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제60회 칸영화제 결산] <밀양>의 해외 언론 반응
2007-06-14
정리 : 문석
“심오한 인간의 진실을 드러낸다”

‘<밀양>이 경쟁부문에 빛을 던지다’

<인디와이어> 5월24일 앤서니 카우프만

칸영화제 주요 상의 새로운 선두주자로 떠오른 이창동 감독의 <밀양>은 신애라는 젊은 과부에 초점을 맞춘다. 서울에서 남편이 태어난 밀양으로 옮긴 뒤 신애는 작은 도시의 환경에 자신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사건이 그녀의 삶을 더한 혼란으로 빠뜨린다. (중략)

그러나 이 영화는 전적으로 전도연의 것이다. 그녀의 격렬한 연기는 위안을 찾는 여인의 모습과 그녀가 고통을 덜기 위해 절실하게 노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밀양>은 경쟁부문의 젠체하는 몇몇 영화와 달리 예술영화임을 뽐내는 작품이 아니다. 이 영화는 날카롭고 예민하며 완전히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통해 올해 칸영화제에서 드물게 선보인 심오한 인간의 진실을 드러낸다.


‘이창동, 작가적 전화와 여자주인공의 열연으로 놀라운 영화를 선보이다’

<뤼마니테> 5월25일 미셸 귀유

불안으로 시작하는 것은 결코 관례가 아니다. 한 여자 인물, 그녀를 연기한 한 여배우에 근거해 이 작품은 존재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칸영화제 경쟁작 선정 이후로 이 영화는 적어도 여우주연상을 받게 되리라는 확신을 주고 있다. 이 작품은 다름 아닌 이미 <오아시스>와 <박하사탕>으로 알려진 이창동 감독의 한국영화 <밀양>이다. 그전에 혹은 그 다음에 뒤따를 질문은 과연 이창동 감독이 자신의 소재를 어떻게 다루고 있느냐는 것이다.

‘Secret Sunshine’이란 제목은 이미 작품에 대한 힌트를 준다. 제목의 뜻은 주인공 신애가 그녀의 목적지인 도시 밀양의 어귀에 들어설 때, 그녀가 직접 한자어 풀이를 하면서 주어진다. 제목이 영화를 짐작하게 하는 구실을 하지만, 영화는 더 놀라운 것을 준비하고 있다. (중략)

짐짓 모른 척하고 시간을 끌면서, 주변 인물들의 연기를 보여주며 일시적인 장면들에 시선을 주지만, 이창동이 그리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것이다. 마치 유아기를 벗어나지 못한 처녀처럼 남편에게 순종하는 여자들. 히스테리에 걸린 어머니들의 초상, 이성 상실이라고 불러야 할 전 세대의 삶을 교육받은 여자들을 그는 그리고 싶은 것이다. 그런데 신애의 행동 하나하나는 이 퇴화적인 복종의 규정에 맞선다. 이 젊은 여자는 눈물이 마구 흘러도 마치 이 작품처럼 비애감에 휘말려들지 않고 회복될 수 없는 상처에 맞서서 종교적인 환상의 절대적 구원에 매달리기를 거절하면서 광기의 강 어귀에 다다른다. 이 모든 것은 바로 그녀 자신만이 가능한 이성적 대답일 것이라고 말하려는 것 같다. 몇몇 다소 긴 장면들에도 불구하고, 네 번째 영화에서 감독은 자신이 취해야 할 거리와 연기자들을 찾아냈다. 우리는 그에게 매우 감사한다.


‘밀양: 겹치는 고난’

<르 피가로> 5월25일 도미니크 보르드

사고로 남편을 잃은 신애는 어린 아들과 남편의 고향으로 떠난다. 아이가 납치당하고 살해당한 뒤 어찌할 줄 모르는 그녀는 종교에 귀의한다. 그러나 곧 그녀의 영혼은 방황하고 기괴한 행동들을 한다.

