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만난 사람들②] <이누가미의 결혼> 가타시마 잇키 감독 - 세상을 향한 의지, 사랑을 찾기 위한 기도
2019-07-10
글 : 송경원
사진 : 오계옥

<이누가미의 결혼>은 올해 부천영화제에서 가장 도전적인 작품 중 하나다. 245분에 달하는 상영시간 때문만은 아니다. 일본의 신화와 현대사를 넘나드는 이 영화는 다종다양한 장르와 상상력이 뒤섞여가는 과정을 통해 일본 사회의 허위의식과 병폐를 거침없이 까발린다. 2012년 <아시아의 순진>을 통해 무정부주의적인 색채를 드러냈던 가타시마 잇키 감독은 이번에도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과감하게 내달려 나갔다. “내 안의 장난감 상자를 뒤집어 모든 걸 쏟아냈다”는 가타시마 감독에게 이 기기묘묘한 모험담의 짧은 안내를 부탁했다.

-2016년에 완성된 <이누가미의 결혼>이 3년 만에 한국에 소개됐다.

=한국은 이번이 세 번째다. 16년 전에 개인적으로 여행을 온 적 있고 <아시아의 순진>이 영화제에 초청되어 한번 더 방문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데 문화 차이가 커서 올 때마다 흥미롭다. 마치 보물을 찾아 미지의 섬으로 떠나는 주인공 아즈사처럼 나도 올 때마다 모험을 하는 기분이다.

-관객의 도전욕구를 자극하는 영화로 상영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다른 영화의 2회차 상영을 잡아먹는 영화니까. 4시간에 가까운 영화를 틀어준다는 것 자체가 감사한 일이다. 무엇보다 극장 환경이 좋았다. 일본에서도 좀처럼 이런 경우는 없었는데 내 의도가 완벽히 전달되어 기쁘다. 관객 반응은 일본과 비슷해서 재미있었다. 보고나서 다들 소화불량에 걸린 표정으로 ‘이게 뭐야?’라고 했다. (웃음) 이번 인터뷰로 짧게나마 관객의 체증이 내려갈 수 있으면 좋겠다.

-긴 상영시간에 겁먹을 수 있는데 막상 보면 4시간이 모자라다 싶을 만큼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방대하지만 한편으론 단순하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사랑을 찾기 위한 기도’다. 세상은 엉망진창이다. 주변을 돌아보면 차별과 편견, 심지어 살육이 난무하는데도 못 본 채 살아가고 있다. 이번 영화에선 그런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보물을 찾으려는 주인공의 여정이자 기도를 담았다. 본래 1992년 다와다 요코 작가의 단편 <이누무코이리>를 원작으로 하려 했다가 무산되고 한참 뒤 ‘난소사토미핫겐덴’이란 에도시대 일본 민담을 기반으로 다시 기획했다. 영화가 늦춰지는 과정에서 쌓인 원망과 답답함을 다 토해내다 보니 4시간 정도의 분량이 나왔다. 여느 영화처럼 압축할 수도 있었겠지만 이런 영화도 한편쯤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다. 세상을 향한 나의 의지라고나 할까.

-도쿄, 오키노섬, 무인도, 아모레이섬까지 로드무비 형식을 따라가되 4개 챕터로 나뉜다.

=각장은 상징적인 공간이다. 1장 도쿄는 대도시에서 소외감을 느낀 아즈사가 탈출하는 이야기다. 2장 오키노섬에선 부패한 권력에 복종하는 사람들을 더 숨 막히는 상황으로 몰아간다. 3장 무인도는 예상치 못한 낙원이다. 태풍에 난파되어 도착한 곳에서 만난 개의 형상을 한 남자는 다른 종과의 화합을 상징한다. 전설과 신화를 구현한 파트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물이 있는 곳이라고 생각했던 최종장 아모레이섬은 그야말로 모든 욕망이 꿈틀대는 지옥 같은 곳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같은 종교전쟁의 축약판이랄까. 아즈사는 그 최악의 장소에 무인도에서 발견한 희망을 가져다놓는 일종의 메신저인 셈이다.

-아즈사 역의 아리모리 나리미 배우는 모두를 비추는 거울 같은 존재다.

=아리모리 나리미와는 4편의 작품을 함께했고, 이번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염두에 두고 있었다. 건달 혁명가, 히키코모리 가수 등 워낙 강한 캐릭터가 많아서 이들을 투명하게 비출 수 있는, 백지나 거울 같은 연기가 필요했다. 배우에게 자신의 개성을 발휘하지 말라고 요구해야 하다보니 현장에서 다투기도 많이 했다. (웃음) 결과적으로는 아리모리 나리미가 중심을 잡아준 덕에 충실한 로드무비가 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표현이 강하고 염세적인 분위기가 있지만 결국 희망을 놓지 않는다. 엉망진창인 세상에서 영화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희망이나 이상이 없다면 세상은 존재할 수 없다. 한 사람이, 공동체가, 나아가서는 국가가 희망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통해 현재가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는 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강력한 매체다. <이누가미의 결혼>의 영어 타이틀을 정할 때 그냥 단순하게 ‘Hope’라고 하는 게 어떨까 하는 의견도 있었다. 워낙 많은 이야기를 담은 영화라 한번 보고는 내가 생각했던 메시지가 전부 전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이해가 되지 않아 영화를 9번 본 관객도 있다고 들었는데, 꼭 그렇게 많이 볼 필요는 없다. (웃음) 보고 나와서 뭔가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충분하다.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 무언가를 함께 목격하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 그게 영화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이어지는 기사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