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 <몸 값>(2015)으로 국내외 영화제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이충현 감독은 1990년생의 젊은 신인이다. 예술고등학교 재학 시절 단편영화를 만든 적은 있지만, 성인이 된 후에는 영화가 아닌 신문방송학을 공부하다 광고 프로덕션사에서 일했고, <몸 값>은 성인이 된 후 처음 찍은 영화다. 드물게 14분짜리 단편만으로 이름을 알린 그를 일찌감치 눈여겨본 용필름이 남다른 애정을 쏟으며 ‘서포트’하고 있다는 소문이 자자하다. 고사를 앞두고 만난 이충현 감독은 이런 인터뷰는 처음이라며 조금 수줍어했지만, 뚜렷한 비전을 갖고 있었다.
-<몸 값> 이후 용필름에서 <침묵>(2017)의 각색을 비롯한 시나리오 작업을 했다. 추리물부터 사회 드라마까지 다양한 장르를 경험했다고 들었다.
=단편영화 경험은 있지만, 장편영화의 시나리오를 써본 적은 없었다. 상업영화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전혀 몰랐다. 여러 시나리오를 쓰면서 장편영화의 문법을 익힐 수 있었다. <침묵>의 정지우 감독님에게는 인물을 어떻게 다루고 작품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본인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는 태도를 배웠다. <유다의 별>이라는 작품도 썼는데, 장편 입봉은 <콜>로 하게 됐다.
-임승용 대표도 왜 오리지널 시나리오가 아니라 원작이 있는 작품(<더 콜러>(2011)가 원작이다.-편집자)으로 입봉하게 됐는지 궁금해했다.
=용필름에서 개발하는 시나리오를 한번 쭉 볼 기회가 있었는데, 이미 다른 작가님이 쓴 <콜> 시나리오가 재미있었다. 내 오리지널 시나리오로 한다 해도 이런 방향으로 해보고 싶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작품으로 데뷔를 하게 된 거다. 사실 처음에 썼던 시나리오들은 재밌긴 하지만 약간 어려웠다. <콜>은 두 인물에게 집중된다는 점에서 간단하고, 스타일 면에서도 나와 잘 맞았다. 작업을 하면서 쭉쭉 나가는 느낌을 받았다.
-네 배우는 어떻게 캐스팅하게 됐나.
=전종서 배우를 가장 먼저 캐스팅했다. 시나리오를 쓸 때 <버닝>을 봤는데, 묘하게 영숙 캐릭터와 잘 매칭되더라. 저 배우를 캐스팅하면 영화가 풍요로워질 수 있겠다는 직감이 들었다. 그다음은 김성령 배우가 합류했다. 전형적인 엄마 이미지는 아닌데, 그게 영화의 스토리에 어울리는 면이 있었다. 박신혜와 이엘 배우는 거의 동시에 캐스팅했다. 서연 캐릭터는 단단함과 무게감이 있어야 한다. <23 아이덴티티>(2016)의 아냐 테일러 조이 같은 인물을 레퍼런스로 삼았다. 개인적으로 어릴 때부터 드라마에서 봤던 박신혜 배우의 모습이 멜로가 아닌 잘 짜인 밀도 높은 장르영화, 스타일리시한 영화에도 잘 어울릴 것 같다고 생각했다. 이엘 배우는 원래 가진 분위기 자체가 영화가 가진 어떤 장르적 특성과 잘 매치됐고, 전종서 배우와의 어울림도 좋았다.
-<몸 값>은 신인감독의 패기가 느껴지는 원 테이크 촬영을 보여준다. <콜>에서도 야심차게 준비하는 촬영이 있나.
=집 안에서 롱테이크 장면을 찍어보려 한다. 이 밖에도 <경주>(2013), <꿈의 제인>(2016),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2018) 등을 촬영한 조영직 촬영감독과 여러 가지를 시도해보려고 한다. 스토리가 대부분 집 안에서 이어지는 터라 집 세트를 굉장히 크고 화려하게 지었다. <맨 인 더 다크>(2016), <23 아이덴티티>, <겟 아웃>(2017) 같은 밀실적인 요소를 가진 작품의 컨셉을 참고했다. 아마 집이 곧 캐릭터가 되어, 캐릭터가 놓인 상황을 이미지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 될 것이다.
-1999년과 2019년의 두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90년대 시대상을 보여주는 장치도 많겠다.
=마침 배정윤 미술감독님이 <국가부도의 날>(2018)을 하고 오셨다. (웃음) 사실 나도 워크맨을 써본 적 없는 세대인데, 미래의 인물은 과거의 것을 잘 모를 것이고, 과거의 인물은 스마트폰이라는 개념 자체를 아예 모르지 않겠나. 그런 문화적 차이도 영화에 노출될 거다.
-남성 위주로 돌아가는 영화계에서 주요 캐릭터가 전부 여성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건 남성이 할 수 있는 캐릭터는 아니라는, 남자로 쓰면 훨씬 불리할 거라는 직감이 들었다. 내가 남자다 보니까 처음에는 여성이 주인공인 영화를 하게 될 거라는 생각을 못했는데, 시나리오를 쓰다 보니 여자들이 장르영화에서 굉장한 힘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남자들이 나오는 장르영화는 이미 많지 않나. 그래서 여성이 이끄는 영화는 확실한 차별점이 생기고 장르적으로도 힘있게 뻗어나갈 수 있다. 관객에게는 재미를 느끼는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
<콜>
감독 이충현 / 출연 박신혜, 전종서, 김성령, 이엘 / 제작 용필름 / 배급 NEW / 개봉 2019년
● 시놉시스_ 엄마(김성령)가 아프다는 소식을 듣고 오랜만에 고향집에 온 서연(박신혜)은 집을 정리하다 휴대폰을 잃어버린다. 휴대폰을 찾기 위해 집에서 오래된 유선 전화기를 찾아내 자신의 번호로 연결을 시도하지만, 자꾸 이상한 여자가 전화를 받아 혼선된다. <콜>은 각각 2019년과 1999년의 시대를 사는 두 여자가 전화로 연결되는 이야기다. 미래로 연결된 전화가 자신에게 유일한 희망이라고 믿는 과거의 인물 영숙은 전종서가, 그를 시시콜콜 감시하는 엄마는 이엘이 연기한다.
● 각양각색의 캐릭터_ “겹치는 캐릭터가 없다. 예를 들어 각자 의상을 입고 사진을 찍으려고 해도 너무 다르다.” 시대도 성격도 달라서 캐릭터를 보는 재미가 있을거라는 게 이충현 감독의 설명이다. 여성배우가 연기할 만한 캐릭터 자체가 많지 않은 충무로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배우들에게 입체적인 캐릭터를 연기할 기회를 선사한 <콜>이 기획 단계부터 가진 강력한 무기다. “캐릭터들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면, 또 맞아 돌아간다. 이들이 모여 장르영화가 됐을 때 만들어지는 롤러코스터처럼 들쑥날쑥한 감정 기복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