 시간 동안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허공을 바라보고 있다. 그 장소에 있었던 사람들에 따르면 보좌관 중 한 사람이 지금 자리를 옮겨야 한다고 급하게 조언할 때까지 그는 그 자세 그대로 앉아 있었다 한다. 무어는 묻는다. 대체 이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며 그리도 멍하니 오랫동안 앉아 있었던 것일까. <뉴욕 타임스>는 이 장면 하나만으로도 부시에게는 커다란 타격이 될 거라고 전망했다.

기실 <화씨 9/11>에서 가장 사람들이 기대했던 것은, 부시 일가와 오사마 빈 라덴 일가의 은밀한 유착관계가 얼마나 깊이있게 폭로될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무어의 질문은 이렇다. “미국에 거주하고 있던 많은 수의 빈 라덴 일족이 9·11 직후 미국 밖으로 비행하도록 허락받았다. 어떻게? 당시 모든 비행기들은 비행허가를 받지 못하고 땅에 묶여 있었는데….” 무어는 빈 라덴 일가와 부시 일가 사이의 보이지 않는 끈을 잡아당기고 싶어했다. 부시의 젊은 시절 군사기록을 삭제한 인물이 현재 빈 라덴 일가의 텍사스 재정 매니저 제임스 R. 배스이며, 테러리스트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했다는 이유로 미국 정부가 사우디 정부를 고소했을 때, 사우디 정부의 수석 변호사로 고용되었던 사람이 부시 전 대통령의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였다는 놀라운 사실들이 줄을 잇는다. 문제는 무어가 딱 거기서 멈추어 선다는 사실이다. 영화는 사우디나 빈 라덴 일족의 배경에 대해 깊숙이 들어가다가 돌연 멈추어 선다. 스스로 던진 질문에 명쾌하게 대답하는 대신 구렁이 담 넘듯이 넘어가고 마는 것이다. <화씨 9/11>이 안고 시작한 중요한 과제들은 이처럼 의문을 던지며 관객의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선에서 마무리된다. 남은 공백을 채우는 것은 그의 위트 넘치는 풍자정신이다. 부시만이 그 대상은 아니다. 존 애시크로프트 법무부 장관은 <독수리가 높이 날게 하라>(Let the Eagle Soar)를 우스꽝스럽게 부르고, 폴 울포위츠 국방부 부장관은 TV 생방송에 들어가기 전에 손에 침을 탁! 뱉어서 머리를 빗어넘긴다. <볼링 포 콜럼바인>에서는 마릴린 맨슨의 인터뷰가 아티스트의 지성을 이용해 우둔한 미디어를 비판하는 데 쓰였다면, 여기에는 반대의 역할을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한다. 그는 “대통령이 잘 헤쳐나갈 것으로 믿는다”라고 생각없이 중얼거린다. 그런데 즐겁게 웃으면서도 왠지 개운치가 않다. 영화의 전반부로만 보자면, 무어는 전쟁의 합법성에 대한 의문들을 깊이있게 캐내는 것보다는 여전히 싫어하는 대상을 우스갯거리로 만드는 데 장기가 있어 보인다. <사이트 앤 사운드>는 “그들의 멍청함이 문제가 아니야 마이클! 문제는 그들의 거짓말이라고!”라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