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송해성] 이건 정말 멜로, 남자들의 멜로영화다
2010-09-21
글 : 주성철
사진 : 최성열
<무적자> 송해성 감독 인터뷰

-아무래도 원작과의 승부라는 점에서 부담이 클 것 같다.
=<무적자>가 100억원대의 액션 블록버스터처럼 비쳐지는 게 가장 부담스럽다. 사실상 그 정도 규모가 투여된 작품도 아니고 액션적인 부분보다 드라마를 강조하고 싶은데, 아무래도 배우의 무게감이 있다보니 그렇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 <영웅본색>도 지금에 와서 보자면 사실상 큰 액션신은 세 군데 정도고 전체적으로 보자면 빈틈도 많은 작품이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거의 판타지처럼 각자의 가슴속에 남게 된 것 같다. 물론 나 역시 <영웅본색>의 팬이었으니 그걸 부정하는 건 아니고, 그렇게 가지게 된 기대로 인해 관객의 감상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해서다. 나는 김지운 감독과 달리 생계형 영화감독이라(웃음) 그 정도 규모를 감당할 수 없는 사람이다. 거대 액션 블록버스터라는 기대보다 탈북자의 이야기라는 드라마에 집중해줬으면 한다.

-그런 비교와 승부라는 점에서 배우들도 비슷한 중압감을 느끼리라 생각한다.
=물론 원작의 배우들을 절대 이길 수 없다. 그건 <아저씨>와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좀 심한 말이지만 술자리에서 너희 4명이 원빈 하나 이길 수 있을 것 같냐고도 했다. (웃음) 바꿔 말하면 그건 내가 우리 배우들을 너무 아끼고 굉장히 잘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뱉은 말이기도 하다. 영화가 공개되고 호불호가 명쾌하게 갈릴 거란 생각은 했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포기한 거나 마찬가지다. 그런데 정말 네 배우만큼은 자기 역할을 충실하게 했다. 특히 송승헌과 조한선이 자기 야망으로 직선으로 나가는 캐릭터라면 주진모와 김강우는 어찌 보면 원작보다 더 난이도 높게 내면으로 들어가야 하는 지점이 많다. 그래서 배우들에 대한 평가만큼은 인색하지 않았으면 싶다.

-애초에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이 나온 것도 스트레스로 작용했을 것 같다.
=결국 15세 관람가가 나오긴 했지만 우여곡절이 많았다. 주제, 욕설, 폭력성, 모방범죄, 그렇게 네 가지가 문제가 됐다. 심의위원들은 보스인 조한선의 욕이 너무 적나라하다는 걸 문제삼았는데, 반대로 경찰인 김강우가 그에게 하는 같은 욕에 대해서는 별 지적이 없었다. 사실 초등학생도 하는 욕을 경찰이 하면 되고 범죄자가 하면 안된다는 거다. 그리고 조한선 일당이 송승헌에게 집단 린치를 가하는 옥상장면은 모방범죄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원작과의 비교, 심의문제 등 그런 과정에서 하나의 줄기로 굳게 잡았던 게 있다면.
=내 입장에서는 남자들의 멜로영화를 만든다고 생각했다. 형은 동생을 너무나 짝사랑하는데 동생은 자기 마음을 안 열고, 영춘 역시 혁을 향해 함께 다시 일하자며 사랑을 구걸하는데 그는 계속 묵묵부답이고. 그리고 태민은 그런 그들에게 다시 고향 북한으로 돌아가라고 괴롭힌다. 그럴 때 나는 ‘이런 세상에서 살아서 무엇하리?’ 하는 기분으로 영화를 만들었다. 내 다른 영화들의 정서나 결말과 비교하면 좀 차이점이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 그렇게 <무적자>는 약간 좌파영화이면서 퀴어영화이기도 하다. (웃음)

-영화를 본 오우삼 감독과도 만났는데 어떤 얘기들을 나눴는지.
=잘 봤다고 하더라. 자신은 당시 오히려 액션에 치중하면서 형제애에 신경 쓰지 못했는데 <무적자>는 거기에 좀더 신경 쓴 것 같다는 얘기를 해줬다. 그리고 나 역시 전에 내 영화 <파이란>을 리메이크하는 바딤 페렐먼 감독을 <씨네21> 대담을 통해 만난 적 있는데 감독들의 관계란 게 그렇다. 당연한 것이지만 기본적으로 창작자로서 서로의 접근이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마련이다. 내 영화를 어떻게 만들 거냐? 그런 걸 따지는 게 아니라 이 사람은 어떻게 내 영화를 좋아하게 됐을까, 그걸 먼저 생각하고 신기해하는 거다. 구스 반 산트가 <싸이코>를 리메이크하고 절망의 세월을 보냈지만 그 시작에 어떤 절실함과 자신감이 없었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원작과 가장 다르면서 인상적인 장면이 바로 혁과 철이 함께 식사하는 장면이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장면이기도 하면서 <무적자>의 주제를 함축하고 있다. 그 둘이 함께 밥상에서 머리를 맞대고 밥 먹기까지 얼마나 많은 갈등을 하고 허송세월을 했을까, 느껴줬으면 하는 마음이다. 찍을 때도 두 사람의 멜로장면을 연출한다는 느낌으로 했다. 게다가 원작보다 응어리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는 철에게 너무 리얼한 분노를 줘버리면 이후에 해소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런 장면이 필요했다. 그렇게 탈북자라는 정서, 멜로에 가까운 남자들의 관계라는 점에 포커스를 맞춰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진짜 이건 멜로영화다. (웃음)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