전도연의 시종일관 당황한, 또는 다소곳이 넋이 나간 얼굴로 영화는 겹치는 고난의 연장선에서 운명에 희생당하는 한 여자의 뒤죽박죽된 인생을 그린다. 2시간 반 동안 엉성한 영화는 한 개인이 감당하기에 너무 많은 비극과 결핍과 고통을 그린다. 도대체 있음직하지 않고, 자기만족과 더딘 행동 전개 앞에서, 관객은 여배우를 슬픔 속에 내버려두고 나와버리고 싶은 충동을 갖는다. 구원의 신과 유혹의 악마 사이를 오가는 이 여인은 신에게서 일시적인 위로를 찾는가 싶더니 곧 하르피아이(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마녀)적인 악마 숭배의 기쁨 속에 감정의 해방을 누린다.

고통이여, 너의 패배는 어디 있는가? 감독은 여주인공을 통한 은유로 몇몇의 생동감있는 장면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독특함을 맛볼 수 있을지라도, 관객은 신애의 불행에 무관심하게 머문다. 멜로드라마의 전형성에서 탈피하기 위해, 영화는 엑소시즘의 형상으로 따분한 혼란의 덫에 빠져든다. 그러나 아쉽게도 충격을 받기보다는 더 따분해질 뿐이다.


‘강한 여배우들이 돋보이는 영화제’

<뉴욕타임스> 5월25일 A. O. 스콧, 마뇰라 다지스

황금종려상 후보 중 하나로 떠오른 <밀양>은 자칫하면 멜로드라마와 센세이셔널함에 빠져들 수 있는 이야기 속에 명상적이고 문학적인 감수성을 불어넣는 영화다. (중략) 거의 2시간30분짜리인 이 영화의 첫 3분의 1은 우울한 코미디처럼 보인다. 곧 갑작스런 파국이 심리적인 긴장을 끌어올려 여주인공으로 하여금 일종의 평화를 격앙되고 절망적인 마음으로 찾게끔 한다.


‘모든 것을 견디는 어머니’

<이브닝 스탠더드> 5월25일 데릭 말콤

이 영화는 몇개의 다른 레벨을 갖고 있으며 인간의 고통과 그 결과에 대한 브레송적인 연구라 할 만하다. 경쟁부문의 다른 영화 중 그리 많지 않은 영화만이 이 영화의 수준에 도달한다.


‘<밀양>, 악에 대한 질문’

<르 몽드> 5월27일 자크 만델봄

<밀양>은 날카로운 작가주의영화와 상업영화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영화이며, 한국영화가 발휘하는 활력의 중심 역할을 맡은 이창동 감독은 대중적이면서도 고품격의 예술을 보여준다. <밀양>은 성공을 거둔 전작 3편과 섬세한 지식인이면서, 한국문학 전공자이고, 2002년에서 2004년까지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한 작가의 모든 경력 속에서 태어났다.

영화는 통속에 대한 탐구에서 수사물적인 국면을 엿보다가, 형이상학적 질문을 향해 접어든다. <밀양>은 부드러움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매우 어두운 영화다. 이 작품은 악에 대해 묻고 있으며, 작가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작품에서 유보한 점은 매우 일리 있다.


‘위기의 파편 속에 있는 이창동’

<리베라시옹> 5월28일 디디에 페롱

이창동은 절대적인 진실을 강요하지 않는다. 감독은 평소처럼 그가 글로 쓰고 영화화한 적이 있는 상황들의 유사성 안에서 모든 힘을 쏟아붓고 있으며, 그의 스타일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었던 것보다 덜 으스댄다. 이 간결함은 스타들의 사인공세가 범람하는 칸영화제의 분위기에 질려가던 중 매우 반가운 것이었다. 신애 역할을 맡은 전도연의 연기는 한마디로 매우 뛰어났다. 이 배우는 2간20분 동안 화면에서 기뻐하다가, 얼이 빠지기도 하고, 신을 미친 듯 믿으며 빛나다가, 신에게 버림받은 감정과 실망으로 분노한다.

번역 및 정리: 조경희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