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2008 한국영화 신작] 김윤철 감독의 <블루 혹은 블루>(가제)
2008-01-10
글 : 문석
사진 : 이혜정
나와 똑같은 여성을 만나다

스스로 인정하는 바지만 김윤철 감독은 여성의 내면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그를 대표하는 두편의 드라마가 이를 입증한다. 미니시리즈 <내 이름은 김삼순>과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에서 골드 님프상을 받은 단막극 <늪>에서 김윤철 감독은 여성의 내밀한 욕망에서 아기자기한 사랑이나 섬뜩한 질투와 복수심을 끄집어내 보여줬다. 그가 데뷔작으로 <블루 혹은 블루>(가제)를 선택한 것 또한 여자주인공 캐릭터 때문이다. 원작에 해당하는 일본 작가 야마모토 후미오의 소설 <블루 혹은 블루>(대교베텔스만 펴냄)는 어느 날 자신과 똑같이 생긴 여성을 만난 한 여성의 이야기를 그린다. 돈 많은 남편과 사랑없는 삶을 영위하던 주인공은 그녀가 과거에 사귀다 헤어진 남자와 함께 사는 것을 알게 되고, 한달 동안만 자리를 바꿔서 살아보자고 제안한다. 하지만 그 남자가 폭력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주인공은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려 하지만 또 다른 그녀는 버티고 그 자리를 내놓지 않는다. “자신과 똑같은 그녀를 분신(分身) 같은 말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마음속의 또 다른 자아이기도 하죠. 뒤집어 생각하면 그녀는 내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존재처럼 보이지만 마음속에 있는 또 다른 자신이에요. 결국 그런 복합적인 내면과 욕망을 가진 여성 캐릭터에 끌린 거죠.” 경상도 사투리가 살짝 섞인 나직한 목소리로 그가 말한다. 그에 따르면 결국 <블루 혹은 블루>도 그의 대표작들처럼 여성의 은밀한 욕망에 초점을 맞추는 셈이다. 그렇다면 이 여성의 내면에 자리한 욕망은 무엇일까. “소설을 처음 볼 때는 지금 갖지 못하는 사랑에 관한 것이라고 표면적으로 읽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결국 중요한 건 잃어버린 시간 같은데요. 지나간 시간. 지금 갖고 있지만 완전히 소유하지는 못한 시간. 그것을 되찾으려는 욕망 아닐까요.”

현재 시나리오 막바지 작업 중이라 이야기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될지는 아직 밝힐 수 없지만 소설과는 꽤 다른 방향으로 갈 것 같다는 김윤철 감독은 이 영화를 제작사가 내건 두 가지 원칙, 그러니까 상업영화라는 범주와 스릴러라는 장르에 맞춰서 풀어낼 생각이다. 두 여자의 시점을 번갈아 보여주는 소설과 달리 주체가 되는 한 여성의 시점으로 일관되게 이야기를 전개하려는 것이나 결혼 등 여성을 둘러싼 제도에 관한 문제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것도 그 때문이다. 다만 그는 “장르적인 컨벤션에 지나치게 얽매이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서 스릴러적인 요소에 최대한 리얼리티를 불어넣을 작정이다. “이 영화의 중심이 되는 두명의 남자, 그리고 한 사람이기도 한 두 여자를 지금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인물”로 바꾸는 데 힘을 기울이는 것도 그 때문이다. 장르적 변주와 관련해 그는 또 하나의 구상을 갖고 있다. 빛과 어둠의 대비가 강한 배경에서 사건이 벌어지는 일반적인 스릴러와 달리, 그는 이 영화의 주요 사건을 대낮에 벌어지게 만들어 일상성을 보탤 생각이다.

