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이야기니까”
2014-01-21
글 : 송경원
<또 하나의 약속> 김태윤 감독

-처음부터 끝까지 시민들의 펀딩과 개인투자로 제작되었다고 들었다.
=2011년 6월, 삼성반도체에서 근무하다 백혈병으로 사망한 고 황유미씨가 오랜 법정 공방 끝에 산업재해 판정을 받았다는 기사를 읽고 이 이야기를 영화화해야겠다고 결심했다. 처음엔 크라우드 펀딩으로 종잣돈 1억2천만원을 모았는데 늦어지면 안 될 것 같아 제작을 하면서 돈을 모으기로 했다. 자금 압박이 있었지만 다행히 돈이 필요하다 싶을 때마다 돈이 모이더라.

-쉽지 않을 걸 알고 있었을 텐데 굳이 이 소재를 선택한 특별한 계기가 있나.
=공식적으로는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이야기니까. 개인적으로는 충무로의 대기업 시스템에 지쳐 있었다. 다른 길을 고민하고 있을 때 황유미씨 사연을 들었고,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해 만들어봐야겠다고 결심했다. 쉽지는 않았지만 유가족을 옆에서 직접 보며 내가 힘든 건 아무것도 아니란 생각이 들더라.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가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이 있다면.
=기본적으로 뛰어난 이야기 소재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소재만 가지고 영화가 되는 건 아닌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는 특히 그렇다. 영화화할 가치가 있는가가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영화를 선보였을 때 실제 인물들에게 누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고 황유미씨의 아버님이신 황상기씨에게 보여드렸을 때 좋아하실까가 첫 번째 관문이었다. 다행히 첫 관문은 통과했으니 절반은 온 셈이다. 남은 절반은 많은 이들과 공감하는 것이다.

-최근 사회참여영화들이 늘어난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
=그만큼 사회가 어둡고 할 말은 많아졌다는 거 아닐까. 다만 우려되는 점은 소재의 자극성보다는 완성도에 좀더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명분과 의무로 영화보기를 강요하는 것만큼 비극도 없다. 소재의 정당성만큼 영화로서 재미도 있어야 한다. 최종적으로는 가능하면 이런 소재로는 영화가 만들어지지 않도록 좋은 세상이 오길 소망한다.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