이 영화를 실현하는 데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배우다. 특히 주인공과 그녀를 똑 닮은 여성을 함께 연기할 여성 연기자를 찾는 일이야말로 이 영화에 숨결을 불어넣는 데 결정적 요체라 할 수 있다. 1인2역을 소화해야 할 여배우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자 지나칠 정도로 신중한 게 아닐까 생각될 정도로 차분했던 김윤철 감독의 목소리가 약간 격앙된다. “시나리오를 아직 끝내지 못해서 그런지 그런 배우가 드물어서 그런지, 지금으로선 아무도 생각할 수 없어요. 어쨌건 감정의 진폭이랄까, 욕망의 진폭이랄까 하는 것이 아주 큰 배우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에요. 그 진폭이 우리의 상상보다도 컸으면 해요. 혹시 누구 추천 좀….”

인터뷰를 마무리지으려니 두 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첫째, 그는 왜 여성의 내면에 관심을 갖는 것일까. “남자들의 패거리 짓기나 서열 매기기는 몹시 싫고 체질적으로 안 맞았어요. 하지만 내가 아는 한 여성들은 그런 행동을 하지 않거든요. 그래선지 여성과는 나이를 불문하고 소통하기가 훨씬 편하고 쉬워요. 그런 것이 내가 여성에게 매혹되고 그들의 내면을 연구하게끔 하는 이유인 것 같아요.” 그럼 두 번째. 너무 친하게 지냈던 여성에게 자신의 자리를 침식당한 한 여성의 복수극 <늪>은 분명 스릴러적인 드라마였지만, <짝> <내 이름은 김삼순> <케세라세라>처럼 로맨틱코미디 요소가 강한 드라마를 잘 만들었던 그가 왜 영화 데뷔작으로 로맨틱코미디를 택하지 않았던 걸까. “오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로맨틱코미디는 잘 못하는데 작가와 배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던 거죠. 그리고 저 굉장히 진지한 사람이에요. 음, <케세라세라>는 꽤 진지했는데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구나. 반성해야겠군. (웃음)”

나 이거 처음이야

김윤철 감독에게 <블루 혹은 블루>(가제)는 뭐니뭐니해도 첫 영화라는 의미를 갖는다. “남들은 내가 미니시리즈 몇개 성공하고 영화 만든다고 할지 모르지만 내 나름으론 꽤 오랫동안 영화를 준비했다”고 그는 말한다. 1991년에 MBC에 입사한 그는 96년 <짝>으로 입봉한 뒤 99년부터 <베스트 극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그때쯤 그는 방송의 한계를 느끼기 시작했고, 휴직한 뒤 미국 칼아츠에서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 “사람들은 TV드라마와 영화를 사촌쯤으로 생각하는데 내 결론은 굉장히 먼 친척이라는 것이다. 거대한 스크린으로 보이는 영화는 관객의 몸으로 다가가는데 TV는 그게 불가능하다. 게다가 TV는 ‘토 헤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클로즈업을 주로 사용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는 첫 영화를 통해서 배우의 몸과 공간과 그 공간의 아우라를 담아내면서 자신의 갇힌 욕구를 풀어낼 생각이다. 무엇보다 “영화의 본질은 인물의 욕망을 담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그는 <블루 혹은 블루>를 통해 캐릭터의 욕망뿐 아니라 배우의 욕망까지 고스란히 담아낼 포부를 품고 있다. 물론 순발력과 배우, 그리고 연기에 대한 이해력처럼 방송에서 익힌 노하우는 비장의 무기가 될 것이다.

시놉시스

부유하지만 무료함에 빠져 있던 여성 수민은 해외여행에서 돌아오던 중 자신과 똑같은 외모의 한 여자를 보게 된다. 놀라운 점은 그뿐이 아니다. 그 여성은 수민의 옛 남자인 하영과 결혼한 사이였던 것. 자신과 똑같이 생긴 그녀의 존재를 궁금해하던 수민은 한달만 서로 바꿔 살아보자고 제안한다. 거기엔 하영을 향한 그리움도 한몫했다. 낯설지만 바뀐 일상에 행복해하던 수민은 옛 남자 하영의 숨겨진 폭력성을 알게 되고 자신의 삶을 원상복귀하려 하지만 자신과 똑같은 그녀는 수민의 인생을 돌려주지 않으려 한다. 자신의 존재가 점점 사라져가는 것을 느끼는 수민은 자신의 삶을 찾기 위해 사투를 시작한다.

관련 인물